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급 한국어 교재 읽기 텍스트의 주제 연구

        정은화 ( Eun Wha Jeong ),이화진 ( Hwa Jinp Lee ) 한국독서학회 2015 독서연구 Vol.0 No.36

        이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고급 교재에서 다루고 있는 읽기 텍스트의 주제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일반 목적이든 특수 목적이든 외국어 학습자들은 고급 단계에 이르게 되면, 다양하고 광범위한 읽기 자료들을 읽고 거기에서 정보를 얻어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많은 연구 결과들이 고급 단계의 외국어 학습자들에게 읽기가 어려우면서도 중요하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현행 읽기 텍스트의 주제 연구를 통해 고급 단계의 교재가 학습자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충분히 다루고 있는지 판단하는 근거를 마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논의의 첫 번째 단계에서는 현행 고급 단계 읽기 텍스트의 주제들을 표준 모형의 분류틀에 따라 분류하고, 그 분포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다음 단계에서는 앞의 분류 결과 나타난 고급 단계 읽기 텍스트의 주제 양상을 보다 면밀히 분석해 보았다. 두드러지는 양상은 두 가지인데, 그 첫 번째는 전문분야 범주의 강화이고, 두 번째는 문학 작품이 텍스트로 제시되면서 곧 그 자체로 주제가 된다는 점이다. 한국어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점차 다양해지고 세분화되는 학습자들의 목표와 요구를 고려할 때, 이는 고급 단계에서의 자연스러운 변모 양상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그로 인해 고급 단계의 수업이 기초적이나마 지나치게 전문분야에 대한 지식 제공을 위한 것이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것이며, 문학 작품의 경우에는 사회적·문화적 정보를 주기 위한 자료로만 편향적으로 사용되지 않도록 텍스트를 구성하고 제시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to give an analysis of the theme of the Korean language advanced-level reading text. Recently Many overseas students are studying to Korean language advanced-level with various and materialized purposes. So most of the students need to read large amount of Korean reading material and absorb information from it. So the theme research of the current reading text can enhance the foreign students` Korean language ability. In the first step, I classified the theme of advanced-level Korean textbook into the standard theme classification, then arranged the results and overall appearance of distribution. The next step presents the theme of reading texts which is based on the analysis that is mentioned at the previous step.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urrent reading text show us two discriminative features. One is materialization and enhancement of categories of the specialized field. And the other is to began to present literature texts as the theme of the Korean language reading. This two features came from the change of learner`s needs and goals in the Korean language advanced-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