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리스크 곡선을 활용한 사회재난 인명피해 위험도 분석 연구

        조심정(Cho Simjung)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2

        본 연구에서는 최근 11년(2005~2015)간 국내에서 발생한 사회재난 데이터를 수집하여, 리스크 곡선을 활용한 인명피해 위험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ⅰ) 사회재난 유형별 위험도를 분석하였으며, (ⅱ) 가장 최근 연도인 2015년도 위험도를 산출하여 현재 사회재난의 위험수준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형화재, 해양사고가 위험을 수용할 수 없는 very high-risk 영역에 포함되며, 산불, 붕괴, 감염병, 지하철사고는 high-risk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2015년 전반적인 사회재난의 위험도는 전년 대비 감소하였지만, 최근 3년, 5년, 10년 연평균과 비교하여 높다. 또한 사례분석으로 2015년 대형화재의 위험도 역시 2014년을 제외하고 과거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고위험군 사회재난은 국가 및 지역 안전관리계획에서 집중관리 분야로 다루어야 하며, 적절한 위험 저감방안 및 재난관리 사업을 필수적으로 마련하여 인명피해 예방을 위한 철저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This study performs a risk analysis on human casualty of social disasters based on F-N curve, using collected data over the past 11 years in Korea (2005~2015). The study objectives were as follows: (ⅰ) to analyze and compare risk by social disaster types; and (ⅱ) to identify and confirm the risk level in 2015, the most recent year. The results indicated that fire and marine accident were in the very high-risk (i.e., above intolerable risk criteria); wild fire, collapse, infectious diseases, and urban railway accident were in the high-risk; and the overall risk level of social disasters in 2015 was higher than the annual averages of the previous 3, 5, 10 years, although it was lower than that of 2014. Furthermore, the annual risk of fire in 2015 was also higher than that in the past years, except for that in 2014. Therefore, the safety control plans of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focus on these high-risk types of disasters, the safety plans must implement proper risk mitigation measures and disaster management projects in high-risk types.

      • 통계자료 활용 안전사고 위험도 분석을 통한 재난안전예산 중점투자 유형 선정

        조심정(Cho Simjung),최승용(Choi Seungyong)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지 Vol.18 No.4

        본 연구에서는 최근 5년(2012-2016)간 국내 주요 23종 안전사고에 대한 발생건수 및 사망자, 부상자, 재산피해, 사회재난 발생건수 등 피해 통계데이터를 수집하여, 사고 유형별 (ⅰ) 인명피해위험도 (ⅱ) 재산피해위험도 (ⅲ) 사회영향위험도를 분석하였다. 발생건수를 활용하여 사고의 발생비율을 산출하였으며, 부상자에 가중치를 곱한 후 사망자와 합산하여 인명피해를 추정하였다. 또한 인명, 재산 및 사회영향위험도는 유형별 사고 발생비율과 인명피해, 재산피해, 사회재난 발생건수를 각각 곱하여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인명피해위험도가 높은 사고유형은 도로교통, 화재, 추락, 등산, 자전거 순으로 나타났고, 재산피해 위험도는 화재, 산불, 환경오염, 수난, 철도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사회영향위험도는 화재, 해양, 환경오염, 붕괴, 철도, 산불, 공단내시설 등이 고위험군에 포함된다. 이와 같은 위험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재난안전예산 중점투자 유형 결정을 위해 각 위험도 별로 위험도가 높은 상위 10개 유형을 선정하였고, 이 중 2개 이상의 위험도에서 중복되는 유형을 최종적인 중점투자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결과, 화재, 추락, 수난, 해양사고 등이 중점투자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유형에 대해서는 사고· 재난예방을 위한 집중적인 안전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이러한 유형에 대해 향후 위험요인과 원인 분석을 통해 재난안전예산 투자 및 구체적인 안전관리사업의 추진이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s risk of (ⅰ) human casualty, (ⅱ) property damage, and (ⅲ) social impact by 23 major accident types in Korea, using collected statistical data: occurrence number of accidents, fatalities, injuries, property damage and cases of social disasters. The accident occurrence ratio was calculated based on the number of accidents. Human casualty was estimated by adding fatalities and weighted injuries. Each risk of human casualty, property damage, and social impact was multiplied the accident occurrence ratio by human casualty, property damage and social disasters cases respectively. In the results, road traffic, fire, falling, climbing, bicycle were high-risk types of human casualty; Fire, wildfire, environmental pollution, water-related, railway were high-risk types of property damage; Fire, maritime, environmental pollution, collapse, railway, wildfire, industrial facility were high-risk types of social impact. For the selection of accident types to be given priority in disaster and safety budgets, the top 10 high-risk accident types were chosen in three different risk. Among those, as high rankings in 2 risk or more, fire, falling, water-related and maritime accidents were finally selected for prior investment. Therefore, intensive safety disaster management is needed for these high-risk accident types. In addition, budget investment and specific projects should be implemented with identification of hazard and causes of acci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