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서울 도심공원과 국립수목원 내 목본 수종의 개화 특성

        정종빈 ( Jong Bin Jung ),장정원 ( Jeong Won Jang ),변준기 ( Jun Gi Byun ),황희숙 ( Hee Suk Hwang ),윤주은 ( Ju Eun Yoon ),오승환 ( Seung Hwan Oh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는 기온 차이에 따른 서울 도심공원과 국립수목원 내 주요 목본 수종들의 개화 특성을 비교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지는 서울특별시 노원구에 위치한 느티울근린공원과 경기도 포천시에 위치한 국립수목원 내 전시원이며, 두 지역에 공통적으로 식재된 개나리, 단풍나무, 벚나무, 산수유, 산철쭉, 진달래 등 6분류군을 대상으로 2011년부터 2013년까지 매년 개화시작일과 낙화완료일, 개화기간 등을 기록하였다(Day of Year, DOY). 또한 두 지역에서 수집된 기온 자료를 이용하여 Nuttonson의 온량지수(Tn)와 일적산온량지수(YDI)를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두 지역 모두 산수유(도심공원: 평균 86 ± 1일, 수목원: 평균 98 ± 3일)가 가장 빨리 개화하였고 그 다음 개나리, 진달래, 벚나무, 단풍나무 순이었으며 산철쭉(도심공원: 평균 112 ± 4일, 수목원: 평균 124 ± 3일)이 가장 늦게 개화하였다. 개화시작일의 경우 도심공원 내 조사 대상들이 평균 12-14일 정도 빨리 개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화기 무렵인 DOY 100일 때 도심공원의 지난 3년 간 평균 Tn은 76.1 ± 7.9인 반면 수목원의 경우 평균 34.4 ± 5.2로 개화기 무렵 도심공원 내 Tn이 높게 측정되었다. YDI도 Tn과 같은 경향을 보였다. 지난 3년 간 수종별 개화기간은 산수유는 평균 26일(수목원: 21일), 개나리는 평균 28일(20일), 진달래는 14일(17일), 벚나무는 15일(10일), 단풍나무는 17일(14일), 산철쭉은 19일(11일)로 도심공원에서 평균 3-8일 정도 길게 지속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phenological differences among six woody plants (Forsythia koreana, Acer palmatum,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Cornus officinalis, Rhododendron yedoense f. poukhanense, R. mucronulatum). We monitored flowering dates of each species in two regions, in Seoul Neutiul urban park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for three years from 2011 to 2013. Also, Nuttonson`s index (Tn) and Year Day Index (YDI) were calculated from daily temperature data.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earliest flowering species was C. officinalis (urban park: DOY 86 ± 1, arboretum: DOY 98 ± 3) followed by F. koreana, R. mucronulatum, P. serrulata var. spontanea, A. palmatum, while R. yedoense f. poukhanense was the late blooming species (urban park: DOY 112 ± 4, arboretum: DOY 124 ± 3). Flowering dates in urban park were earlier than that in arboretum by 12-14 days in average. On DOY 100, average Tn was higher in urban park (76.1 ± 7.9) than in arboretum (34.4 ± 5.2). YDI showed same tendency with Tn. The blooms in urban park seemed to last longer than in arboretum by 3-8 days. Flowers last 26 days (21 days in arboretum) in C. officinalis, 28 days (20 days) in F. koreana, 14 days (17 days) in R. mucronulatum, 15 days (10 days) in P. serrulata var. spontanea, 17 days (14 days) in A. palmatum, 19 days (11 days) in R. yedoense f. poukhanense.

      • KCI등재

        경기도 가평 지역 조림지 내 전나무(Abies holophylla)의 분포와 천연갱신

        남광현 ( Kwanghyun Nam ),주광영 ( Kwang Young Joo ),최은호 ( Eun Ho Choi ),정종빈 ( Jong Bin Jung ),박필선 ( Pil Sun Park ) 한국산림과학회 202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0 No.3

        전나무속(Abies)은 내음성 수종으로 천이 후기 단계 또는 노령림의 주요 수종으로 알려져 있다. 경기도 가평 지역은 전나무(Abies holophylla Maxim.) 임분이 산재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현황은 알려진 바가 드물고, 전체 산림의 상당 부분을 잣나무(Pinus koraiensis Siebold & Zucc.)와 일본잎갈나무(Larix kaempferi (Lamb.) Carriere) 조림지가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가평 지역의 잣나무, 일본잎갈나무 조림지와 주변의 전나무 임분을 조사하여 조림 수종에서 지역 자생수종인 전나무로의 천이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가평군 이화리 및 산유리의 전나무가 분포하는 잣나무, 일본잎갈나무 조림지와 주변 전나무 천연 임분에서 매목조사를 실시하고, 전나무 치수의 발생 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해당 지역의 조림 기록을 조사하였다. 조사 지역에서 전나무의 우점치는 36.1-79.1%로 가장 높았으며, 하층의 전나무 밀도는 ha당 50-5,820본이었다. 전나무의 직경분포를 이용한 비계량 다차원척도법(NMDS) 분석 결과, 전나무 분포 특성에 따라 조사지의 임분은 4개의 유형(AN, AP, AM, P)으로 구분되었다. AN는 전나무의 직경분포가 역 J형을 보이는 전나무 천연림과 유사한 형태를 보였으며, AP는 전나무 모수가 임분 내에 존재하는 조림지로 전나무가 상층과 중층에서는 조림목과, 하층에서는 활엽수와 경쟁을 하고 있었다. AM은 전나무 모수가 임분 내 존재하나 산림작업이 이루어져 밀도가 조절된 임분이었다. P는 임분 내 전나무 모수가 없는 조림지이나 인근에 전나무 모수가 있어 하층에 전나무의 갱신이 이루어지는 유형으로 전나무림으로의 수종 전환이 예상된다. 가평 지역 내 종자 공급이 가능한 전나무 모수가 남아있거나 인접한 곳에 전나무림이 위치한 일본잎갈나무와 잣나무 조림지에서 자생수종인 전나무는 천연갱신이 활발하였고 이들 조림지는 점차 전나무림으로 발달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천연림 복원이나 복층림 경영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으며, 향후 전나무의 입지, 내음성과 생장 특성에 대한 정보와 이를 바탕으로 한 갱신과 관리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A large part of Gapyeong is occupied by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and Japanese larch (Larix kaempferi) plantations. Abies holophylla stands are scattered throughout Gapyeong, but little information on their distribution is available. This study explored the potential of succession from planted species to native A. holophylla in plantations. Trees were inventoried and regeneration of A. holoplhylla and stand management history were examined in Korean pine, Japanese larch, and A. holophylla-dominated stands. The importance percentage of A. holophylla was the highest among species with a range of 36.1% to 79.1% in all stands and the density of A. holophylla in understory (DBH <2 cm or <1.3 m height) ranged from 50 to 5,820 trees ha<sup>-1</sup>.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classified stands into four types, AN, AP, AM, and P. The AN type showed a reverse J-shape DBH distribution, which was similar to that in natural A. holophylla stands. Both AP and AM types included Korean pine plantations with A. holophylla seed trees within stands. For AP, A. holophylla competed with planted species in overstory and deciduous broadleaved species in understory. The AM type was once thinned from below, thus stem density in the mid DBH classes was lower than upper or lower DBH classes. The P type consisted of plantations without A. holophylla seed trees. However, understory regeneration of A. holophylla was abundant through seed supply from A. holophylla in adjacent stands. Plantations with A. holophylla seed trees within or in adjacent stands showed vigorous natural regeneration of A. holophylla, highlighting the potential for succession from planted species to native A. holophylla in the Gapyeong area. Further studies can help develop techniques to restore plantations to native species-dominated natural stands using ecological succession.

      • 중왕산 눈측백( Thuja koraiensis) 고사목의 부후에 따른 형태 변화

        장유림 ( Yu Lim Jang ),이윤호 ( Yoon Ho Lee ),정종빈 ( Jong Bin Jung ),박재성 ( Hyun Jung Kim ),김현정 ( Jae Seong Park ),성주한 ( Pil Sun Park ),박필선 ( Joo Han Sung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고사목의 부후는 숲의 구조, 고사목에 서식하는 생물이나 물질순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중왕산 지역 눈측백( Thuja koraiensis Nakai) 군락지의 눈측백 고사목을 대상으로 부후의 진행에 따른 고사목의 형태적 특성과 밀도를 조사하였다. 기존의 Thomas 고사 등급 체계에 따라 눈측백 고사목을 분류하고 각 등급별 물리적 특성들을 측정하였다. 눈측백 고사 등급에 따른 목재 밀도 변화가 고사입목(snag)과 도목(log)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목재 밀도가 고사목의 부후정도를 반영한다는 가정 하에 고사목의 물리적, 형태적 특성들을 변수로 하여 목재 밀도를 추정할 수 있는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고사목의 부후가 진행됨에 따라 나타나는 형태적 특성들은 부후 정도와 관련이 있는 것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눌 수 있었다. 고사 등급에 따른 목재 밀도 변화 양상은 도목과 고사입목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목재 밀도를 추정하는 회귀식에서 유의한 형태적 변수들은 수간 중단부와 하단부의 잔존 수피 면적 비율, 상단과 중단부 가지 차수, 수간 하단부 가지가 붙어있는 면적 비율, 함수율, 수간 형태 등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이용하여 기존 Thomas 고사 등급표를 수정하여 눈측백 고사목의 고사 등급을 제안하였다. Changes in snag as the snag is being decayed affect stand structure, organisms inhabiting the snag, and material cycl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i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wood density of snags and logs of Thuja koraiensis in Mt. Joongwang by the degree of decay of snags and logs. Snags and logs of T. koraiensis were classified by the decay classification of Thomas et al. (1979)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nags and logs in each class were measured. The decay pattern by decay class between snags and logs were compar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od density and morphological variables were investigated, assuming wood density was a reliable indicator of the degree of decay. Som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related to the degree of decay while others were not related to the degree of decay. The variables that could be used to estimate wood density in a regression equation were ratio of bark remains in mid and lower sections of stem, branch order in upper and mid sections of stem, ratio of branch remains in lower stem, moisture content and bole form. A modified decay classification that was applicable to T. koraiensis snags and logs was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