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New Naming for Old Nation: Understanding ‘Baedal’ in Narrating Korean Modern Identity

        조의행 바른역사학술원 2022 역사와융합 Vol.- No.12

        This study explores the original terminology and meaning of Baedal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dawn of Korean nationalism and identity. Baedal first appeared in the script of the Korean native religion, Daejongism. Established in 1908, it swiftly became a symbolic prefix of a word to represent Koreanness within and even outside the religion within this context of co-relations between Baedal and Daejongism.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idiom played a critical role in forming modern Korean national identity by codifying Koreans’ mythical narratives regarding a founding father, Dangun, and his epoch. The term spread because of the great efforts of the then Korean nationalists, gaining its historicity in the myth; although there might have been exaggeration and embellishments. Standing for the Bright Land, Baedal was located deeply in the heart of the then Koreans oppressed by Imperial Japan, serving as a set of identity components: a new name for binding a population based on ethnic homogeneity, dignity as the chosen people, nostalgia over the golden age, and virtues for what the Korean nation must be after independence.

      • KCI등재

        미․중 갈등의 정치경제학: 패권 이동 모델로 미중 관계 읽기

        조의행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23 현상과 인식 Vol.47 No.3

        훙 호펑의 「제국의 갈등」은 ‘안보는 미국, 경제는 중국’과 같이 국제정치와 경제를 분리해서 보아 왔던 우리에게 1990년대 이후의 미·중 관계의 발전과정과 갈등 원인을 세계체제론에 입각한 ‘패권 이동 모델’을 통해 체계적으로 설명한다. 한때 ‘차이메리카’라고 일컬을 정도로 미·중 경제가 밀접하게 상호보완하면서 탈냉전 시기 세계 경제 부흥과 미국의 신자유주의 세계질서 구축에 일조했다는 것. 그리고 이러한 체제를 월스트리트 출신 경제 엘리트와 미국의 초국적 기업에 의해서 수립되었다는 저자의 분석은 탁월해 보인다. 또한, ‘중국몽’ 아젠다와 ‘일대일로 프로젝트’가 착수된 이유를 단지 국제사회에서의 중국 영향력(세력권) 확대가 아닌,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중국 정부의 부동산과 인프라 위주 경기부양책으로 야기된 과잉생산의 해결책이었다는 분석은 독자의 인식을 넓힌다. 해외로 투사된 중국의 자본은 경제적으로 주변 국가들의 종속시켜 중국은 불완전한 예비 패권국이 되었다. “패권 없는 지배력”만 남은 제국이 된 것이다. 한편, 중국 시장에서 미국 기업들의 이익이 축소되고 경영 환경이 나빠지면서 경제 엘리트들은 친중에서 반중 정책에 앞장서게 되었고 외교 엘리트들과 강경한 대중국 정책을 착수했다. 미·중 갈등의 무역 전쟁부터 시작된 이유에는 바로 이러한 배경이 있었다. 이런 맥락에서 이 책은 ‘안보는 미국, 경제는 중국’ 패러다임을 대체할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동북아시아 비전을 수립해야 한다. Hung Ho-feng’s Clash of Empires systematically illuminates the developmental process and underlying causes of conflict in US-China relations since the 1990s. The theoretical framework, ‘Winding Paths of Hegemony,’ draws on World System Theory to integrate international politics and the economy. Hung highlights that the interconnected U.S.-China economy, once referred to as ‘Chimerica,’ mutually bolstered each other, reviving the global economy and establishing the Neo-liberal world order post-Cold War. This symbiotic system was orchestrated by economic elites from Wall Street and U.S. transnational corporations. Additionally, China’s initiatives like the ‘Chinese Dream agenda’ and the ‘One Belt, One Road Project’ aimed not only to expand China’s influence globally but also to address overproduction resulting from the Chinese government’s real estate and infrastructure-focused economic stimulus following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Chinese overseas investments were often economically subservient to neighboring countries, creating an incomplete preliminary form of hegemony for China. Conversely, diminishing profits for U.S. companies in the Chinese market and worsening business conditions compelled economic elites, in collaboration with diplomatic counterparts, to advocate assertive China policies. This backdrop set the stage for the trade war between these two global powerhouses. Within this context, the book contributes to establishing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vision for Northeast Asia, superseding the paradigm of ‘security alignment with the United States, economic ties with China.’

      • KCI등재후보

        MZ세대의 반중감정: 그 현황과 전망

        조의행 바른역사학술원 2022 역사와융합 Vol.- No.10

        이 연구는 한국의 MZ세대의 반중감정의 원인과 이들이 향후 한중관계에 끼칠영향에 대해 검토했다. 한국의 이들 세대는 민주화와 경제성장 및 한국의 국제적 위상 상승과 맞물려 선진국 국민으로서 정체성을 습득해 왔다. 집단보다 ‘나’ 에 집중하는 개인적인 성향이 강하지만, 공정하고 안정적이며 깨끗한 사회 환경에 대한 기대치가 높다. 아울러 이들 젊은 층은 한국문화의 세계적 안착으로 문화적 자존감이 굉장히 높은 세대이다. 하지만 좁은 취업 시장과 경제적 불안정성은 한국 이주 외국인들에 대해 배타적인 민족주의적 성향 또한 갖고 있다. 그래서 한국 MZ세대는 진보적이면서도 보수적이다. MZ세대의 배타성이 향하는타자는 이들의 성장기에서 가장 많이 직간접적으로 경험했던 중국과 중국인이다. 하지만 MZ세대가 경험한 중국과 중국인은 부정적으로 점철되어 있다. 이들은 중국 유학생을 떠받드는 강의실에서 역차별을 경험했고, 중국인들과의 대화에서 중화주의적인 세계관을 경험했다. 공정성과 환경·보건을 중시하는 한국 젊은이들에게 중국발 미세먼지와 코로나-19, 홍콩에서의 인권사태 등에 모르쇠와 강경책으로 일관하는 중국 정부에 분노해 왔다. 더군다나 민족 자존감의원천이었던 한국 대중·전통문화를 중국 문화의 일부로 귀속시키려 하는 일련의 사태는 이 젊은 세대의 자존감을 훼손한다고 여겨졌고 때론 집단행동으로 표출되었다. 이렇듯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국인과 중국인의 정체성 균열은 서서히벌어지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미래의 정치 주역인 MZ세대의 반중감정은 향후한중관계에 잠재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 KCI등재

        코로나 시기 영국인의 기부행동에 관한 연구: 영국 Z세대의 비영리 자선기관에 대한 신뢰도를 중심으로

        조의행 계명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22 국제학논총 Vol.36 No.-

        이 연구는 ‘분별력 있는 세대’로 불리는 영국 Z세대의 자선·구호 신뢰도를 검토했다. 영국 Z세대는 전반적으로 밀레니얼 세대와 유사한 행태를 보이지만 이타주의적 성향이 훨씬 강하다. 특히 기성 정치인이나 언론에 휘둘리지 않고 뚜렷한 주관을 바탕으로 가족과 공동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자 하는 세대이다. 열정적으로 가족과 사회에 대한 긍정적인 변화를 열망하는 이들은 자선기관을 둘러싼 여러 스캔들에도 기관 존립 기반인 선한 의도와 존립 목적을 의심하지 않아 왔다. 기부보다는 실천적인 봉사와 참여를 통해 기 투명성에 대한 신뢰와 친밀도를 축적해 왔기 때문이다. 특히 팬데믹은 이들 세대가 더욱 적극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디지털 원주민(Digital Native)으로서 온라인 소액 기부와 적극적인 자원봉사 참여는 이들 세대가 갖는 사회적 책무성을 보여주며, 이를 통해 기관에 대한 투명성을 확인하고 친밀도를 높이는 시간이 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오랜 기간 이어지는 팬데믹으로 Z세대는 봉사 시간 확대, 비대면으로 인한 교육 질 저하 및 미래에 대한 불안감 등을 경험하고 있지만, 지역 기반 중소 기관들은 이에 대해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면서 이 세대의 기관 신뢰도는 2021년부터 다시 하락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영국 비영리 섹터에 대한 Z세대의 신뢰도는 충분한 디지털화와 기관의 관리 매뉴얼 강화 등, 전반적인 혁신과 변화가 수반되었을 때 다시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더 나은 세계 만들기의 역설 : 자유주의 국제질서의 위기와 미국

        조의행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22 현상과 인식 Vol.46 No.3

        이 연구는 자유주의 이데올로기의 이론적인 특성을 먼저 검토한 후 미국이 기획하고 작동시켜 온 자유주의 국제질서의 행동 양식과 그 성격에 대해 논의를 했다. 자유주의는 인간의 합리적인 이성을 중심으로 하는 철학적 세계관으로서 정치적, 경제적 및 신앙의 자유를 현실 세계에서 보장하고자 보호하고자 하는 제도로서 인간 공동체에 오랜 시간을 걸쳐 투사되고 기능했다. 법에 따른 통치, 권력의 분립, 사유 재산 보호, 언론의 자유 및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를 바탕으로 하는 대의제 등은 자유주의가 인류사에서 이룩한 긍정적인 성과는 손에 꼽을 수 없을 정도로 많다. 이러한 자유주의적 원리와 가치는 「영구평화론」에서 알 수 있듯이 전쟁으로 얼룩진 인류의 역사에서 전쟁의 종지부를 찍을 수 있게 한 실천 방안을 제공했다. 그러나 자유주의는 이론적으로나 현실적으로도 성공할수록 그 모순점이 두드러진 특성이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미국에서의 자유주의의 성공이 궁극적으로 미국 중심의 자유주의 국제질서가 퇴조한 근본적인 원이라는 점을 논의했다. 즉, 자유주의 국제질서가 제대로 작동될 수 있는 요인과 조건으로 미국의 강대국의 책임과 의무를 분석해 자유주의 원리와 가치를 교조적이지 않고 현실에 적합하게 응용했을 때 자유주의 국제질서가 지속할 수 있게 작동할 수 있음을 밝혔다.

      • KCI등재

        중국이 바라는 세계는 곧 ‘천하’일까?

        조의행(Yui Haeng Cho)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9 현상과 인식 Vol.43 No.1

        이 글은 캐서린 존스의 China’s Challenge to Liberal Norms(2018)에 대한 비평이다. 이 책은 1990년대부터 시작된 중국의 자유적 국제질서에 대한 도전을 다루고 있다. 특히 저자는 이 과정에서 나타난 중국의 규범 창출자로의 역할을 실증적으로 검토했다. 이 책은 다음과 같이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1) 규범적 권력으로의 중국, 국제규범과 질서의 의미 그리고 구성주의에 기댄 분석의 틀, 2) 인도적 개입을 둘러싸고 상반된 ‘주권’의 자유적 해석과 중국의 입장, 그리고 3) 중국식 경제발전의 모형과 그 확산이다. 저자는 중국이 이미 자유적 국제질서에의 규범적 도전과 새로운 규범의 창출을 지속해 오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 예가 ‘주권 평등원칙’을 명분으로, 그리고 상임이사국의 지위와 지지 국가들을 결집해 결국 인도적 개입이 규범으로서 국제정치에서 내면화까지 이르지 못하게 한 것이다. 아울러 중국은 저개발 국가에 대한 원조를 확대함과 동시에 새로운 기구를 수립해 베이징 컨센서스를 바탕으로 한 중국식 경제모델의 확산을 도모했다. 자유적 국제규범에 대항하는 중국의 규범적인 도전을 체계적이고 실증적으로 설명한 것이 이 책이 갖는 장점이다. 동시에 한계점 역시 뚜렷하다. 중국이 규범적 도전을 해 온 이유는 무엇이며, 이를 바탕으로 중국이 추구하는 국제질서의 형태에 대한 논의 등이 부족한 것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하지만 이 책의 진정한 가치는 국제사회 속 중국의 규범적 역할을 연구하는데 시발점이라는 데에 있다. This article attempts to review Catherine Jones’ book, titled China’s Challenge to Literal Norms, (2018). This book addresses how has China challenged the liberal international order, especially since the 1990s. The author has empirically examined China’s international behaviors as a normative entrepreneur, based on the following three arguments: 1) China as a normative power, defining international norms and order, and the analytical framework based on constructivism; 2) the liberal interpretation of ‘sovereignty’ and China’s view on the humanitarian intervention; and 3) China’s development model and its diffusion. The primary preposition of this book is that China is a normative power challenging the West-led international order. An example is reflected on the issue, conflicting between ‘Principles of Sovereignty and Equality of States’ and China’s interpretation. Utilizing the permanent member in Security Council and supported by ‘the new populations,’ China has successfully impeded the internalization of the humanitarian intervention. In addition, China has expanded its aid to underdeveloped countries in a way which establishes new organizations so as to promote the Chinese-style economic development model, explained in the Beijing Consensus. Systematically and empirically expounded China’s normative challenge against liberal international norms, in this regard, might be the most valuable academic contribution this book has. Nonetheless, its threshold is also clear. It less clearly accounts for why China challenge and what kind of international order China attempts to build. Still, it can open follow-up researches over China’s normative entrepreneurship and roles in international society.

      • KCI등재

        ‘남겨진 자(Left Behind)’들이 이끈 브렉시트(Brexit)

        조의행(Yui Haeng Cho)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6 현상과 인식 Vol.40 No.3

        본 연구는 브렉시트를 절대적으로 지지했던 영국의 블루칼라, 소위 ‘남겨진 자들’의 등장배경과 이들의 전통적인 지지정당이었던 노동당의 정체성을 분석했다. ‘남겨진 자들’은 후기산업구조로의 변화와 신자유주의 정책의 고착화로 인해 비교적 소수로 전락한 영국. 특히 잉글랜드 – 런던 제외 – 에 거주하는 블루칼라로서 1990년대 이후 꾸준히 주류정치권으로부터 배제되어 온 존재이다. 이들은 대체로 높은 연령의 백인남자로서, 교육수준이 높지 않은 육체노동자들이다. 블레어 등의 젊은 지도자들이 이끄는 노동당은 1990년대 후반 이후 당 정체성 변화를 통해 블루칼라보다 중도층을 포섭하기 위해 노력하는 한편, 적극적으로 영국과 유럽의 통합에 앞장서 왔다. 이러한 변화는 필연적으로 전통적 지지계층인 블루칼라들의 이탈을 초래했다. 본 연구는 이 과정 속에서 나타난 두 집단 사이의 정체성의 균열에 관심을 가졌다. 노동당이 보편적인 자유 민주주의적인 공민정체성의 가치를 영국정체성으로 핵심으로 규정해 온 반면, ‘남겨진 자들’은 보다 과거 회귀적인 엣 영국정치성, 특히 잉글랜드-영국 (Anglo-British) 정체성을 여전히 유지해 온 존재였다. 결국 브렉시트는 과연 ‘영국다움(Britishness)’이 무엇이냐에 대한 잉글랜드인들의 오늘날 대답이다. This article attempts to account for the socio-political and economic backdrop of ‘Brexit.’ In particular, it focuses on the working class, so-called ‘Left Behind’ who has supported this political phenomenon, and British Labour Party in relation to ‘politics of identity.’ Those who referred to as ’Left Behind’ are usually white, old, less-educated, and manual workers. Since 1990s, Tony Blair’s the Labour Party had experienced a strategic shift towards the middle and upper-middle class, who became the major voters in British politics, in a way which transforms party’s identity. Also, Labour’s political leaders had enthusiastically embarked on the policy, such as integration of UK into the EU, along with accepting the Neo-liberal socio-economic circumstance already established after the early 1980s. Consequently, the blue-colour were left behind from the mainstream of British Politics. In this respect, this study tried to present the process of the widening identity gaps between ‘Left Behind’ and the Labour Party. The former still possesses strong cultural, political Anglo-British identity on the basis of the nostalgic view over ‘Golden Age’ achieved by the British Empire on the one hand, the latter has more highlighted on ethical based civic identity values such as tolerance and fairness. ‘Brexit’ seems to be the answer to the question, what is ‘Britishness?’, replied by English.

      • KCI등재

        스코틀랜드 민족정체성 연구

        조의행(Yui Haeng Cho)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7 현상과 인식 Vol.41 No.4

        이 글에서는 스코틀랜드 독립운동 과정에서 그 정치사회적 영향력이 미미해진 스코틀랜드 국교회, 커-크(the Kirk)와 프로테스탄티즘에 대해 검토했다. 스코틀랜드 왕국이 중세 이후 유럽사에 본격적으로 편입된 이래 기독교는 스코틀랜드 민족정체성을 형성시킨 중요한 요인이었다. 아울러 종교개혁 이후 스코틀랜드에서 프로테스탄티즘은 스코틀랜드의 민족의 자주성을 대표하는 존재였으며, 커-크 및 교회지도자들은 정치, 교육, 학문 및 문화적인 측면에서 스코틀랜드가 유럽 최고의 지성의 중심지가 되는데 일조했다. 이러한 전통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스코틀랜드 교회와 프로테스탄티즘의 기능은 전혀 작동하지 않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이 글에서는 그 이유를 오늘날 스코틀랜드 민족정체성은 종교가 아닌 지역을 배경으로 하고 있음을 밝혔고, 스코틀랜드의 커-크와 프로테스탄티즘이 신앙의 공동체로서도 정치사회적으로도 어떤 대안도 제시하지 못하는 존재가 되면서 사회적으로 유리된 결과라고 보았다. 그래서 스코틀랜드 독립운동은 스코틀랜드인을 결집시키는 요인이 되었지만, 교회는 이러한 정치사회적 환경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하지도 못했다. 결국 천 년 동안 해 오던 전통적인 교회의 정치사회적 역할은 스코틀랜드 독립당으로 대체되었다. 독립이라는 운명 앞에 명맥상이로나마 유지해 오던 커-크의 국교회로서의 지위가 존폐의 위기에 처하게 된 것이다. Will the National Church of Scotland, the so-called Kirk, survive? Its fate is not so bright given the socio-political and religious environment around it. Christianity, - the Kirk and Protestantism especially, - had historically played a key role in forming Scottish national identity. It had given not only a narrative of the nation’s birth but also become a national symbol of autonomy from its southern neighbour, England. Both the Kirk and Protestantism in these days, however, have dramatically faded in the wake of Scotland’s bid for independence. In this regard, this analysis attempts to illuminate the following; First, the Kirk including the mainstream Scottish protestant churches has slowly but surely lost its religious and social influence on Scottish society in a way which compromises Secularization. Since the lat 1990s, the SNP has nearly monopolized the socio-economic and political agenda in Scotland; Second, birth place rather than religion and ethnicity has become the primary defining element in contemporary Scottish national identity. Scotland’s traditional religion is facing a crossroads.

      • KCI등재

        광복 70년, 한국인의 민족 정체성 연구

        조의행(Yui Haeng Cho)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5 현상과 인식 Vol.39 No.3

        광복 70주년을 맞이한 오늘, 우리는 여전히 과거의 기억에 발목을 잡혀 있다. ‘우리는 과연 해방되었는가?’라는 질문 자체가 우리는 아직 해방되지 않았다는 반증이다. 이러한 시대문제에 대답하기 위해 이 연구는 오늘날 우리의 민족 정체성을 지난 한 세기의 민족사 쓰기와 민족 · 정치 지도자들의 역할을 통해 재검토해 보았다. 전근대 우리의 정체성은 계급과 신분에 의해 뚜렷하게 갈려 있어 통합된 민족 정체성을 형성시키지 못했다. 외세의 침투와 국권상실을 경험하며 비로소 통합된 민족사 정립의 필요성을 인지했다. 이는 국권상실의 원인을 올곧은 민족사를 바탕으로 한 민족정체성을 형성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자기반성이 있었기 가능했다. 민족 지도자들은 이에 중국적 요소가 거세된 ‘진취적이고 자주적인’ 민족사를 자각하고 집필했다. 그러나 외세에 의해 해방된 우리 민족은 곧 정치적으로 분단된 두 국가를 수립했고, 곧 고착화 되었다. 박 정희 시대는 우리에게 독립 운동가의 민족사 인식을 일부나마 수용할 공간을 제공했으나, 이 역시 체제 공고화를 위한 반쪽짜리 국민 만들기라는 정치적 수단이었다. 1980년대 이후 주류로 등장한 좌파 역시 민족과 민족사를 부르짖었으나, 오히려 이들은 민족사를 축소 및 폄하하였다. 그 결과 오늘날 우리의 민족 정체성에는 민족과 민족사가 사라진 왜곡된 민족 정체성을 가진 채 ‘탈민족’시대를 대면 해야 하는 모순된 현실에 직면하게 되었다. 그러나 통일을 준비해야 우리의 내부 구성원 및 남과 북을 묶는 수단으로서 민족사는 여전히 유효하다. Despite being 70 years after independence, a subject, ‘Are we really independent?’ is still one of the leading social discourses in Korean society. This question per se assumes that Korea and Koreans are not independent yet. In order to gain an answer to this contemporary question, this paper attempts to shed light on Korean national identity in a way which analyzes the relations between national history and the role of national leaders. Pre-modern Koreans had not yet formulated a unified national identity owing to a clear class consciousness and Sino-centralism that the then ruling class had possessed. Confronting threats from the Western powers and the following loss of sovereignty, Korean national leaders keenly felt the necessity of rejuvenating national history so as to form national identity though which all national members can share. They believed that it is the most urgent task for restoring the sovereign rights and establishing the future nation-state. Korean nation was, however, divided by the different political ideologies in the wake of the independence, and it has resulted in being permanent after the Korean War. During the era of President Park Chung-Hee, Koreans had an opportunity to embrace the perspective of national history on which the former national leaders - i.e. Shin Chaeho and Park Eunsik - embarked at the dawn of nationalism in Korea. Nonetheless, it was nothing but a means of stabilizing Park’s regime stability by excluding, and othering, another half of nation living in the North Korea.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left-leaning group also played a critical role in leading democratization since 1980s, in particular. Nonetheless, they have tried to shrink space and time of Korean national history in the name of science. In general, Koreans are now facing the trend of ‘Post-nationalsm’ even before they have not yet establish national identity on the basis of their history. For Koreans wishing to a unified Korea, however, national history is still in effect as the way to unify the divided n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