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정보미디어연구』의 역대 정부별 연구주제 변화 동향 분석: 20년간,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적용하여

        손미 ( Mi Shon ),정주훈 ( Ju Hun Jeong ),김영환 ( Young Hwan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원격, 방송, 미디어활용 교육의 발전을 위한 학술활동을 지원하고 노력을 기울이는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에서 발간하는『교육정보미디어연구』에 20년간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주제의 동향과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앞으로의 연구 주제 및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교육정보미디어연구』21권 4호까지 게재된 총 545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주제 변화를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용어로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3명의 교육공학 및 컴퓨터교육 계통의 연구자들이 편당 5개의 주요 주제어(Core Keyword)를 선정하였다. 이를 통해 총 1,141개의 주요 주제어가 선정되었다. 빈도수 분석 결과, 지난 20년간 빈도수가 높았던 주요 주제어는 ‘이러닝’, ‘웹기반 학습’,‘학업성취도’, ‘상호작용’, ‘만족도’, ‘원격교육’ 등의 순이었다. 정부별 분석에서는 김대중 정부에서는 ‘웹기반 학습’, ‘교육방송’, ‘학업성취도’ 순으로, 노무현 정부 때는 ‘이러닝’, ‘웹기반 학습’, ‘학업성취도’ 순으로, 이명박 정부 때는 ‘이러닝’, ‘만족도’, ‘학업성취도’ 순으로, 박근혜 정부는 ‘학업성취도’,‘이러닝’, ‘협력학습’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정부별 분석을 통해 ‘웹기반 학습’의 빈도수는 1위-2위-5위-62위 순으로 용어의 사용빈도수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원격교육’, ‘사이버수업’, ‘리터러시’ 등의 용어 사용빈도수는 급격히 낮아졌고, ‘협력학습’, ‘몰입’, ‘인지부하’, ‘스마트교육’, ‘SNS’등의 용어 사용빈도수가 매우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용어의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추론할수 있다. 마지막으로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적용하여 정부별 빈도수 상위 주요 주제어들 간의 중앙성 및 관계를 파악하여 가시화하였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nalyzing research trends of the last 20 years and finding futuristic issues of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Study.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we analyzed 545 articles from the Journals which published a total 21 books and 4 volumes in 2015. A total of three researchers selected five major core keywords while reading all of the summaries of the papers. After all, it was possible to select a total 1,141 keywords.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keywords are ‘e-Learning’, ‘web-based learning’, ‘learning achievement’, ‘interaction’, ‘satisfaction’, ‘distance education’. By the criteria of government, the most frequently appearing keywords are as follows: 1) Kim Dae-Jung: ‘web-based learning’, ‘educational broadcasting’ and ‘learning achievement’ 2) Rho Moo-Hyun: ‘e-Learning’, ‘web-based learning’ and ‘learning achievement’, 3) Lee Myung-Bak: ‘e-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achievement’, 4) Park Geun-Hye: ‘learning achievement’, ‘e-learning’ and ‘cooperative learning’. These results show some meaningful outcomes. First, the frequency of ‘web-based learning’ has declined accordingly: 1st-2nd-5th-62nd. Second, the following keywords frequence have also significantly declined - ‘distance education’, ‘cyber class’ and ‘literacy’. Third, the frequency of keywords such as ‘cooperative learning’, ‘flow’, ‘cognitive load’, ‘smart education’ and ‘SNS’ has increased. These outcomes clearly show a changing tend and terms used in education. Lastly, while using network-text analysis, it was possible to present the median and relationship amongst the keywords of each government.

      • KCI등재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수업분석 프로그램 설계 및 구현 -한국어 특성 반영과 교사활용도 증진을 위한 UI설계를 적용하여-

        강두봉 ( Doo Bong Kang ),정주훈 ( Ju Hun Jeong ),김영환 ( Young Hwan K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5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수업 개선을 위한 수업분석 프로그램을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설계 및 구현한 데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간소화하고, 서술어가 뒤에 나오는 한국어특성을 감안하였으며, 입체적 분석을 위해 Flanders의 ``언어상호작용 분석법``, Tuckman의 ``수업분위기 분석법``, Mcgraw의 ``과업집중 분석법``의 3가지 방법을 통한 분석이 가능하게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들과 달리 위 3가지 특징을 적용하여 교사들이 손쉽게 스스로 자신의 수업을 분석할 수 있는 앱을 개발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일선 교사들은 다른 교사의 도움이나 전문적 지식 없이도 수업을 분석하고 피드백 할 수 있어 자발적 수업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최근의 수업 환경에 맞는 수업분석 기법 및 음성인식 시스템 등의 연구와 연계하여 수업분석 원리의 정립과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에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implement a smart device based instructional analysis application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eaching in class. The main design features for this application are as follows: first, User Interface(UI) has been simplified to provide teachers a clear and easy-to-understand way to utilize the application.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were considered, such as sentence structure. Third, multi-aspect analysis is possible through adopting three analysis types - Flanders` interaction analysis, Tuckman`s analysis, Mcgraw`s concentration of instruction analysis. The practical instructional analysis application has been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and this user-oriented application will be able to help teachers improve the quality of teaching in class. Also, this study can be a starting point for further researches on design principles of instructional analysis, especially with the recent technology and theories, such as a voice-recognition system, an edutainment applied instruction and an experiential learning.

      • KCI등재

        에듀테인먼트 관련 연구를 통한 에듀테인먼트 재개념화에 대한 검토 -최근 6년 간(2008-2013년)을 중심으로-

        김영환 ( Young Hwan Kim ),류춘근 ( Choon Geun Rhew ),손미 ( Mi Shon ),이지연 ( Ji Yon Lee ),정주훈 ( Ju Hun Jeong ),김선 ( Seon Jeong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4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0 No.4

        이 연구는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저술된 에듀테인먼트 관련 연구들의 내용적 특성과 개념의 변화를 점검하여 에듀테인먼트 재개념화에 대한 선행연구결과와 비교 검토하고 향후 바람직한 연구 방향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 학술지 115건을 대상으로 내용분석과 학술지 주제어 등을 중심으로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에듀테인먼트 관련 연구들은 교육공학이나 컴퓨터분야 등에 국한되지 않고 인문학과 예술 등 여러 영역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특히 주제어 빈도수 분석 결과 2008년 연구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던 주제어들이 최근 다양하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에듀테인먼트의 개념은 아직도 협의적 개념이 많이 사용되기는 하지만, 2008년 연구에 비해 중의적 및 광의적 개념을 사용한 연구들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방법에 있어서도 일방적 형태의 디지털 콘텐츠 중심에서 다양한 환경에서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쌍방향성을 중시하는 형태로 변화하고 있었다. 셋째, 그간 이루어졌던 연구의 경향성들은 2008년의 선행연구에서 제시되었던 재개념화에 대한 전망 및 논의들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분석결과에 따른 에듀테이먼트 관련 향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제간 전문성을 서로 보완하여 인문학에서 공학, 예술에 이르기까지 융합된 에듀테인먼트 연구가 필요하며, 둘째, 단속적인 연구를 넘어 에듀테인먼트의 특징적 요소와 학습방법을 연계한 보다 광의적 개념의 고려한 장기적 연구가 요청되고, 셋째, 보다 기초적인 것으로 다양한 참여 대상 및 그들의 학습동기, 그리고 학교 현장의 학습환경(예, 스마트기기 등) 등을 고려한 체제적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ate the concept of the edutainment in various academic areas and compare the results with that of previous research, and also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tasks in wider sense of edutainment. To accomplish this purpose, 115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Korea from 2008 to 2013 were analyzed in terms of academic areas, edutainment concepts, key topic words related with edutainment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Network Text analysis method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edutainment was used in various research fields not only in social science including education fields, but also in art, science, design, human literature fields. Second, most of the researches used the concept of edutainment in a way of narrow sense or micro-level meaning(like as focused on game-based e-learning), however the frequency of using macro level concept of edutainment(like as address general issu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studies was increased a lot comparing to the results of research trends done by 2008.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prospects for the reconceptualization of macro-level edutainment in our previous research in 2008 were regarded as valid and appropri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