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묘일무(文廟佾舞)에 내재된 절도(節度)와 교육적 기능

        정향숙 ( Choung Hyang Sook ) 무용역사기록학회 2016 무용역사기록학 Vol.41 No.-

        본 연구는 석전(釋奠)에서 추어지는 문묘일무에 내재된 교육적 기능을 찾아봄으로써 현대인들을 위한 교육수단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엿보고자한다. 문묘일무는 현재까지 공자를 모시는 성균관의 석전의례에서 추어지고 있는 춤으로서 몸에서 몸으로 전승되는 무용과는 그 의미나 가치적인 면에서 차별화된다. 유가(儒家)의 윤리도덕(倫理道德)과 철학사상을 내포하는 의식적 춤동작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형식과 구조는 매우 절도 있고 규범적이며, 추모와 경배라고 하는 의례적·종교적(儀禮的·宗敎的) 성격이 조밀하게 융합되어 있다. 즉, 유희나 감정의 표현, 새로운 시도를 통한 변화·변형과 같은 일반적인 무용의 목적과는 달리, 우주와 인간 그리고 인간과 인간 사이를 관통하는 질서(秩序)와 조화(造化)라는 보다 교육적인 근원(根源)을 지향하는 춤이라 할 수 있다. 문무는 마음자세를 위한 정신수양의 춤이며, 무무는 신체 단련을 위한 춤으로서 형상화되었다. 문묘 일무는 하늘과 땅과 인간을 이어주는 춤이며 공자와 앞서 가신 성현들에 대한 감사의 표현이며 인간의 삶에서 우러난 경험 즉 서로간의 예의와 존경심을 미적으로 승화시킨다. `성균(成均)`은 고대 주대(周代)의 5개 대학 중 하나로서 `악교(樂敎)`를 통하여 덕(德)을 키우는 교육을 하던 곳이었다. 제사를 지내는 존현(尊賢)과 교육을 통한 양현(養賢)의 기능을 수행하는 이러한 학궁의 석전에서 추어지는 문묘일무의 기능을 윤리적, 사회적, 예술 교육적 기능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문묘일무는 윤리적으로 인격교육의 가장 근본이 되는 수신서인 소학(小學)의 핵심내용인 삼절(三節)과 사도(四道)를 형상화한 춤으로서 `절도(節度)의 춤`이라 할 수 있다. 둘째로 문묘일무는 제사의 의식무를 넘어서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신과 인간, 사회와 인간, 인간과 인간간의 관계를 조성한다. 예를 갖추는 행위로서 문묘일무는 언어를 초월한 의사소통의 춤으로 서로간의 마음과 마음을 나누는 `수수지례(授受之禮)`의 춤이며 `평화(平和)`를 상징하는 춤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일무는 고대로부터 문헌에 지속적으로 기록되어온 역사의 춤이며 예악을 기반으로 전통예술을 계승하는 교육적 의미 속에 자신을 발견하는 `위기지학`의 춤인 것이다. 문묘일무는 예를 춤으로 실현한 것이며 이는 결국 `몸공부`이다. 문묘일무를 `몸공부`로 활용하여 춤을 교육하고 결국엔 자신의 수양과 더불어 덕(德)을 쌓고 소통의 예의 즉 `마음의 공부`가 되는 춤으로 발전하도록 하는 것이 이상적 문묘일무의 교육이 될 것이다. Munmyo-Ilmu (文廟佾舞) is a dance that has been performed in Seokjeon-Uirye (釋奠: the rite for laying out offerings) at Sungkyunkwan (成均館) deifying Confucius. It is distinguished in its meaning and value from other dances that have been passed down physically through the human body to body. Since the Munmyo-Ilmu consists of ritual dancing steps that portray the ethics and philosophical ideology of Confucius, its formality and structure are very modest and normative, and merge with the rituals and religious characters of cherish, memory, and worship. In other words, unlike common dances that express amusement and emotions, and the transformation through a new attempt, Munmyo-Ilmu may be considered a dance that has an educational and philosophical origin in which order and harmony g exist between human beings or between the universe and human beings. The scholarship dance resulted from the combination of the dance of the spiritual culture for the mindset and the martial arts dance for physical training. Munmyo-Ilmu is a dance that connects heaven, earth, and human beings, expresses gratitude to Confucius and the old sages, and sublimates the experiences, such as courtesy and respect, infused from human life into an aesthetic. Sungkyun was the school that was in charge of music for the five colleges of the Ancient Zhou Dynasty, in which educating virtues harmonized with human characters through `Akgyo (樂敎: music education)`. The Munmyo-Ilmu, which has been danced in Munmyo-Seokjeon-Uirye at Sungkyunkwan, can be considered as `the dance of modesty` that was based on three passages and four doctrines that form the core contents of Sohak (小學: Confucian disciplinary textbook) and are at the base of Confucian character education. Furthermore, Munmyo-Ilmu, as a means of communication beyond a ritual dance, creates a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god and human being, and society and human being. Munmyo-Ilmu, as the exchange of courtesies, can be considered to be a communicational dance that transcends language; it is a dance of `Susujirye (授受之禮: the exchange of courtesies)` in which dancers share one mind in a dance symbolizing peace and harmon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