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중독경향성의 관계

        이은주(Eunju Lee),정효빈(Hyobin Jeong),김보배(Bobae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SNS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된 내현적 자기애와 내면화된 수치심의 경로를 확인하고 이러한 경로에서 성별이 조절효과를 미치는지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전국에 소재한 대학생 520명을 대상으로 관련 변인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변인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PROCESS Macro model 4를 사용하여 내현적 자기애가 내면화된 수치심을 통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PROCESS Macro model 7을 사용하여 내현적자기애와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성별의 차이와 내면화된 수치심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내현적 자기애와 SNS중독경향성 간에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내현적 자기애와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내현적 자기애와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성별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나는지 살펴본 결과, 여성이 내현적 자기애 수준에 따라 내면화된 수치심을 통해 SNS중독경향성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SNS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된 내현적 자기애와 내면화된 수치심의 경로를 확인하고 이러한 경로에서 성별이 조절효과를 미치는지 확인해봄으로써, 현대사회에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SNS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내적 변인와 성별에 따른 차이를 밝혀내었다. 이는 SNS중독에 대한 상담 및 교육 개입법과 후속 연구 위한 자료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athways of covert narcissism and internalized shame that have been reported to affect SNS addiction proneness in college students, and to determine whether gender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se pathways. Methods To this end, a test was conducted to measure related variables targeting 550 college students located nationwid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variables. Using PROCESS Macro model 4, the effect of covert narcissism on SNS addiction proneness was verified through internalized shame, and using PROCESS Macro model 7, gender differences and internalized sham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were examine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was verified.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ppeared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It was confirmed that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appear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of gender and internalized sham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it was found that women had more influence on SNS addiction proneness through internalized shame according to the level of covert narcissism. Conclusions This study identifies the pathways of covert narcissism and internalized shame that have been reported to affect SNS addiction proneness among college students, and confirms whether gender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se pathways. Intra-individual variables that affect addiction and gender-specific differences were identified. This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ed counseling and educational intervention methods for SNS addiction and data for follow-up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