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90년대 이후 현대미술에 나타난 참여예술 비평 연구

        조사라 ( Cho Sa-rah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7 감성연구 Vol.0 No.15

        본 논문은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동시대 예술대안으로 논의되는 참여예술의 미학적 근거와 형성 과정을 알아보고 동시대 작가들에게 보여 지는 참여예술의 시각화 전략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동시대 미술 현장에서 참여예술은 급격하게 부상한 실천적 영역으로 상호작용(interactivity)과 환경(environment), 참여(participation), 매개(mediation), 공간, 사회적 실천 등의 단어들이 유행처럼 번지면서 참여예술을 개념화·이론화하고 있다. 참여예술을 부르는 명칭도 공동체 예술, 관계의 예술 등 다양하다. 이처럼 용어와 개념의 혼재는 참여예술의 위력을 보여주는 예이지만, 보는 시각에 따라 용어 등이 상이해 혼선을 주고 있어 이를 아우르는 개념화가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다.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구심점을 잃은 현대미술 상황을 고려할 때 사회적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하는 참여예술은 인간성이 상실되어가고 자본화된 사회현상을 해결해주는 처방전으로서 역할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논문을 통해 참여예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체계적인 이론화와 개념 정립이 이뤄지길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aesthetic basis and formation process of participative arts which are discussed as contemporary art alternatives after postmodernism and to study visualization strategies of participative arts shown to contemporary artists. Participating art in contemporary art scene is an emerging practical area that conceptualizes and theorizes as interactivity, environment, participation, and mediation words spread like fashion. The concept of referring to participatory art also includes relational aesthetics, community art, collaborative art, paticipatory art, public art, new genre art, etc. The combination of the terms and concepts is an example of the power of participating arts, but it is time to conceptualize it because the terms are different and blurred according to the viewpoint. Therefore, I hope that systematic theorization and conceptualization will be achieved through the active research on participatory art through this paper.

      • KCI등재후보

        재미 작가 김보현 작품의 디아스포라 이미지 분석

        정금희(Jung, Kum Hee),조사라(Cho, Sa Rah)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3 디아스포라 연구 Vol.7 No.1

        1955년 도미한 화가 김보현은 한국 근현대미술사에 있어서 마지막 남은 추상표현주의 1세대로 미술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인물이다. 그는 굴곡의 한국 근현대사 속에서 좌우 이념의 희생양이 되어 고국을 등진 후 60년 가까이 뉴욕에서 작업 활동을 하고 있다. 김보현은 한국에서 3차례나 정신적ㆍ신체적으로 고통을 겪게 되면서 한국 화단과 40년 간 단절하였다. 도미 후 그의 60여년 화업에 있어서 고국에서 받았던 트라우마는 예술의 근원으로 작용했다. 디아스포라의 전형적 삶을 살았던 김보현의 예술세계도 자연 그로부터 자유롭지 못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디아스포라적인 김보현의 예술을 이해하기 위해 먼저 재미 한인사와 미술사를 알아본다. 미국으로 이주한 한인들은 초기에는 하와이와 로스앤젤레스를 중심으로 살았으나 1950년대 이후 미국 전역으로 확산된다. 김보현이 도미했던 당시 뉴욕은 현대미술의 메카로 떠오르면서, 전 세계 수많은 미술가들을 비롯해 한국 작가들도 서서히 모여들었고, 현대미술의 흐름을 주도하고 있었다. 본 논문은 김보현의 작품 속에 드러나는 디아스포라적 이미지와 특성이 무엇이며, 그의 예술이 지닌 의미와 가치에 대해 문제를 제기시켜 본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오늘날 디아스포라 미술의 의미와 디아스포라의 정의 및 형성을 알아보고 김보현 예술을 이러한 디아스포라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범주는 김보현이 미국으로 이주한 1950년대 말부터 1960년대 초창기 작품을 중심으로 한다. 김보현 예술에 대한 디아스포라적 관점의 분석은 현대미술에 드러난 디아스포라적 이미지와 특징을 도출해낼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이다. 또한 글로벌 시대 디아스포라적 관점에서 한국의 정체성과 특질을 연구한 사례로 의미를 가지며, 한국근현대미술사의 한 영역으로서 재미 작가 재조명 측면에서도 일정 부분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Bo-hyun Kim, Korean-American artist, went to America in 1955. He is the last one of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abstract expressionists, having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art history. Kim was scapegoated in the long and winding modern history of Korea, and forced to leave his native country. He has been in New York for six decades. After he suffered both mental and physical pain three times in Korea, Kim had to cut himself from the Korean artist community for over four decades. The trauma he has had to endure over the past six decades has always been the source of his artistic inspiration. Kim who had to flee his native country is a classic example of ‘diaspora’. This study examines the Korean-American history and the American art history first to understand his works inspired by diaspora. The Korean-American history traces back to 1903 when the Gaelic docked in Honolulu with around 100 Korean immigrants - who left their home country to pursue the American Dream - aboard. It has been 110 years since then, and around two million Koreans now live in the United States. Early generations of Korean Americans settled first in Hawaii and Los Angeles, and, in the 1950s, they started to spread across the country. Currently, the 40 percent of Korean Americans live in New York and Los Angeles, the two largest cities in the United States. When Bo-hyun Kim arrived at New York first, the city was rising as the mecca of contemporary American art, attracting many artists around the world including those from Korea and leading the contemporary art trend of the time. This study analyzes the images and characters of diaspora that is melted in his works, and raises questions on the implications and values of his works in art history. To do so, the implications of today’s diaspora art and the definition and development of diaspora are reviewed.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Kim’s early works from the late 1950s to the early 1960s. Analyzing Kim’s works from the aspect of diaspora will serve as a ground to extract general images and characters of diaspora that is expressed in modern art. It will also have implications for studying the identity and characters of Korea from the same perspective in this global era, as well as for contributing to the history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art by discovering and shedding new light on Korean-American arti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