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탁도 해수원수 특성에 적합한 응집 -여과 공정의 최적화

        손동민(Dong Min Son),조명흠(Myeong Heum Jo),김정숙(Jeong Sook Kim),강임석(Lim Seok Kang) 大韓環境工學會 2014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6 No.4

        본 연구는 RO 해수담수화 전처리 공정으로써 응집 및 여과공정에 대하여 수행되었다. RO 시스템은 충분하고 안정적인 전처리를 통하여 RO 막오염을 완화 할 수 있는 우수한 수질을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실험은 RO 막 공정의 전처리로서 다양한 응집제 주입량, 응집 교반 강도 및 시간, 탁도, 여과속도 실험 조건을 사용하여 응집과 여과공정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적합한 RO 공급수로 적절한 SDI 값을 나타내기 위한 최적 전처리 조건은 응집 pH 6.5, 탁도 4 NTU 이상 그리고 여재 충진 높이가 550 mm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응집교반 강도, 응집제 주입농도와 여과속도는 여과효율에 비교적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is focused on coagulation and sand filtration process as a pretreatment of RO seawater desalination. RO systems require sufficient and reliable pretreatment process to produce superior quality of RO feed water that can mitigate RO membrane fouling.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coagulation and filtration process under various experimental conditions including different coagulant dose, flocculation mixing intensity and time, turbidity, and filtration rat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optimum pretreatment conditions resulting in lower SDI value suitable for RO feed water were coagulation pH 6.5, raw water turbidity greater than 4 NTU, and media bed depth greater than 550 mm. However, flocculation mixing intensity, coagulant dose, and filtration rate relatively affected little on the filtration efficiency.

      • 재난관리를 위한 통합영상정보 활용방안 연구Ⅱ

        박영진(Young Jin Park),조명흠(Myeong Heum Jo),이원호(Waon Ho Yi) 대한공간정보학회 2010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0 No.1

        본 연구는 금년부터 국립방재연구소에서 추진 중인 『지능형 영사정보인식기술을 이용한 재난관리 고도화 기법 개발』연구사업과 관련하여 기존의 재난관리기법에 대한 위험감지기술의 첨단화, 고도화에 대한 개발방향에 대해 논하였다. 특히, 재난유형별 위험상황인지에 관하여 CCTV영상정보의 활용가능성과 방향에 대해서 소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