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해안 수산생물에서 분리한 대장균(Escherichia coli)의 항생제 내성 및 다제 내성 양상 비교

        정연겸 ( Yeon Gyeom Jeong ),박보미 ( Bo Mi Park ),김민주 ( Min Ju Kim ),박진일 ( Jin Il Park ),정연중 ( Yeoun Joong Jung ),오은경 ( Eun Gyoung Oh ) 한국수산과학회 2021 한국수산과학회지 Vol.54 No.4

        Antimicrobial resistance patterns of Escherichia coli were investigated. Strains were isolated from 310 shellfish, 36 crustaceans, and 12 fish collected off the West Coast of Korea from April 2019 to October 2020. Two hundred and ninety-five E. coli strains were isolated from shellfish, 100 from crustaceans, and 54 from fish. Strains isolated from shellfish showed the highest resistance to ampicillin (27.5%), whereas those from crustaceans were resistant to sulfisoxazole (30.0%) and those from fish were resistant to ampicillin (59.3%) and sulfisoxazole (59.3%). Ceftazidime resistance was observed in strains isolated from short neck and hard clams, whereas gentamicin resistance was observed in strains from fish. Multi-drug resistance was observed in 56 strains (48.7%) isolated from shellfish, 11 (28.2%) from crustaceans and 27 (73.0%) from fish. Depending on the source of isolation, the strains showed specific antimicrobial resistance tendency. Strains isolated from shellfish showed 12 different multi-drug resistance patterns, whereas those from crustaceans showed high resistance (59%) to a single antimicrobial agent and those from fish showed a broad trend of multi-drug resistance to more than eight antimicrobials.

      • KCI등재

        내부브랜딩 활동이 조직에 대한 구성원 태도와 고객지향성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유경(You Kyung Kim),이효복(Hyo Bok Lee),정연중(Yeon Joong Jeong),이종락(Jong Rak Lee) 한국광고홍보학회 2012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4 No.2

        본 연구는 기업의 조직 내 브랜드 활성화를 위한 수단으로 조직 구성원들의 인식 상에 존재하는 내부브랜딩 활동에 대한 평가가 자사 브랜드 태도, 감성적 애착, 고객지향성 활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여 내부브랜딩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기업의 잠재적인 무형 자산 가운데 하나인 내부조직원을 브랜딩 관점에서 전략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갖는다. 선행연구를 통해서 기업의 내부브랜딩 활동에 대해서 조직구성원들은 브랜드 지식, 브랜드 가치, 브랜드 경영문화, 내부커뮤니케이션의 4가지 차원에서 평가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의 내부브랜딩 활동에 대한 조직원의 평가가 조직에 대한 태도와 감성적 애착, 고객지향성 활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내부브랜딩이 자사 브랜드 태도와 감성적 애착에 직접적인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내부브랜딩을 통해서 형성된 자사 브랜드 태도는 감성적 애착과 고객지향성 활동의도에 직접적인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감성적 애착은 고객 지향성 활동에 직접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내부브랜딩이 고객지향성 활동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못한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기업의 브랜딩 활동이 시장에서뿐만 아니라 기업 내부의 조직원이 자사브랜드에 대한 정확한 지식 형성과 인식 전환의 중요성에 대한 경험적 결과를 제시하였다. 경영자 자신이 브랜드가 되는 것, 브랜드가 되어 버린 상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하는 조직원들이 브랜드처럼 되는 것이 바로 ``Internal Branding``이다. 즉, 브랜드 전달자로서 내부조직원들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에 주목함으로써 브랜드 구축 활동의 대외 지향적인 시각적 한계를 극복하고, 기업 내·외의 균형적 시각을 통한 총체적 브랜딩 활동이 필요하다. 이밖에 다양한 연구결과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verify internal-branding constructive dimensions which were existed in staffs` perception, in order to present the initiative plan for the strategic and long-term management of staffs which is considered as one of intangible assets and organizational means to vitalize internal branding. In addi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awareness toward the importance of internal-branding and explore the internal-branding management strategy through an attempt to analyze the relevance among companies` the constructive dimension of internal-branding, brand attitudes, emotive affection, and customers-oriented behaviors which are established as the variables. The result of structural casual relation analysis about internal-branding`s effects toward staffs` emotional and behavioral dimensions, internal branding positively influenced its own brand attitude, emotional affection, and customers-oriented behaviors. At the same time, its own brand attitudes which were formed by internal branding had directly positive effects on both emotional affection and customer-oriented behavior. It was also founded that emotional affection influenced customers-oriented behavior in the direct and positive way. However,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effects of internal branding on customers-oriented behavior were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d the shift of perception that the branding should not start from the market, but from the internal organization. That is, internal branding means that CEO and staffs, themselves who produce service and products which were already branded, becomes brand. These facts through this study indicated, in particular, that the universal branding management with symmetrical attitudes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organization was necessary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external-oriented vision and attain the successful branding initiatives. More implications and significanc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