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수자 담론으로서 유학의 가능성: 강유위(康有爲) 『대동서(大同書)』를 중심으로

        정종모 ( Jung Jongmo ) 한국중국학회 2018 중국학보 Vol.83 No.-

        본 논문에서는 유가 사상이 어떻게 소수자 윤리학 담론에 참여할 수 있는가를 이론적으로 성찰한다. 이를 위해 특히 강유위의 『대동서』를 근현대 유학에서 소수자 담론의 기원으로 삼고, 강유위의 사상이 어떻게 소수자 윤리학의 가능성을 함축하는가를 논의한다. 강유위는 『대동서』에서 측은지심(惻隱之心)을 유가 인학(仁學) 체계의 핵심으로 삼고, 고통 받는 타자에 대한 윤리를 전개하였다. 이러한 강유위의 인학(仁學) 체계는 공맹(孔孟) 유학을 계승하면서 동시에 『예기』「예운」의 ‘대동(大同)’개념에서 피력된 인정(仁政)의 이상을 한층 확대한 것이다. 기존의 많은 연구는 『대동서』를 급진적 사회공학의 아류로서 비판하였다. 그러나 유학의 현대적 재해석이라는 과제 하에서, 우리는 ‘타자 윤리학’, ‘소수자 윤리학’의 차원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강유의 인학(仁學)의 실천적 의미를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칸트의 ‘규제적 이념’과 ‘구성적 이념’에 대한 구분을 차용하고, 동시에 이 개념의 윤리적 함축에 대한 가라타니 고진의 해석을 활용한다. 이로써 강유위 인학이 단순히 공상적, 추상적 설계가 아니라, 현실에 대한 구체적 비판과 윤리적 실천을 추동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을 보이고자 한다. 그리고 그러한 전망 속에서 강유위의 『대동서』를 소수자 윤리학으로서 새로운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음을 설득력 있게 입증하고자 한다. In this paper, we will discuss how Confucian thought can participate in minority discourse. Especially, I want to make Kang You-wei’s Datongshu as the origin of the discourse of the minority in modern Chinese thoughts. I think there are various discussions about the minority in this book. Kang made compassion for others as the core of the ethical system in Datongshu and his philosophy. His view not only succeeded the thoughts of Confucius and Mencius about Ren(仁), but also extended the moral idealism of the chapter of The Conveyance of Rituals(禮運) in The Book of Rites(禮記). In order to clarify the practical meaning of his thought, this paper adopted Kant's concepts of ‘constitutive idea’ and ‘regulative idea’. In addition, I will refer to the interpretation of Karatani kojin(柄谷行人) in order to understand the ethical implications of these concepts in detail. Through this, we can see that the idealism of the Datongshu presents a concrete practice virtue embracing minorities in ethical area.

      • KCI등재

        고헌성(顧憲成)의 양명학관 연구 ― 『소심재차기』를 통해 본 주왕절충론 ―

        정종모 ( Jung Jongmo ) 온지학회 2024 溫知論叢 Vol.- No.78

        본 논문에서는 명말(明末)의 유학자인 고헌성(顧憲成)의 철학을 다루고자 한다. 국내의 기존 연구는 대체로 무선무악설에 대한 고헌성의 비판을 다루었지만, 본 연구는 그의 주왕절충론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고헌성은 고반룡(高攀龍)과 함께 동림학파(東林學派)를 이끌었던 인물로, 왕학(王學) 말류(末流)의 폐단을 비판하면서 양지학(良知學)의 본래면목을 회복하고자 하였다. 특히 이 과정에서 그는 주자학과 양명학의 절충을 모색했다. 기존 연구에서는 고헌성을 양명학의 종지에 비교적 충실한 인물로 볼 것인가, 아니면 정주학(程朱學)으로의 회귀적 성격을 보인 주왕절충론자로 볼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있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기본적으로 후자의 입장을 지지한다. 그 주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성과 양지의 관계를 다루는 본체론 영역에서 고헌성은 여전히 본성의 활동성보다는 본성의 초월성을 강조하면서 양지와 본성의 거리를 유지한다. 둘째, 공부론 차원에서 보면 그는 치양지(致良知)를 긍정하면서도 결과적으로는 거경(居敬) 공부의 일종인 소심(小心)의 종지에 귀착한다. 결론적으로 말해, 고헌성은 왕양명의 양지설을 존숭했지만, 본체론과 공부론에서 모두 정주학(주자학)과 양명학의 조화와 절충을 모색했으며, 그러한 시도 안에서도 실질적으로는 정주학으로 기울어지는 태도를 보였다. 이를 통해 고헌성이 양지설의 의미를 온전히 포착하지도 못했으며, 진정한 의미에서의 절충에 도달하는 데에도 한계를 보였음을 확인 할 수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philosophy of Gu Xiancheng(顧憲成), a Confucian scholar at the end of the Ming Dynasty. Research dealing with Gu xiancheng in Korea has generally dealt with his criticism of the no goodness and badness. However, this study focuses on his eclecticism of zhu(朱) and Wang(王) and tries to analyze it. Gu Xiancheng is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of Donglin School, criticizing the negative effects of later Yangmingxue and trying to restore the original face of thoery of Liangzhi(良知). In particular, in this process, he sought a compromise between Zhuzixue and Yangmingxue. There have been discussions on whether to view Gu Xiancheng as a person relatively faithful to Yangmingxue or as a eclecticist who showed a return to Cheng and Zhu(程朱). This paper basically supports the latter position. The reason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alm of ontology, Gu Xiancheng distinguishes between Liangzhi and Xing (性) by emphasizing the transcendence rather than the activity of Xing. Second, in terms of cultivation, he affirms Zhi-Liangzhi(致良知), but ultimately he advocates xiaoxin(小心: keeping mind carefully), a kind of jujing(居敬). In conclusion, Gu Xiancheng respected Wang Yangming's thoery of Liangji, but he sought a harmony and compromise between Zhu Xi and Yangming studies in both the ontology and cultivation theory, and even within such harmony and compromise, he showed an attitude of leaning toward Zhuzixue. Through this analysis, it can be confirmed that philosophy of Gu Xiancheng has limitations in fully capturing the meaning of Liangzhi and reaching a compromise in the true sen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