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로즈마리(Rosmarinus officinalis L.) 극성별 용매 추출물의 생리활성 검증

        이커(Ke Li),양경희(Kyeong Hee Yang),궈루(Lu Guo),추이정웨이(Zhengwei Cui),손병구(Beung Gu Son),강점순(Jum Soon Kang),이용재(Yong Jae Lee),박영훈(Young Hoon Park),제병일(Beong Il Je),최영환(Young Whan Choi) 한국생명과학회 2019 생명과학회지 Vol.29 No.1

        로즈마리(Rosmarinus officinalis L.)는 식품소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극성이 다른 용매 추출물의 상호작용과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는 잘 정립되어서 보고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로즈마리 분말을 hexane, EtOAc, MeOH 그리고 95%, 70%, 50% 또는 25% EtOH 및 물로 추출한 다음, 각각의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 항비만, 항 α-glucosidase 활성 및 미백효과 등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로즈마리 추출물의 항산화 및 tyrosinase 저해 효과는 비교적 극성이 높은 50% EtOH, 25% EtOH 및 증류수 추출물이 가장 효과가 좋았다. 그러나 α-glucosidase 활성억제는 EtOH의 농도가 높은 50~95%와 MeOH 추출물에서 효과가 가장 좋았다. 지방세포의 분화억제는 70% EtOH로 처리시에 가장 효과가 좋았으며, EtOH의 농도가 70%보다 증가하거나 감소하였을 경우에는 농도에 비례하여 감소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 최적의 추출용매는 항산화, tyrosinase 저해, α-glucosidase 활성억제 및 지방세포의 분화 억제 등의 질환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추출용매를 고려하면 추출용매에 따라서 최적의 생리활성 성분의 종류와 함량이 차이가 있고 이로 인하여 생리활성효과도 달라진 것으로 생각된다. Rosemary (Rosmarinus officinalis L.) is widely used as a food material. Although various physiological activities of rosemary have been reported, there have been no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solvent extracts with different polarities. Rosemary extracts were obtained by extraction of dried powder using 0%, 25%, 50%, 70%, and 95% ethanol (EtOH) in distilled water, methanol, ethyl acetate, and hexane. As these ratios of EtOH are generally chosen by default and scarcely optimized, we investigated the impact of the composition of EtOH in distilled water on extract-related characteristics, such as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nd α-glucosidase inhibition, on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adipocytes and inhibition of tyrosinase. Adipogenesis inhibition was highest at 70% EtOH. DPPH scavenging activity and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were reduced with 50% EtOH in water. However, inhibition of α-glucosidase activity was higher in 50% EtOH in water. The best solvents in terms of DPPH scavenging activity, inhibition of tyrosinase and α-glucosidase, and differentiation of adipocytes obtain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EtOH, although a lower similar activities were found with 50% ethanol. Considering the extraction solvents, a ratio of EtOH in water gives different content and constituents of compounds. These differences will give activities inhibition of adipogenesis, tyrosinase, α-glucosidase activity, and DPPH scavenging a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