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거짓비늘증후군에서 동반된 각막대상부전 1예

        정준교(Joon Kyo Chung),이은정(Eun Jung Lee),기창원(Chang Won Kee)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5

        목적: 거짓비늘증후군에서 동반된 각막대상부전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70세 여자 환자가 수개월 전 시작된 우안의 시력저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안과적 수술이나 레이저 치료 병력은 없었다. 최대교정시력은 양안 0.5였다. 세극등현미경검사에서 우안에 미만성의 각막실질 및 상피부종이 관찰되었고, 좌안에는 미만성의 각막내피 색소 침착이 관찰되었다. 양안 모두 동공 주변부 홍채와 수정체전낭에서 거짓비늘물질 침착이 관찰되었다. 안압은 사용하는 안압하강제 없이 양안 15 mmHg였다. 경면현미경검사상 우안은 각막부종으로 촬영이 제한적이었고, 좌안에서 각막내피세포의 수 감소와 모양의 불규칙성이 증가된 결과 및 비전형적 구타타 소견을 보였다. 전안부빛간섭단층촬영상 우안에 불규칙한 각막실질의 두께증가와 데스메막의 돌출이 보였다. 안저검사에서 뚜렷한 시신경병증이나 망막병증은 없었다. 결론: 거짓비늘증후군 환자에서 안압상승과 녹내장이 없는 경우에도 각막대상부전이 동반될 수 있음을 주지하여야 할 것이다. Purpose: To report a case with corneal decompensation in a patient of pseudoexfoliation syndrome. Case summary: A 70-year-old woman was referred to our clinic to evaluate decreased visual acuity in the right eye. She had no history of previous ocular surgery or laser treatment. The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was 0.5 in both eyes. The patient had diffuse corneal edema in the epithelium and stroma in the right eye. The left eye showed diffuse endothelial pigment deposits. Deposition of pseudoexfoliation material on the iris and anterior lens capsule was observed in both eyes. The intraocular pressure was 15 mmHg in both eyes without treatment. Specular microscopy was limited in the right eye due to the corneal edema and the left eye showed endothelial cell loss, increased pleomorphism, and atypical guttata. Anterior segmen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revealed irregular thickening of the corneal stroma and protrusion of Descemet’s membrane in the right eye. Conclusions: In patients with pseudoexfoliation syndrome, corneal decompensation can occur without intraocular pressure elevation and glaucomatous damage.

      • KCI등재

        펨토초레이저 상피투과 활모양각막절개 시 절개부 개방이 난시교정에 미치는 영향

        정준교(Joon Kyo Chung),한겨레(Gyu Le Han),노훈(Hoon Noh),임동희(Dong Hui Lim),정태영(Tae-Young Chung)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12

        목적: 각막난시교정을 위한 펨토초레이저 상피투과 활모양각막절개 시 절개부를 그대로 유지하는 방법에 비해 절개부를 개방하는 방법에서의 난시교정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6년 4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안과에서 펨토초레이저 백내장수술을 받을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절개부 개방군, 절개부 유지군에 대해 수술 전후로 각막난시의 크기 비교 및 벡터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절개부 개방군과 절개부 유지군에서 target induced astigmatism (TIA)가 각각 1.28 ± 0.55, 1.26 ± 0.29디옵터, surgically induced astigmatism (SIA)가 각각 0.80 ± 0.52, 0.53 ± 0.32디옵터, correction index (CI)가 각각 0.63 ± 0.28, 0.43 ± 0.26으로, 절개부 유지군보다 절개부 개방군에서 난시교정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p=0.048, p=0.025). TIA가 1.2디옵터 미만인 하위집단에서는 두 군의 SIA 및 CI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TIA가 1.2디옵터 이상인 하위집단에서는 SIA가 절개부 개방군, 유지군에서 각각 1.09 ± 0.59, 0.54 ± 0.37디옵터, CI는 0.60 ± 0.28, 0.36 ± 0.23으로 절개부 개방군에서 난시교정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p=0.022, p=0.047). 결론: 펨토초레이저 상피투과 활모양각막절개 시 절개부를 개방하는 방식이 절개부를 유지하는 방식보다 더 큰 난시교정 효과를 보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orneal astigmatism correction between “wound open” and “wound intact” methods during femtosecond laser-assisted transepithelial arcuate keratotomy. Methods: From April 2016 to December 2018, a retrospective survey was conducted on patients undergoing femtosecond laser cataract surgery at the Ophthalmology Department of Samsung Medical Center. Size comparison and vector analysis of corneal astigmatism before and after surgery were performed in the wound open and wound intact groups. Results: In the wound open and wound intact groups, the target-induced astigmatism (TIA) was 1.28 ± 0.55; and 1.26 ± 0.29 diopters, the surgically induced astigmatism (SIA) was 0.80 ± 0.52; and 0.53 ± 0.32 diopters, and the correction index (CI) was 0.63 ± 0.28; and 0.43 ± 0.26, respectively. The astigmatism correction was superior in the wound open group (p = 0.048, p = 0.025). In a subgroup with TIA < 1.2 diopte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IA or CI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in the subgroup with a TIA > 1.2 diopters, the SIA was 1.09 ± 0.59; and 0.54 ± 0.37 diopters and the CI was 0.60 ± 0.28; and 0.36 ± 0.23 in the wound open and wound intact groups, respectively (p = 0.022, p = 0.047). Thus, astigmatism correction was superior in the wound open group. Conclusions: The wound open method during femtosecond laser-assisted transepithelial arcuate keratotomy was superior for astigmatism correction compared to the wound intact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