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삼국유사』 「피은」 편의 편찬 의도와 그 의미에 관하여

        조리라(LeeRa Jo) 慶熙大學校 大學院 2021 高凰論集 Vol.69 No.-

        『삼국유사』는 1281년경 고려의 승려 일연이 편찬한 사서이다. 일연의 『삼국유사』에 관한 연구는 끊임없이 이루어져 왔다. 문학적·역사적·종교적 측면 등에서 가치가 있다는 점을 중심으로 『삼국유사』에 관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진 것이다. 다만 『삼국유사』는 5권 9편목으로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편목에 관한 논의는 아직 다각도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하지만 각 편목 모두 일연이 편찬 의도를 가지고 『삼국유사』의 구성으로 포함시켰을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타 편목들에 비해 연구가 덜 되어 있는 「피은」 편을 살펴보고 일연이 이 편목을 설정한 이유와 그 의미에 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우선 『삼국유사』의 의의를 다시 한 번 확인하고, 「피은」 편에 관한 분석을 진행할 것이다. 『삼국유사』는 한국 고대사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역사서 중 하나로 손꼽히며 문학과 철학 등 인문학 분야에서도 독보적인 의미가 있는 책이다. 뿐만 아니라 향찰이나 이두로 작성된 내용의 글도 실려 있으며, 정사가 아닌 야사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도 독보적인 의미를 지닌다. 『삼국유사』에는 총 9개의 편목이 있으며, 각각이 제목이 붙어 해당 제목에 속하는 이야기들을 한데 모아 수록하고 있다. 이 중 여덟번째 편목인 「피은」 편은 승려를 비롯한 다양한 계층의 인물들의 출가 및 수행, 득도와 죽음 등 일련의 과정에 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그리고 이 과정을 통해 일연이 추구하는 진정한 불교, 진정한 깨달음 그리고 진정한 피은, 즉 은거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일연은 승려 혼자만의 수행과 득도를 불교의 종착점으로 설정하지 않았다. 승려라는 특정한 계급이 아니더라도 누구나 수행을 통해 득도할 수 있으며, 길고 어려운 수행 과정을 거치지 않더라도 하나의 계기로 득도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을 그려 뭇 사람들에게 가까이 다가가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수행과 득도가 그 끝이 아니며, 포교를 통해 더 널리 알리는, 즉 불교홍통의 이념을 『삼국유사』의 「피은」 편을 통해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따라서 피은은 비단 속세를 떠나 숨어 살며 혼자 수행하고 득도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현실과 단절된 은거만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 참여, 세상과의 소통 등 속세와 현실의 상호 관련성 측면에서 같이 고려되어야 하는 부분인 것이다. 일연 역시 속세에서의 삶과 승려로서의 삶을 동시에 추구하였기 때문에 『삼국유사』를 통해 이상적인 은거의 양상을 전달하고자 한 것이며, 이러한 일연의 생각이 가장 잘 반영된 편목으로 「피은」 편을 꼽을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일연은 삼국유사를 통해 민족적 자주정신과 불교에 의한 민중구원을 강조하고자 했음으로 보인다. 속세를 떠나 자기 수양만 하는 모습이 아니라 불교의 교리를 사람들에게 전달하는 모습을 제시하며, 포교와 교화가 필요함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피은」편의 조목이 불립문자 등 불교의 이치를 통해 불교홍통을 실현하는 모습을 보이며, 일연이 『삼국유사』를 통해 말하고자 한 바를 잘 전달하고 있다. 「피은」 편의 경우, 서사가 약하거나 타 편목과 이야기가 겹치고 편목만의 특성이 없다는 이유로 타 편목에 비해 연구가 다소 적게 이루어졌다. 하지만 각 조목을 살펴보면 「피은」 편은 일연의 불교의 깨달음에 관한 생각을 뚜렷하게 드러내고 있다. 성과 속의 합일과 불교홍통 등 승려로서 일연이 깨닫고 전달하고자 한 바를 조목에 잘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피은」 편만의 특성을 찾을 수 있다. 『Samgukyusa』 is a book compiled by Il-yeon, a Buddhist monk of Goryeo, around 1281. Research on a series of 『Samgukyusa』 has been conducted constantly. Various discussions have been made on 『Samgukyusa』,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y are valuable in terms of literature, history, and religion. 『Samgukyusa』 consists of a variety of five volumes and nine articles, but discussions on some of them have not yet been made from various angles. However, all of these articles would have been included in the composition of 『Samgukyusa』 with the intention of compilation by Il-yeon. Therefore,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examine the chapter of "Pi-eun" , which is less studied than other articles, and find out the story and meaning that Il-yeon wanted to convey through this chapter. There are a total of nine editions of 『Samgukyusa』, each of which has a title and contains stories belonging to the title together. Among them, the eighth edition, “Pi-eun”, tells the story of a series of processes, such as the marriage and practice of monks and other people from various classes, as well as asceticism and death. And through this process, it explains the true Buddhism, true enlightenment, and true hermitage, which pursued by Il-yeon. Il-yeon did not set the practice and asceticism of the monk alone as the end point of Buddhism. It seems that anyone, even if they are not a specific class of monks, can gain through practice, and they can gain through one opportunity without going through a long and difficult practice process, so they seem to have tried to get close to many people. And practice and gain are not the end, and it was intended to reveal the ideology of Buddhist more widely through missionary work, that is, through the chapter of Pi-eun. Therefore, Pi-eun does not just mean to leave the world, live in hiding, perform and gain alone. It is not only about hermitage that is disconnected from reality, but also in terms of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world and reality, such as participation in reality and communication with the world. Since Il-yeon also pursued life in the world and life as a monk at the same time, he tried to convey his ideal seclusion and reflection of it in reality through his writings, and the chapter of Pi-eun is one of the best reflecting his thoughts. In the case of the chapter of "Pi-eun", som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compared to other stories because the narrative is weak, the story overlaps with other stories, and there is no unique characteristic of the story. However, if you look closely at the chapter, it clearly reveals your thoughts on the enlightenment of Buddhism.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pter of Pi-eun can be found in that it reflects what Il-yeon wanted to realize and convey as a monk.

      • KCI등재
      • 제주도 서사무가에서의 서천꽃밭의 역할과 의미 : <이공본풀이>와 <세경본풀이>를 중심으로

        조리라(Jo LeeRa) 慶熙大學校 大學院 2020 高凰論集 Vol.67 No.-

        제주도 큰 굿의 제의 중 일부 작품에는 서천꽃밭이 등장한다. 이때 서천꽃밭은 대게 등장인물들이 겪고 있는 갈등 해소의 공간, 혹은 목적 달성 보조의 공간 등으로 기능을 한다. 서천꽃밭에 있는 갖가지 신이한 꽃들의 능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거나, 원하는 바를 성취할수 있기 때문이다. 작품 내에서 제시되는 양상을 통해 서천꽃밭의 특징을 확인할 수있다. 먼저 서천꽃밭은 특정 직능을 부여받은 자가 아니고서는 쉽게 찾아갈 수 없는 신비로운 공간으로, 일상생활과 사뭇 유리된 것으로 여길 수 있는 공간이다. 하지만 동시에 삶과 죽음에 직접적으로 관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일상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공간이기도 하다. 그 공간의 무게가 결코 가볍지 않은 것이다. 이러한 서천꽃밭은 작품 내에서 등장인물의 문제 해결 혹은 목적 달성을 보조하는 공간으로 역할을 한다. 신성세계에 회귀하여 원망사 항을 이루어내는 원리를 반영하고 있는 갈래인 서사무가 속에서 이러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은, 갈래의 특성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종합적으로 서천꽃밭은, 서사무가 내에서 독보적인 의미를 지니고 그만의 역할을 수행하는 공간이며, 서사무가라는 갈래의 특성을 잘반영하고 있는 공간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를 확인할 수 있다. The flower garden of the west appears some works of Jeju narrative myth. At this time, the flower garden of the west usually functions as a space for resolving conflicts or helping the characters achieve their goals. This is because characters can solve problems or achieve goals through the flower which has supernatural abilities in the flower garden of the we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ower garden of the west can be seen through the patterns presented within the work. First of all, the flower garden of the west is a mysterious space that cannot be easily visited without a person who is given a certain job. But at the same time, it is a space that can have a big impact on daily life that can be directly involved in life and death. The flower garden of the west functions as a space for resolving conflicts or helping the characters achieve their goals. Narrative myth is a genre that reflects the principle of returning to the Holy World and achieving goals. Therefore, the flower garden of the west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rrative myth. Overall, the flower garden of the west is a space that has a unique meaning and performs its role within the works, and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rrative my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