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광역 DIS 응용프로그램을 위한 분산 코어방식의 멀티캐스트 프로토콜의 설계 및 검증

        조건호(Gun Ho Cho),김원태(Won Tae Kim),박용진(Yong Jin Park) 한국정보과학회 199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2Ⅲ

        본 논문에서는 광역 DIS(Large-Scale Distributed Interactive Simulation) 응용프로그램에 적합한 멀티캐스트 프로토콜인 DCBT(Distributed Core-Based Tree)모델을 제안한다. CBT는 네트워크상에 선택된 중앙 코어(primary Core)를 중심으로 형성된 공유트리(shared tree)를 통해 멀티캐스트 데이타를 전송하지만 중앙코어의 병목현상, 우회경로(sub-optimal path)에 의한 전송지연, 그리고 중앙코어의 기능장애에서 유발되는 세션의 마비 등 단점들을 안고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PIM-SM는 RP를 중심으로 공유트리를 형성하며, 상황에 따라 임계치이상의 트래픽을 유발하는 송신자로부터 수신자까지 최단경로를 채택할 수 있는 트리전환(tree switching)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PIM-SM는 이러한 특성때문에 트리에 참여하는 라우터들이 유지해야하는 라우팅정보를 폭주시켜 광역 DIS 환경에는 적합지 않다. DCBT는 네트워크를 분할해 각각에 지역코어(Region Core)를 두고, 지역내의 멀티캐스트 데이타는 지역코어를 중심으로하는 양방향 공유트리를 통해 전송되며, 지역간의 데이타 전송은 지역코어간의 터널(tunnel)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황에 따라 트래픽 임계치를 넘어서는 송신측의 지역코어로부터 수신자까지 최단경로를 채택함으로써 전송지연을 단축함과 동시에 병목현상을 예방하고 라우팅정보를 감소시킴으로써 CBT와 PIM-SM가 광역환경에서 안고있는 단점들을 극복하고 있다.

      • 농업용 저수지의 필요수량 산정 설계인자별 민감도 분석

        조건호 ( Gun Ho Cho ),최경숙 ( Kyung Sook Choi ),권형중 ( Hyung Joong Kwon ),남원호 ( Won Ho Nam ) 한국농공학회 201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8 No.-

        농업용 저수지의 이수안전도 분석에 있어 중요한 설계인자를 파악하고자 저수지 설계모형인 농어촌공사 수리시설물모의 조작프로그램(HOMWRS)의 입력자료 중 필요수량 산정 주요 입력자료를 대상으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농업용 저수지의 필요수량 산정을 위한 HOMWRS의 입력자료에는 관개면적, 재배기간(작부시기), 침투량, 작물계수, 담수심, 수로손실 등과 기상자료로 강수, 최저 및 최고 기온, 상대습도, 일조시간, 평균풍속을 포함한다. 이중 작물계수, 작부시기, 기상자료를 제외한 관개면적, 수로손실, 담수심, 침투량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한 설계인자별 기준치와 상하한치는 통계연보, 기존연구사례, 모형의 기초값 등을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관개면적의 경우 하한치 0ha에서 상한치 3,200ha로 증가할 경우 기울기가 8.2로 가장 높게 나타나 민감도 분석을 실시한 4개의 설계인자 중에서 필요수량 산정결과에 가장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민감한 설계요소는 수로손실로서 하안치 0%에서 상한치 60%로 증가할 경우 5.1의 기울기를 나타내 관개면적 다음으로 필요수량 산정결과에 민감하게 나타났다. 그 다음은 침투량으로서 하안치 0mm/day에서 상한치 10mm/day로 증가할 경우 4.2의 기울기를 나타내어 수로손실 보다 약간 낮은 민감정도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담수심의 경우 필요수량 산정결과와는 음의 관계를 가지므로써 하한치 0mm에서 상한치 100mm로 증가할 경우 -2.6의 기울기를 나타내어 4개의 설계인자 중에서 필요수량 산정결과에 가장 낮은 민감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필요수량 설계요소 4개를 대상으로 한 필요수량에 대한 민감도는 관개면적 > 수로손실 > 침투량 > 담수심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각각의 설계인자별 변화에 따른 필요수량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므로 농업용수 수요량 산정의 신뢰도 확보를 위해서는 설계인자별 괸측기반의 자료를 사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특히 민감도가 높게 나타난 관개면적의 현실성과 수로손실의 현장여건 반영이 중요한 인자로 판단된다.

      • KCI우수등재

        이앙시기 및 담수심 변화에 따른 논벼 수요량 변화 분석

        조건호 ( Cho Gun-ho ),최경숙 ( Choi Kyung-sook ) 한국농공학회 2021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63 No.3

        This study evaluated variations in the paddy rice water demand based on the continuous changing in rice transplanting period and ponding depth at the four study paddy fields, which represent typical rice producing regions in Korea. Total 7 scenarios on rice transplanting periods were applied while minimum ponding depth of 0 and 20 mm were applied in accordance with maximum ponding depth ranging from 40 mm to 100 mm with 20 mm interval. The weather data from 2013 to 2019 was also consider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highest rice water demand occurred at high temperature and low rainfall region. Increased rice transplanting periods showed higher rice water demand. The rice water demand for 51 transplanting days closely matched with the actual irrigation water supply. In case of ponding depth,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inimum ponding depth had a proportional relationship with rice water demand, while maximum ponding depth showed the contrary results. Minimum ponding depth had a greater impact on rice water demand than the maximum ponding depth.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creasing the rice transplanting period, which reflects the current practice is desirable for a reliable estimation of rice water demand.

      • 기존 농업수자원 산정방법 검토

        조건호 ( Gun Ho Cho ),최경숙 ( Kyung Sook Choi ),이재남 ( Jae Nam Lee ),권형중 ( Hyung Joong Kwon ) 한국농공학회 201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8 No.-

        농어촌용수의 효율적인 개발·이용 및 보전 등을 위하여 「농어촌정비법」에 의해 수립되는 농어촌용수이용합리화계획(이하 합리화계획)은 장래 목표연도(2024년)의 농어촌용수 수요량을 추정하는 것이다. 합리화계획은 개발여건과 지역 특성을 감안한 농촌용수 10개년 개발계획으로, 10년 한발빈도 가뭄에 대비 수리안전답 확대로 물이용 안정성 확보와 기후변화 및 여건 변화에 따른 안정된 용수공급체계구축을 목표로 하여 2015∼2024년의 시간적 범위와 511개 용수구역인 공간적 범위를 대상으로 수립된다. 그러나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지속적인 가뭄과 논·밭면적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목표연도의 논·밭 용수 수요가 달라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중장기 용수공급 및 수요량의 재산정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논·밭 면적은 감소추세이나 단위수요량은 증가하고 있어 용수의 수요량 및 공급량 산정방법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수 산정방법의 개선을 위하여 기존의 농업용수 수요량 및 공급량 산정방법의 문제점들을 검토해 보았다. 합리화계획과 더불어 우리나라 수자원관련 국가 최상위계획인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이하 수장기)과 국외 FAO, OECD에서 채택하고 있는 산정방법들에 대해 각각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농업용수관련 국가계획인 수장기와 합리화계획의 산정방식이 차이가 있고, FAO에서 채택하고 있는 공급위주의 산정방식과도 차이를 나타내었다. 특히 수장기와 합리화 계획의 경우 계획기간과 목표연도의 차이와 수요량·공급량 산정방법의 차이가 있어 국가단위 수자원정책 수립시 혼란이 가중될 수 있는 여지가 있었다. 따라서 두 계획의 목표연도 조정과 농업여건 변화 및 기후변화를 고려하여 농업용수 산정방법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합리화계획과 수장기의 농업용수 산정방법이 수요량 산정의 경우 논밭면적 추정방법과 밭대표작물 선정의 차이, 공급량 산정 경우 물수지분석과 회귀수량을 고려하는 경우(수장기)와 현재시점의 용수공급능력을 적용하고 있는 경우(합리화계획)로 이원화 되어 있어서 통일성 있는 산정방법으로 개선 보완될 필요가 있다. 그 외에도 현재의 산정방법은 기후변화에 따른 작부시기 및 작물계수의 변화를 전혀 반영하지 않고 있으며, 경지면적의 변화와 못자리면적의 감소, 생산량증대, 품질보전, 농작업효율 향상을 위한 물관리 수량의 증대 요소 등을 고려하지 않고 있어 이를 합리적으로 개선할 방법론의 도출이 필요하다.

      • 기후인자 변화에 의한 농업용 저수지 이수안전도 분석

        조건호 ( Gun Ho Cho ),최경숙 ( Kyung Sook Choi ),권형중 ( Hyung Joong Kwon ),남원호 ( Won Ho Nam ) 한국농공학회 201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8 No.-

        이수안전도란 수자원 공급시설이 용수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물 공급의 안정성 정도를 나타내며, 설정된 수요량을 공급할 수 있는 확실성을 의미하고 확실성은 확률 또는 빈도개념으로 표현된다. 국내 다목적댐의 경우 보장공급량 기준에서 신뢰도 기준을 권장하지만, 농업용 저수지의 경우에는 관개시기별 조용수량(수요량)과 10년 빈도 한발시의 하천유량(공급량)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통계연보상의 10년 한발빈도 저수지들의 용수공급능력은 최근 기후변화에 의한 연속적인 가뭄사상에 낮은 저수율을 나타냈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역환경의 변화로 인해 농업용수 공급체계 상황이 변화하여 이를 고려한 이수안전도의 재평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 저수지의 이수안전도 개념을 한발빈도 개념으로 적용하여, 최근 영농대비 용수확보 추진지구에서 선정한 11개 시범지구를 대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작물계수 변화와 작부시기 변화에 따른 이수안전도를 분석하였다. 기상자료는 1987∼2016년까지 최근 30년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작물계수의 변화는 최근 농촌진흥청의 연구자료를 반영하였고, 기후변화 및 벼 품좀개량(조생종 선정)에 따른 작부시기 변화는 현장조사 결과를 반영하였다. 그 결과 시범대상 저수지 중 금광, 덕우, 학, 개운 저수지의 경우 10년 한발빈도를 나타났으나, 송강, 학정 저수지는 3∼4년 한발빈도를 나타내었고, 그 외 냉정, 풍전,금마, 왕궁, 제산, 덕곡 저수지는 모두 2년 이하의 낮은 한발빈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시범지구의 주수원공을 대상으로만 분석된 것으로서 수혜구역내 보조수원공의 역할을 고려할 경우에는 보다 높은 이수안전도를 나타낼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에는 현장여건을 반영한 이수안전도의 평가가 필요하며, 특히 경지면적 변화와 영농패턴 변화 등 농업현장 변화요소를 고려한 농업용 저수지의 이수안전도 재평가가 반드시 필요하다.

      • KCI우수등재

        경천가뭄지역 농업용수 공급량의 수로손실 분석

        조건호 ( Gun Ho Cho ),문진경 ( Jin Kyoung Moon ),최경숙 ( Kyung Sook Choi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6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channel water loss of agricultural water supply in the command areas belong to Yechon irrigation channel of Gyeongcheon reservoir located Mungyeong-si, which area experienced a severe drought in 2015. The channel water loss was estimated by comparison of the irrigation water requirements (IWR) and agricultural water supply of the field data from 2012 to 2015. Further analysis was conducted to define the conveyance loss estimated based on the leakage holes and illegal pumping spots investigated through the field survey, and the distribution loss obtained by subtracting conveyance loss from the channel water loss. The annual rainfall decreased gradually, but the contribution of effective rainfall, available rain water to crop, increased to IWR during the study period. These phenomena resulted in the increase of agricultural water supply, and hence made greater the channel water loss simultaneously. The average channel water losses estimated as 36.8 % with 7.1 % of the conveyance loss and 29.7 % of distribution loss respectively. The distribution loss seems to be related to total number of rainy days, and irrigation schedules, while the conveyance loss was caused by irrigation channel aging conditions and illegal intake problems. In order to achieve sustainable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the channel water loss needs to be reduced through the restoration of aged irrigation facilities and effective water managements in the fields.

      • 농업수자원 산정방법 개선 방안 연구

        조건호 ( Gun Ho Cho ),최경숙 ( Kyung Sook Choi ),이재남 ( Jae Nam Lee ),권형중 ( Hyung Joong Kwon ) 한국농공학회 201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8 No.-

        기존의 농업용수 산정방법은 기후변화 및 실제 현장여건의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농업용수 산정방법의 개선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농업용수 산정방법의 개선을 위한 방안들을 제시하고 현장적용시 제한사항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농업용수 산정방법을 개선하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인자는 기후변화 인자와 현장여건변화 인자이다. 농업용수 수요량 산정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기후변화 인자에는 벼 생육시기 변화로 인한 작부시기 변화, 작물계수의 변화 등이 있으며, 현장여건변화 인자에는 논밭면적 변화, 논경지 밭작물 및 시설재배활용비율 증대, 이모작 증대, 못자리 면적 감소, 담수심 변화, 생산량 증대 등을 위한 단위수량 증대 등이 포함된다. 또한 농업용수 공급량 측면에서는 수로 노후화에 의한 송수손실수량 증대와 회귀수량의 고려, 보조수원공의 역할 고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보조수원공을 고려할 경우, 주수원공과 보조수원공을 분리하여 수혜면적을 산정하여야 하며, 수원 공별로 수혜면적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또한 통합물관리하에서의 유역단위 물관리가 추진될 경우 농업용수를 포함한 유역단위 물수지 분석을 통해 농업용수 공급량을 산정하게 된다. 따라서 통합물관리 제체에서의 유역단위 물관리체제로 전환될 경우 장래 물관리 변화 인자를 고려한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농업용수 산정 방법론의 제시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농업용수 산정방법을 개선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고려 인자들 중에서 경지면적의 변화, 기후변화요소인 작물계수의 변화, 작부시기의 변화 인자와 회귀수량 및 보조수원공 역할의 고려, 수원공별 한발빈도 적용 물수지 분석 및 회귀수량 고려에 대한 농업용수 산정방법의 개선안을 도출하고 이들 방안의 현장 적용시 제한사항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직접무게측량을 통한 한국 가정의 음식쓰레기 특성 분석

        바실아델러둔 ( Bashir Adelodun ),조건호 ( Gun Ho Cho ),김상현 ( Sang Hyun Kim ),이슬기 ( Seul Gi Lee ),최경숙 ( Kyung Sook Choi ) 한국농공학회 201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9 No.-

        Studies on food waste have gained increased attention in recent time due to its adverse effects on the environment and associated waste of resources. It is established that food waste at the consumption stage of the supply chain is more pronounced in the developed countries, among which Korea belongs. Addressing the food waste generation is a promising way to achieving sustainable development goal of the United Nations on sustainable consumption and production patterns which Korea is desirous of pursuing. However, inadequate information on the actual amount of household food waste generation has repressed the appropriate policy interventions designed to reduce and set a performance target for food waste gener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ntity of food waste in Korean households using a novel direct weighing sampling method of characterization. The households were selected from three different housing systems, including apartment (33), villa (31), and house (20).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food waste generated among the sampled Korean households was 0.29 ± 0.20 kg per capita per day, with fruits, vegetable, and rice and rice products contributed highest proportions of 30.04, 26.76, and 14.46%, respectively. The inedible portion accounted for 1.17% of the total food waste. The statistical analyses revealed the non-significant difference (p = 0.3524) in food waste generation among the different housing systems. However, there were variations in the quantity of food waste type among the investigated housing systems. The outcomes of this study can further be explored for the estimation of embedded resources and environmental impacts of household food waste.

      • 파키스탄 푼잡지역 지속가능한 미래 밀생산 및 물생산성을 위한 기후제한요소

        미르자주나이드아흐마드 ( Mirza Junaid Ahmad ),조건호 ( Cho Gun-ho ),이슬기 ( Lee Seulgi ),김상현 ( Kim Sang-hyun ),최경숙 ( Choi Kyung-sook ) 한국농공학회 201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9 No.-

        Pakistan’s food security conditions are worsening because of population explosion, gradually but consistently creeping water scarcity across agricultural lands due to hostile climate change trends and rampant incidents of droughts and floods. Wheat is the primary dietary staple for masses in Pakistan and the country’s wheat production system is under constant stress to produce more to meet the rapidly growing domestic needs. In this work, negative climate change impacts on wheat yield and water productivity (WP) were examined for the semi-arid conditions of largest agricultural province of Punjab, Pakistan; by the end of 2080 under two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RCP) scenarios: 4.5 and 8.5. FAO developed AquaCrop model v 5.0 simulated the future wheat yield and associated WP trends. Three types of WPs including yield per unit of water lost as evapotranspiration (WPET), yield per unit of irrigation water applied (WP<sub>Irr</sub>) and yield per unit of total water input (WP<sub>Tot_Water</sub>) were estimated. Future climate warming of 1 - 3℃ and 2 - 5℃ caused the wheat yield declines in the order of 11 - 15% and 14 - 20% under RCP 4.5 and 8.5, respectively, by the end of 2080. Climate warming also accelerated the crop growth process and cut short the average growth spans by 7 - 12 days and 10 - 20 days during the 2030s (2021 - 2050) and 2060s (2051 - 208), respectively. The three WPs also declined in future, without considering the CO<sub>2</sub> enrichment effects, despite a clear decrease in crop evapotranspiration rates caused by a shortened growth span. WPET, WP<sub>Irr</sub> and WP<sub>Tot_Water</sub> reduced by 4 - 20% and 13 - 20%; 7 - 22% and 18 - 24% and 22 - 25% and 22 - 29% under RCP 4.5 and the RCP 8.5, respectively. The results suggested that higher CO<sub>2</sub> concentrations could help maintain the current yield and WPs levels during the 2030s, but it might not withhold the negative yield trends during the 2060s. Although, CO<sub>2</sub> enrichment effect showed promises to counteract the adverse climate change impacts the interactions between climate warming and CO<sub>2</sub> concentrations were uncertain and required further exam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