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궁경부상피암의 임상 및 병리조직학적 고찰

        강윤석(YS Kang),김태준(TJ Kim),조성욱(SH Cho) 대한산부인과학회 198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3 No.6

        1968년 11월 1일부터 1978년 6월 30일가지 만 9년 8개월동안 고려병원 산부인과에서 취급한 총 50예의 자궁경부상피내암을 임상및 병리조직학적으로 고찰해 본 결과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년령별 분포는 40∼44세군이 17예934%)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35∼39세군의 12예(24%)로 35∼44세군이 과반수 이상을 차지했다. 평균년령은 41.2세였다. 2. 결혼생활기간별 분포는 16∼20년군에 17예(34%)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21년이상군 16예(32%)였으며 평균결혼생활기간은 22년이었다. 3. 평균임신회수는 6.3였고 평균분만회수는 3.5회였으며 분만경험이 없었던 1예는 32세로서 1회의 자연유산경험이 있다. 4. Papanicolous smear가 시행된 43예중 class III가 11예(25.6%), classIV 또는 V가 27예(62.8%)로 abnormal pap smear는 38예(88.4%)였으며 나머지 5예(11.6%)는 가음성인 classI 또는 II로 나타났다. 5. 부인과적인 증상을 호소한 예는 32예(64%)였으며 이중 자궁경부 접촉출혈이 14예(43.7%), 체하(Leukorvhea)가 9예(28.1%), 자궁부정출혈이 8예(25%)의 순이였다. 6. 자궁경부의 육안적 소견은 42예(84%)에서 미란이 있었고 6예(12%)는 정상이었다. 7. 진단방법으로는 대부분 Abnormal pap smear이거나 Punch biopsy에서 상피내암으로 진단된 후 원추형생검에 의해 확진되었다. 8. 원추형생검후 척출된 자궁의 병리학적검사에서 잔유암이 없었던 것이 24예(61.5%)였으며 잔유암이 있었던 것이 15예(38.5%)였다. 9. 치료방법으로는 46예(92%)에서 전자궁척출술을 시행하였으며 1예는 임신을 더 원하므로 원추형생검후 계속 관찰중이다. 나머지 3예는 Punch biopsy 또는 원추형생검후 그 이상의 치료를 거부 하였다. 10. 소정의 치료를 받은 자중 24예(68%)가 6개월에서 5년간 계속 관찰되었는데 아직 재발된 예도 없었고 앞으로 계속 관찰하게 될 것이다. 11. 추가로 상기한 50예의 상피내암 이외에 Punch biopsy에서 상피내암으로 진단되었으나 원추형생검결과 침윤생암으로 확인된 것이 4예 있었고, 원추형생검에서 상피내암으로 진단되었으나 척출된 자궁경부에서 Microinvasion이 나온 것도 2예가 있었다. Fifty patients with intraepithilial carcinoma of the cervix were studied both clinically and pathologically in the Gynecologic ward of the Korea General Hospital, Seoul, from Nov. 1., 1968 to June 30, 1978,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KCI등재

        Intrapartum Electronic Fetal Heart Rate Monitoring의 임상경험

        이춘화(CH Lee),정기성(KS Chung),신수재(SJ Shin),조성욱(SH Cho),안덕호(DH Ahn),황태식(TS Hw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8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6 No.10

        1981년 3월 16일부터 1982년 7월 31일까지 악 1년 5개월간 Electronic F.H.R. monitoring을 시행한 265예에 대한 임상적 관찰을 하여 얻은 주요한 것은 다음과 같다. 1. 265예중 고위험임신군이 157예 (59.25%), 정상임신군 108예 (40.75%) 였으며 고위험임신군은 10종류로 분류 되었는데 주요한 것은 임신성 고혈압, 과숙아 조기파막이였다. 2. Electronic F.H.R. monitoring의 abnormal record는 정상임신군에 17예(17:108 15.74%) 고위험임신 군에서 44예 (44:157=28.0%)로서 총 61예(61:265=23.0%) 였다. 3. 고위험임신군에서 Electronic F.H.R. monitoring의 abnormal record 44예증 late deceleration 13예, Variable deceleration 8예, prloonged deceleration 14예, otbers 9예 였다. 4. Abnormal F.H.R. monitoring이 나타난 61예를 Apgar score를 토대로 하여 분석 하였다. 5. pitocin induction 및 Augmentation을 한 96예와 자연진통군 l69예중 Hypertonic Uterine Contraction으로 인한 prolonged deceleration이 각각 7예(7:96=7.30%)와 4예(4:169=2.37%) 가 발생하였다. 상술한 예는 F.H.R. monitoring중 조기 발견되어 치료됨으로서 fetal distress을 예방할 수 있었다. 6. Electronic fetal heart rate monitoring 시행한 265예중 제왕절개를한 환자는 62예로서 23%의 빈도를 나타냈으며 그중 fatal distress로 제왕절개를한 환자는 23예로서 8.67%였다 7. 대부분의 예에서는 external fetal heart rate monitoring이 임상적으로 이용가치가 있음을 인정하였다. 그려나 앞으로는 internal 과 fetal scalp blood의 P.K 검사를 적극적으로 시행하여 더욱더 정확성을 기하도록 할 것이다. The continuous intrapartum electronic fetal heart rate monitoring has been performed as the primary means of fetal assessment for the improvement of neonata1 outcome.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composed of 265 patients intrapartum fetal heart rate monitorings, who were admitted for delivery at obstetrics and gynecologic department of Korea general hospital in Masan from 16th of march, 1981. to thirty first of july, 1982.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This study was performed on 265 patients who were composed of 157 patients (59.25%) in high risk pregnancy and 108 patients (40.75%) in control group. High risk pregnancies were subdivided into 10 varieties, and 3 major varieties were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post-term and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2. Abnormal records of F.H.R. monitoring were 61 cases (61 : 265=23.0%) which were composed of 17 cases (17 : 108=15.74%) in control group and 44cases (44 : 157 =28.0%) in high risk pregnancy. 3. 13 cases of late deceleration, 8 cases of variable deceleration, 14 cases of prolonged deceleration and 9 cases of others were seen in high risk pregnancy group. 4. 61 cases of abnormal fetal heart rate records were analysed according to Apgar score, birth weight, coiling of cord and type of delivery 5. Proloned decelerations caused by hypertonic uterine contraction were seen 7 cases (7.3%) out of 96 cases of pitocin induction or augumentation and 4 cases (2.37%) out of l69 cases of spontaneous labor. Those cases of hypertonic uterine contraction were detected early by using electronic fetal heart rate monitoring. 6. C/S rate was 23%, i.e. 62 cases in 265 cases of intrapatum electronic fetal heart rate monitoring were performed continuously, however 8.67%, i.e. 23 cases of C/S were performed because of fetal distress. 7. The external electronic fetal heart rate monitoring is proved to be valuable, however internal monitoring and fetal scalp blood P.H. will be carried out effectively to get further precise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