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션그래픽에서 모션(Motion)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조용근(Cho Yongkeu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9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9 No.1

        디지털시대의 진입으로 다매체간의 컨버젼스 (Convergence)되는 환경이 구축되어 많은 분야가 영역의 범위를 넓히고 있다. 디자인분야도 예외는 아니어서 새로운 분야들이 속속히 생겨나고 특화되어 발전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 특히 모션그래픽의 새롭고 실험적인 작업은 뉴 미디어의 특성에 부합되어 다양하게 활용되며 각광받고 있다. 이처럼 모션그래픽은 독립적이면서도 융화력이 뛰어난 특성 때문에 그래픽 전문분야로 자리매김 하는데 문제는 없어 보인다. 하지만 아직 독립된 성향이나 성격 범주 등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구성요소나 분류체계가 통일되거나 구체적이지 않아 부분적으로 혼란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모션그래픽(Motion Graphic)의 패러다임을 여러 관점에서 바라보는 시각을 소개하고 모션그래픽의 구성요소를 분석하여 발표된 모션그래픽 사례를 통해 분류체계를 구성하여 모션그래픽의 종류와 성격을 구분해 보고자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선행연구를 통해 모션그래픽의 구성요소를 추출하여 체계적으로 재정리하고 이를 근거로 모션 (Motion)의 분류체계를 구성하여 모션그래픽의 제작사례를 통해 검증을 해 나가고자 한다. 이러한 모션(Motion)의 분류체계는 모션그래픽의 성격을 명확하게 만들고 모션그래픽의 폭 넓은 영역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디자인분야에서 독자적인 위치 확보와 체계적인 연구의 기틀을 잡는 것이며 자칫 간과하기 쉬운 커뮤니케이션기능을 강화하는 방법이 될 것이다. Due to the entry into the digital era the environment of convergence among multiple media has been constructed; thus it extends the scopes of many fields. The design field is no exception and many areas spring up and advance through specialization. Among others a new and experimental job particularly that of motion graphics has been highlighted while being diversely utilized answ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media. Likewise thanks to independent yet highly assimilative characteristics motion graphics seems to have no problems being poised as a special graphics field. However it is true that there has been no active discussion over its independent traits or character or category and its compositional factors or classification system has not been detailed which causes confusion in part. This study is to introduce a view of the paradigm of a motion graphic in various perspectives analyze the compositional factors of a motion graphic compose its classification system through motion graphic cases presented through the aforementioned process and classify the type and character of a motion graphic. Such a classification is for seeking how to further strengthen motion graphics by clarifying the character of motion graphics and revealing its communication function which may be easily overlooked.

      • KCI등재

        TUI를 활용한 디지털 BTL광고기법에 관한 연구

        조용근 (Cho Yongkeun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9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9 No.2

        디지털미디어의 발달은 HCI연구에 있어 새로운 인터페이스에 대한 지속적인 요구를 증대시키고 있으며 새로운 인터페이스 대안으로 TUI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컴퓨팅 기술의 발달은 디지털 콘텐츠와 사용자간의 벽을 없애 직관적으로 접근하는 상호작용을 만드는데 있고 이러한 요구는 TUI의 확산을 가져오고 있는 것이다. BTL광고시장은 ATL광고시장에 비해 점차 비중이 높아가고 있으며 BTL광고시장에서도 대중교통 쇼핑센터 인포메이션 데스크 등의 장소를 중심으로 디지털미디어의 점유율이 높아지고 있다. BTL광고시장에 디지털미디어가 점차 확대되고 있음에 따라 새로운 BTL광고기법 필요성은 더욱 절실해진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점차 중요해지고 있는 디지털BTL광고의 표현 방법과 마케팅의 확대를 가져다 줄 새로운 광고기법으로 서의 가능성을 TUI를 이용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선행연구 및 문헌을 통해 관련 기술동향을 파악하고 BTL광고의 아날로그적'체험성'을 디지털미디 어로 전환하여 TUI로'체험성'을 재현한 뒤 디지털미디어의 특성에 따라 2가지의 프로토타입으로 제작하여 평가 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광고미디어로서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BTL광고에서 TUI의 새로운 기법들이 광고의 크리에이티브와 재미 새로운 경험 등을 제공함으로서 주목받는 디지털BTL광고가 될 것인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is constantly increasing the demand of a new interface in HCI-related researches and TUI is actively being studied as a counterproposal for the new interface. The development of computing technology is aimed to create intuitive interaction as tearing down the walls between digital contents and users; and this kind of demand has brought about the spread of TUI. The occupation of the BTL advertisement market is gradually getting higher compared with ATL and the occupation of digital media in the BTL advertisement market is also getting higher centering on the parts like public transportation shopping centers or information desks. As digital media is getting to have a greater role in the BTL advertisement market it is more urgent as of now to develop new BTL advertisement methods. Accordingly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the expressional methods of digital BTL advertisement which is getting higher attention and its possibilities as a new advertisement method to improve the marketing using TUI. As research methods this article will figure out the trends of related technologies through advanced researches and literatures. Moreover it will convert the analog'experience' of BTL advertisement into digital media to reproduce the'experience' with TUI and then will make two prototypes appropriately for the features of digital media and evaluate them.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heck if new TUI methods can create remarkable digital BTL advertisements by providing to them creativity fun and new experience in the BTL advertisement which is getting more noticed as advertising media.

      • KCI등재

        슬관절의 측면 방사선 촬영에서 보조기구를 이용한 검사방법의 정확성과 편의성에 대한 연구

        엄소영(Soyeong Uhm),조용근(Yongkeun Cho),강성진(Sungjin Kang) 한국방사선학회 2017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1 No.4

        In lateral projection imaging method of knee joint, a method that adjusts the incidence angle of central X-ray toward the head side to 5~7° in true lateral position which is existing recommended is called imaging method A, Method of imaging the central X-ray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plane of the examination table toward the knee is called imaging method B, and a method in which the central X-ray is perpendicularly applied to the joints while the lateral side of the distal tibia is compensated by radiolucent materials is called as method C. After tests each imaging method to classified study subject respectively, the joint space distance and the distance between lateral and medial condyle of femur were measured and compared as the quantitative index from the three imaging methods. In addition, the convenience of each imaging method was confirmed through questionnaires to practicia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quantitative index,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maging method A and C(p>0.05). However, imaging method B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A and C(p<0.05).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convenience of the imaging method, imaging method A was relatively assessed lower in all items than imaging methods B and C, and as a small difference, imaging method B is assessed higher than C. In this study suggested new knee joint lateral projection imaging method, by using a simple support device, could describe joint space as not much different as existing recommended method without some complex process, and could increase convenience of the practician in the process of the imaging. 슬관절의 측면 촬영 검사방법에서 기존에 권고되고 있는 정 측면 자세에서 중심 X선의 입사 각도를 머리 쪽 5~7°로 조정하는 방법을 검사방법 A, 중심 X선이 슬관절 강을 향해 검사대의 수평면과 수직으로 입사하는 방법을 검사방법 B, 경골 원위부(distal tibia)의 바깥 면(lateral side)을 방사선 투과성 물질(radiolucent materials)로 보상한(compensated) 상태에서 중심 X선을 관절 강에 수직 입사하는 방법을 검사방법 C로 분류 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을 분류하여 3가지 검사방법을 각각 시행한 후, 검사영상에서 관절 강 거리(joint space distance)와 양측과의 거리(both condyle distance)를 정량적 지표로 설정하여 이를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또한 각 검사방법의 편의성을 검사자(Practician)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정량적 지표의 측정 결과 검사방법 A와 C는 통계적 분석 결과 특징적인 차이가 없었지만(p>0.05), 검사 방법 B는 A와 C 모두에서 차이를 보였다(p<0.05). 검사방법의 편의성을 평가한 결과, 검사방법 A가 모든 항목에서 검사방법 B, C 보다 상대적으로 점수가 낮게 평가되었고, 검사방법 B와 C는 근소한 차이로 B가 높은 평가를 받았다. 본 연구를 통해 제안한 간단한 보조기구(support device)를 이용한 슬관절 측면 촬영 검사방법은 다소 복잡한 준비과정 없이도 기존의 권고 방법과 큰 차이가 없는 관절 강의 묘사가 가능하고, 검사의 진행과정에서 검사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