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저장 중 발광다이오드 광 조사가 타이로시네이스 활성에 미치는 영향

        정효연(Hyo Yeon Jung),김정선(Jung Sun Kim),노봉수(Bong Soo Noh) 한국식품과학회 2015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7 No.6

        식품 저장 중 효소적 갈변을 일으키는 타이로시네이스의 활성을 저해시킬 수 있는 LED의 파장을 구명하기 위하여 파란색, 초록색, 빨간색 LED와 형광등을 이용하여 타이로시네이스에 7일 동안 조사하였다. 또한 강도에 따른 타이로시네이스의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파란색, 초록색, 빨간색 LED를 선택하여 빛의 강도를 3단계로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파장에 따른 타이로시네이스의 활성 저해율은 형광등에서 가장 컸으며 그 다음으로 파란색 LED에서 높은 저해율을 보였다. 빨간색 LED에서는 대조구와 유사한 저해율을 보였으며 초록색 LED에서 저해율이 가장 낮았다. 상대적 빛의 강도에 따른 타이로시네이스 활성은 초록색과 빨간색 LED 조사 시 효소활성의 변화가 크지 않았고, 반면 파란색 LED에서 강도가 증가할수록 큰 저해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여러 가지 파장의 LED 중 고강도의 파란색 LED에서 타이로시네이스에 의한 식품의 갈변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갈변 억제를 유도함으로써 과일 및 채소의 저장 중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the effect of light irradiation on tyrosinase activity during storage in a low temperature incubator was investigated, with the goal of identifying the appropriate wavelength and intensity of light for inhibiting tyrosinase activity. Fluorescent light and blue light emitting diode (LED) irradiation were found to inhibit tyrosinase activity. In particular, tyrosinase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hibited under high intensity blue LED irradiation, suggesting that the activity of tyrosinase present in vegetables or fruits might be inhibited by LED irradiation. Therefore, blue LED irradiation during food storage and the distribution stage would be useful for ensuring good quality of food, owing to the inhibition of the enzymatic browning reaction.

      • SCOPUSKCI등재

        전자코를 이용한 가열 중 레토르트 파우치로부터 발생한 휘발성분의 분석

        정효연(Hyo Yeon Jung),박은영(Eun Young Park),최진영(Jin Young Choi),이수진(Soo Jin Lee),노봉수(Bong Soo Noh) 한국식품과학회 2017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9 No.1

        본 연구에서는 전자코를 사용하여 가열 시 레토르트 파우치와 내용물 간의 상호반응으로 발생하는 휘발성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레토르트 파우치와 물의 상호반응에 의해 포장재의 휘발성분이 용기 내 물 쪽으로 이행되어 물의 휘발성분이 증가하였고 포장재 자체의 경우에는 휘발성분의 농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포장재 내 식품의 결과에서도 마찬가지로 20분 이상 가열 시 휘발성분의 변화가 나타났다. GC/MS 분석 결과, 이러한 휘발성분의 변화는 헵탄알, 옥탄알, 노난알, BHT 등에 의한 것으로 식품의 지방성분에 의한 휘발성분의 증가와 포장재로부터 이행되는 휘발성분의 변화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자코 분석으로 얻어진 이온분획을 비교하였을 때 GC/MS 분석에서 검출된 노난알과 BHT의 추적이 가능하였다. 포장재로부터 이행되는 이취는 식품의 관능적 품질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레토르트 파우치 내 식품을 가열하여 섭취 시에 방치시간을 20분 내로 하여야 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volatile changes occurring in retort pouches during heating using a mass spectrometry-based electronic nose. The data obtained by the electronic nose analysis was used to generate a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plot. The plot showed that volatile compounds of the heated water in the retort pouch were increas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container and water as the heating time increased. Conversely, volatile compounds of the container itself decreased when only the container was measured separately. This result means that volatile compounds from the packaging material migrated into the water. In the case of heated beef bone soup, volatile compounds were increased compared to the unheated beef bone soup after 20 min of heat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GC/MS, nonanal and 3,5-di-tert-butyl-4-hydroxytoluene (BHT) were detected in the heated water and nonanal, heptanal, octanal, and BHT were detected in the heated beef bone soup.

      • SCOPUSKCI등재

        시판 유제품을 이용한 자숙 게육의 이취 저감화

        정효연(Hyo Yeon Jung),김정선(Jung Sun Kim),노봉수(Bong Soo Noh) 한국식품과학회 2015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7 No.3

        자숙 게살을 우유, 두유, 요구르트, 카세인에 침지하여 유제품의 이취 제거효과를 전자코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해보았다. 우유와 자숙 게살의 반응시간이 길어질수록 이취저감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두유, 요구르트와의 반응에서 또한 비슷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우유, 두유, 요구르트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2차원 막대그래프로 표현하여 나타내었을 때 요구르트에 비해 우유와 두유에서 이취 저감화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제품의 주요 단백질 성분인 카세인과 반응에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자숙 게살의 이취 성분이 유제품의 단백질과 결합하여 이취제거 효과가 나타났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토대로 일반가정에서 활용되고 있는 우유에 생선 및 게살을 재워 비린내를 제거하는 방법의 효과를 과학적으로 입증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며 가정에서 손쉽게 유제품을 활용하여 이취저 감화가 가능할 것이고 자숙게살의 품질관리 및 조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soaking in dairy products on the reduction of fishy odor in steamed crab meat using a mass spectrometer-based electronic nose. The steamed crab meat was soaked in three different dairy products (whole milk, soymilk, and yogurt) and the changes in the pattern of volatile components were analyzed by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The discriminant function first score (DF1) moved significantly from a negative position to a positive direction with an increase in soaking time. This suggested that the intensity of the fishy odor became weaker as soaking time increased. The effect of whole milk on the reduction of fishy odor was better than that of yogurt.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off-flavors can be reduced using dairy products.

      • KCI등재후보

        Web 2.0 기술을 적용한 여행사의 웹사이트 시스템 구축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용해 ( Yong Hae Jung ),효연 ( Hyo Yeon Cho ) 관광경영학회 2010 관광경영연구 Vol.43 No.-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velop an evaluation model for constructing an efficient Web site system to travel agencies trying to develop a Web site system for strengthening of the company`s business competitiveness and satisfaction of customers` desire by introducing Web 2.0 that is being represented as the latest internet technology to satisfy expectation and desire about web technology of enhanced customers. The domains necessary for development of the Web site system`s evaluation model for constructing the efficient Web site system and the suitable items according to each domain based on the existing previous researches appeared as follows, namely, three domains of Core Process, IT Infrastructure and Based Environment, a total of 12 items from each domain such as 6 items of Community, Commerce, Communication, Customizing, Contents, Connection in Core Process, 3 items of hardware, Web 2.0 and network in IT Infrastructure, and 3 items of policy, organization and manpower in Based Environment.

      • SCOPUSKCI등재

        전자코와 전자혀를 이용한 시판 증류주의 향미특성 분석

        김정선(Jung Sun Kim),정효연(Hyo Yeon Jung),박은영(Eun Young Park),노봉수(Bong Soo Noh) 한국식품과학회 2016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8 No.2

        시판 증류주 13종을 선정하여 전자코, 전자혀를 이용한 향기패턴과 맛패턴을 분석하였다. 전자코 분석 결과, 원재료에 따라 증류주의 향기성분이 구분됨을 확인하였다. 원재료가 좁쌀인 증류주가 향기 성분이 가장 많으며 쌀의 함량이 적고 보리가 함유된 증류주가 향기성분이 가장 적었다. 또한 오크통에서 숙성시킨 원액을 100% 사용한 경우 향기성분이 뚜렷하게 구분됨을 보였다. 따라서 숙성재에 의해 증류주의 향기성분이 구분될 것으로 예측된다. 시판 증류주를 전자혀로 분석한 결과, 증류주는 단맛과 쓴맛 보다는 신맛, 감칠맛, 짠맛으로 시료간의 차이가 구분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전자코와 전자혀가 증류주 모니터링에 활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분석한 시판 증류주의 향미특성 결과를 추후 증류주 개발 및 품질관리에 이용하고자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lavor patterns of commercial Korean distilled spirits using a mass spectrometry-based electronic nose and an electronic tongue. Thirteen types of domestic distilled spirits were used for analysis. The flavor patterns of the distilled spirits were clearly identified through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of the raw materials. The obtained data of the electronic nose analysis showed that the flavor pattern of the distilled spirits aged in oak barrel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general distilled spiri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lectronic tongue, the distilled spirits made with rice had a stronger flavor than those made with foxtail millet. Compared to the sensitivity value of each taste sensor, the distilled spirits showed various intensities of sourness and umami. Therefore, an electronic nose and electronic tongue could be successfully used for quality evaluation and new product development of distilled spirits.

      • 봅슬레이의 형상변화가 공력성능에 미치는 영향

        심현석,정효연,김준희,김광용,Shim, Hyeon-Seok,Jung, Hyo-Yeon,Kim, Jun-Hee,Kim, Kwang-Yong 대한기계학회 2015 대한기계학회 논문집. Transactions of the KSME. C, 산업기술과 혁신 Vol.3 No.3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형상변수들이 봅슬레이의 공력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삼차원 Reynolds-averaged Navier-Stoke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난류모델로는 표준 k-${\varepsilon}$ 모델이 사용하였다. 격자계로는 비정렬 사면체 격자를 사용하였다. 성능 평가를 위한 형상변수로는 전방범퍼의 장축의 길이, 범퍼의 높이, 그리고, 카울링 측면과 정면 각각에서의 곡률반경 등 네가지 변수를 설정하였으며. 이들이 공력성능으로 선정된 항력계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해석결과, 범퍼의 높이와 카울링 측면의 곡률반경이 항력계수에 민감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Analysis of the aerodynamic performance of a bobsleigh has been performed for various types of bobsleigh body shape. To analyze the aerodynamic performance of the bobsleigh, three-dimensional Reynolds-averaged Navier-Stoke equations were used with the standard k-${\varepsilon}$ model as a turbulence closure. Grid structure was composed of unstructured tetrahedral grids. The radii of curvature of cowling, and height and length of front bumper at the tip on the drag coefficient were selected as geometric parameters. And, the effects of these parameters on the aerodynamic performance, i.e., the drag coefficient, were evaluated. The results shows that the aerodynamic performance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height of front bumper and radius of curvature.

      • SCOPUSKCI등재

        MS-전자코를 사용한 페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생수병과 뚜껑의 이취 이행 분석

        한현(Hyun Jung Han),박수원(Su Won Park),정효연(Hyo Yeon Jung),김정선(Jung Sun Kim),동혜민(Hyemin Dong),노봉수(Bong Soo Noh) 한국식품과학회 2015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7 No.4

        원료인 생수와 포장 용기인 페트병과 뚜껑에서 야기되는 이취성분의 존재여부를 MS-전자코를 통하여 분석해 보았다. 이취가 나는 생수는 농도별로 DF2 양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취의 원인이 페트병 혹은 페트병의 뚜껑이라고 가정하여 분석을 진행한 결과 뚜껑에서 휘발 성분이 페트병 보다 많이 검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물에서 나는 이취가 페트병보다는 뚜껑에 영향을 더 많이 받았을 것이라고 볼 수 있었다. 또한 이온 분획의 결과로 보아 이취의 원인이 되는 물질인 2,4-di-tert-butylphenol, 노난올과 데칸올이 페트병과 뚜껑에 포함되어 있다고 추측되었다.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ff-flavor generated from PET water bottles and their caps by using a mass spectrometry-based electronic nose. The ion fragment data obtained from the electronic nose were used for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DFA). In the case of increased concentrations of the contamination of water, the off-flavor pattern depended on the discriminant function second score instead of the discriminant function first score. To identify the cause of off-flavor i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bottled water, the PET bottle and its cap were analyzed by DF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ap generated more volatile compounds than the bottle or mineral water did. The substances causing the off-flavor were predicted to be 2,4-di-tert-butylphenol (2,4-DTBP), nonanal, and decanal when the main peak of the mass spectrum was compared with the major ion fragments of the electronic nose. Thus, using this method, we could determine whether the PET water bottle was contaminated and whether the off-flavor resulted from contamination of the bottle cap.

      • 봅슬레이의 형상변화가 공력성능에 미치는 영향

        심현석(Hyeon-Seok Shim),정효연(Hyo-Yeon Jung),김준석(Joon-Seok Kim),김준희(Jun-Hee Kim),김광용(Kwang-Yong Kim) 대한기계학회 2014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4 No.11

        Numerical study on the aerodynamic performance of the bobsleigh has been performed according to the various type of bobsleigh shape. To analyze the aerodynamics of the bobsleigh, three-dimensional Reynolds-averaged Navier-Stoke equations were used with the Standard k-ε model for turbulence closure. Grid structure was composed of the unstructured tetrahedral grids. The effects of the radius of curvature of cowling, height and length of front bumper at the tip on the drag coefficient were evaluated. The results show that the aerodynamic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height of front bumper and radius of curvature.

      •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한 루지 썰매의 공기역학적 분석

        김홍영(Hong-Young Kim),전풍승(Pung-Seung Jeon),정효연(Hyo-Yeon Jung),김광용(Kwang-Yong Kim) 대한기계학회 2016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6 No.12

        Numerical analysis on the flow over a luge sled has been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erodynamic performance of various shapes using three-dimensional Reynolds averaged Navier-Stokes equations with Shear Stress Transport turbulence model. A parametric study was performed using three geometric parameters, the radius of curvature at side view, the minor axis of the elliptical surface at the center of front view, and the major axis of the elliptical surface viewed from above. To evaluate the flow characteristics and the aerodynamic performance of the luge sled, drag coefficient was defined as the performance parameter. Ranges of the three geometric parameters were set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Luge Regulations. The results show that the drag coefficient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three geometric parameters of the luge sl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