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신중독증의 모성사망에 대한 고찰

        조양현(YH Cho),이수자(SJ Lee),한승희(SH Han),민보은(BE Min),신영우(YW Shin) 대한산부인과학회 197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2 No.9

        1969년 1월부터 1977년 12월까지 9년간 일신 부인병원에서 사망한 산모 149명 중 임신중독증으로 인하여 사망한 71예를 대상으로 임상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산과입원수에 대한 임신중독증의 발생빈도는 35.3%였다. 2. 모성사망율은 1,000생아 출생당 3.6이었고, 그중 임신중독증으로 인한 사망은 1.7%이었다. 3. 모성사망 149예중 75.2%가 직접적 사인, 20.8%는 간접적 사인, 4.0%는 비관련성 사인으로 사망하였다. 4. 모성사망 149예중 71예는 임신중독증으로 인한 사망이었고 이중 임신중독증이 직접 선행 사인이었던 예가 61예, 중요한 기여인자였던 예가 10예였다. 5. 임신중독증의 가장 빈번한 사인은 심부전증과 뇌혈관질환이었고, 이 두 질환이 약 72%를 차지하였다. 6. 연령은 25∼29세군에서 51.7%로 가장 많았으나 사망률은 고위험을 임신군인 35세 이상군에서는 높았다. 7. 초산산모에서 39.4%로 가장 많았으며 5회 이상 경산에서 사망률이 가장 높았다. 8. 산전진찰을 1회로 받지 않았던 예가 95.8%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9. 병원도착후 24시간내에 사망한 예가 57.7%였다. 10. 자간증과 전자간증에서는 정기적 산전진찰을 받은 예에서는 그 발생빈도가 현저히 감소하나 비분류 고혈압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다. The 149 maternal deaths which occurred at Ⅱ Sin Women`s Hospital between Jan. 1969 and Dec. 1977 are reviewed. 76 of these deaths were associated with toxemia of pregnancy, and in all but 5 cases toxemia was related to the cause of death. The detailed results of the review a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toxemia in all obstetric admissions was 35.3%. 2) Overall maternal mortality rate was 3.6/1000 live births and of these 1.7/1000 live births were due to toxemia. Over the period of review there was a consistent decrease in the maternal mortality rate except for a peak in 1972. 3) Of 149 maternal deaths 75.2% were due to direct obstetric causes, 20.8% were due to indirect obstetric cuses, 4.0% were not related to obstetrics. The major direct obstetric causes were toxemia, 47.7% hemorrhage 14.8% and infection 8.7%. 4) In 71 of the 149 maternal deaths toxemia was related to the cause of death, either as a direct antecedent cause, 61 cases, or as a significant contributing factor 10 cases. 5) In the toxemic deaths the most common causes of death were cardiac failure and C.V.A. which comprised 72.1% of cases. 6) Various factors were studied in toxemic related death. a) Age distribution : 31.0% were in the 25-29 age group but this group also comprises the largest percentage percentage of obstetric admissions. Compared to the overall distribu of obstetric admissions the highest mortality was in the over 35 age group. b) Partiy : 39.4% were primipara but compared the distribution of parity in the obstetric admissions the highest mortality was in para 5 and over. c) Antenatal care : 95.8% of patients had not received any antenatal care at this hospital. d) Time of death : 57.7% died within 24 hrs of arrival at the hospital. 7) The incidence of toxemia in all obstetric admissions was reviewed it was noted that the incidence of eclampsia and preeclampsia decreased with regular antental care, but the incidence of unspecified hypertension was not related to the degree of antenatal care.

      • KCI등재

        제왕절개술 흉터에 발생한 자궁내막증 1예

        이수자(SJ Lee),조양현(YH Cho),박명희(MH Park),양숙기(SK Y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8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4 No.5

        저자들은 1979년 3월 본 병원에서 한국인에 희귀한 제왕절개술 흉터에 발생한 자궁내막증 1 예를 경험하였기에 간략한 문헌고찰과 아울러 증례를 보고하였다. A case of endometriosis in the abdominal scar following cesarian section occuring in a patients admitted to Il sin women`s hospital in March 1979 is reported and the relevant literature is review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