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복무제도의 시대적 변천사와 사회복지시설 사회복무요원의 조직유효성에 관한 연구

        신영일 ( Shin Young Il ),최종진 ( Choi Jong Jin ),정의식 ( Jong Ui Sik ) 한국행정사학회 2020 韓國行政史學誌 Vol.49 No.-

        2008년 도입된 사회복무제도는 방위병제도, 공익근무요원제도에 이어 시행되는 병역제도의 일환이다. 그러므로 사회복무와 관련된 병역제도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 현행 병역제도 하에서 사회복무요원의 사회서비스 제공 역량 제고를 위하여 도입된 직무교육이 사회복지시설의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제도의 변천과정을 법령과 문헌을 통하여 고찰하였고, 직무교육을 이수한 사회복무요원의 교육만족도, 조직유효성, 직무역량의 영향관계를 검증하여 조직유효성에 대한 개입 방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 강원도의 사회복지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무요원 25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으로 교육만족도, 직무역량, 조직유효성 사이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고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직무역량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만족도는 조직유효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교육만족도와 조직유효성 사이에서 직무역량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조직유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직무교육에 대한 교육만족도 활용방안을 제안하였고 사회복무요원의 직무역량을 통한 조직유효성 제고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social service system, introduced in 2008, is a part of the military service system that follows the defense military system and public service personnel syst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military service system related to social service,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job training introduced in order to enhance the capacity of social service personnel to provide social services under the current military service system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cess of changes in the system through a review of laws and documents, and to examine the intervening plans for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atisfacti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job competency of social service personnel who completed job training. To this end, 256 social service personnel working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Seoul, Incheon, Gyeonggi, and Gangwon-do were analyz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satisfaction, job competenc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analyz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ediating effect of job competency was verifi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education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job competency was confirmed between education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 order to improv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 plan to utilize educational satisfaction for job training was proposed, and a plan to improv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job competency of social service personnel was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