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산항 일반화물부두의 개발소요선석 전망

        고용기 ( Yong Ki Koh ),조정구 ( Gheong Gu Cho ),여택동 ( Taek Dong Yeo ) 한국물류학회 2011 물류학회지 Vol.21 No.5

        본 연구는 장기간에 걸친 부산항에 필요한 비컨테이너화물을 위한 부두의 적정 개발소요선석을 전망하였다. 먼저 추정과정을 수리모형으로 수립하여 그 이론적 논리성을 검토하였다. 수리모형을 토대로 실제 문제에 관한 적용을 위한 출발점 은 부산항 일반화물 물동량 전망이다. 본 연구에서는 독자적인 물동량 전망보다 는 장기적으로 물동량 전망을 수행해 오고 있는 전문연구기관의 수요예측 전망치를 그대로 적용하였다. 이를 본 연구에서 재산정한 적정하역능력과 비교하여 개 발소요선석을 전망하였다. 하역능력 산정문제는 부두현장의 실제 활동과 실적치를 근거로 실효성있는 적정하역능력을 추정하였다. 특히 부산항내 일부부두의 경우 기본계획 등에서 부여된 취급품목은 실제 부두에서 취급되는 품목과 상당한 차이가 있다. 이를 보정함으로써 실효성있는 적정하역능력 산정이 가능하였다. 또한 하역능력 산정식에 있어서도 하역장비시간당 능력, 일일작업시간, 선석점 유율 등에 관하여 항별 특성과 통계모형을 활용하여 재산정한 기존 연구의 결과 값을 본 연구에서도 그대로 적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물동량 전망대비 적정하역능력을 대비하여 그 과부족을 품목별로 산출하였다. 이들을 2030년까지 확장하여 부산항 일반화물부두에 관한 품목별 하역능력 과부족 수준을 도출하였다. 이어서 부족한 품목을 파악하여 이에 적합한 적정 선형선급과 선석수를 도출 해 내야 하는데 적정 선형선급과 선석수는 해당항의 지리적 조건, 배후권역의 활 동현황을 고려할 때 잡화/목재/철재부두로 선정하였다. 결론적으로 부산항의 일 반화물을 처리할 수 있는 부두시설은 2030년까지 5천DWT급 잡화/목재/철재부두 26선석 등 38선석이 필요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This study aims to forecast the development of berths for general cargo in Busan port in the long run. Firstly, the mathematical model is set up for the theoretical logic of calculating process. It begins with forecasting the demand of Busan`s general cargo throughput. The estimates of throughput demand in this study depends upon those projected regularly by KMI instead of its own forecast. Then this study intends to calculate the nominal figures as well as the actual figures on the optimum handling capacity. The handling items mainly dealt in some berths in Busan port were different from those mentioned on the Master planning scheme. This study re-estimates the handling capacities of the berths based on a newly deducted calculation formula and the revision of handling items. In addition, the formula considers input data newly deducted; the capacity per crane-hour, service hour and berth occupancy rates. These input data deducted by berth`s features and special statistics are applied into the formula in this study. There are differences by item between the throughput demands and the handling capacities in some berths in Busan port. Under lack of berth facilities, the forecast on the development of berths for general cargo by 2030 was made with the introduction of ideal berth sizes and numbers. This study shows that Busan port needs 5,000-DWT-level 5 berths for cement, 5,000-DWT-level 26 berths, 10,000-DWT-level 4 berths and 20,000-DWT-level 3 berths for general cargo/lumber/steel material combination by 203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