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혼인율 장기예측을 위한 Heuristic Lee-Carter 모형

        조윤랑(Yoonrang Cho),김기환(Keewhan Kim),김성용(Seonyong Kim),전새봄(Saebom Jeon) 한국자료분석학회 201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0 No.1

        일반적으로 인구추계 및 가구추계에서는 추계(projection)를 위해 인구구성요인의 예측(forecast)기법을 적용하고 있다. 주관적인 요소나 전망을 최소화한다는 점에서 추계방법은 상대적으로 개선되어왔으나, 인구추계에 사용되는 기존의 Lee-Carter 모형에 기반한 예측방법은 급격한 변동을 보이는 인구동태의 경우에는 장기예측시 비현실적으로 과대 혹은 과소추정되는 추계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와 같은 급격한 저출산·고령화와 같은 인구구조 변화에는 적정인구수준을 유지하기 위한 국가의 정책적 대응이 따르게 되고, 그로 인한 정책의 효과에 따라 장기적으로 혼인 및 출산 등 인구동태 역시 변화가 예상된다. 기존의 예측모형은 인구변동 추세에 변화가 예상되지만 이를 예측기법내에 반영할 수 없으므로 비현실적 추계결과를 야기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예측모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인구추계에 사용되는 Lee-Carter 모형에 변화속도를 조절하는 계수를 추가한 Heuristic Lee-Carter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우리나라의 초혼율과 이혼율에 적용하여 예측성능을 평가한 결과 본 연구모형이 혼인율 장기예측에 적절함을 알 수 있었다. Generally, population projection and household projection use the forecasting method for population composition projection. The projection method has been relatively improved in terms of minimizing subjective prospect, but it can sometimes lead to unrealistic projection results in long-term forecasting when a rapid change in population dynamics. Demographic structure changes of Korea, such as rapid low birth rate and aging, are accompanied by policy responses, and in future population dynamics such as marriage and childbirth are expected to change according to the effect of policies. This paper proposes a prediction model that can be used in case where changes in the trends due to external intervention are expected but can not be reflected in the forecasting technique.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heuristic Lee-Carter model that adds a coefficient controlling the rate of change to the Lee-Carter model used in population projection, predictive performance of the first marriage rate and the divorce rate in Korea resulted that this proposed model is suitable for long-term marital rate prediction.

      • KCI등재

        혼인상태간 전이율 보정에 대한 연구

        조윤랑(Yoonrang Cho),김기환(Ki Whan Kim),전새봄(Saebom Jeon),김성용(Seonyong Kim) 한국자료분석학회 201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0 No.1

        장래가구추계는 인구주택총조사를 기초로 장래 가구규모 및 가구 유형을 전망하는 것으로, 최근 1인 가구의 증가 및 노인 가구의 증가와 같이 급격한 가구 구조의 변화를 겪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는 그 중요성이 더 커지고 있으며, 통계청에서는 2002년 이래 매 5년 주기로 장래가구추계를 공표하고 있다. 장래가구추계를 위해서는 성, 연령별, 혼인상태간 전이율의 추계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우리나라의 혼인상태간 전이율은 시도 단위 뿐만 아니라 전국 단위에서도 특이치가 많으며, 저연령 및 고연령에서의 불규칙성 역시 심하다. 또한 85세까지만 자료가 존재하여 초고령층 가구의 행태를 예측하는데도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전이율의 예측 이전에 특이치의 제거와 자료의 보정 및 100세까지의 확장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2000년, 2005년 및 2010년의 5세 단위의 우리나라 혼인상태간 전이율을 보정하고, 이를 100세까지 확장하고자 한다. 우선 수학적 함수를 이용하여 전국단위 혼인상태간 전이율의 저연령 및 고연령층의 값을 보정하고, 적합된 함수 값을 이용하여 100세까지 확장한다. 그 이후, 전국 단위의 혼인상태간 전이율을 기반으로, Brass-Logit 모형 및 로버스트 회귀 모형을 이용하여 지역 단위의 혼인상태간 전이율을 보정 및 확장하도록 한다. Household projection is the prospect of change in size and type of household in the future based on the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In Korea, household structure has been changing rapidly such as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and elderly households. For the importance of household projection, Statistics Korea have released household projection every five years since 2002. In order to estimate future households, the transition rates between marital status should be estimated. However, these have many irregularities at low ages and old ages not only in the national level but also in the province level. In addition, transition rates are only available up to 85 years old. Therefore, prior to the prediction of the transition rates, the adjustment of irregularities, and expansion to the age of 100 should be preceded. In this paper, first, transition rates between marital status are adjusted in the national level and extended to 100 years old. Based on that results, Brass-Logit models and the robust regression models are used to adjust and expand the transition rates at the regional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