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모의수송 시 소독 방법에 따른 접목선인장의 품질 비교

        이성재(Sungjae Lee),정연옥(Younok Jung),소정(Jeong So),임진희(Jinhee Lim) 한국원예학회 2021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Vol.2021 No.10

        국내에서 생산되는 접목선인장은 네덜란드, 미국, 캐나다, 일본, 호주 등지로 수출되며, 전 세계 접목선인장 유통시장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수출 시 비행기 또는 선박을 이용하여 수송하며, 선박 수송의 경우 경제적인 장점이 있지만 컨테이너 내부 환경으로 인해 약 10~30% 수준의 부패가 발생하며, 주로 접목부위에서 일어난다. 현재 수출 선인장 농가에서는 토치소독을 실시하고 있으며, 유해가스로 인한 어지러움을 호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송 시 부패율을 감소시키고 관행 소독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접목 시 사용되는 도구에 적합한 소독 방법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수출용 접목선인장은 빨간색, 분홍색, 노란색 자구색상별로 120개씩 선택하였다. 소독 방법은 관행 방식인 토치소독과 본 연구진이 추가한 열탕침지 방식, 대조구는 무처리구로 설정하였으며, 각 소독 방법마다 자구 색상별로 40개씩 처리하였다. 박테리아 검정은 3M Pipette Swap(3M Korea Ltd., Korea)로 무처리, 토치소독, 열탕침지한 칼날 끝의 균을 채취하여 일반세균용 Petrifilm(3M Korea Ltd.,Korea)에 접종했다. 모의수송을 위한 접목 선인장은 수출용 상자(한국화훼농협 규격박스)에 보관하여, 수출 환경과 유사한 조건(식물생장상,온도 17~23°C, 습도 60%, 암조건, 35일)으로 설정했다. 이 후 7일 간격으로 부패율, 생체 중, 자구 직경을 조사했다. 박테리아 검정 결과, 무처리구는 자구 색상과 무관하게 다량의 균이 발생하였으며, 무처리구의 콜로니 수는 3가지 색 자구에서 평균 8.5CFU/ml로 나타났다. 관행방식인 토치소독은 3가지 색 자구에서 평균 0.4CFU/ml가 나타났다. 열탕침지 처리구는 3가지 색 자구에서 평균적으로 0.3CFU/ml로 나타나 무처리구 및 관행방식에 비해 균 발생이 적었다. 35일간 모의수송 결과, 각 처리구별 최종 부패율은 무처리구는 빨간자구 10개, 노란자구 8개, 분홍자구 15개로 최종 27.5%였으며, 토치소독은 빨간자구 14개, 노란자구 14개, 분홍자구 6개로 최종 28.3%로 나타나 무처리구보다 부패율이 높았다. 열탕침지는 빨간자구 8개, 노란자구 4개, 분홍자구 8개로 최종 15%의 부패율을 보였으며, 열탕침지 처리구는 모든 색의 자구에서 무처리구보다 부패율이 감소하여 열탕침지 방식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빨간색 및 노란색 자구의 생체중 변화율은 day 0 생체중 대비 무처리는 6%, 열탕침지는 7.2%가 감소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분홍색 자구의 경우 무처리 24%, 토치소독 6.8%, 열탕침지 6.8%로 무처리의 생체중이 가장 빠르게 감소하였다. 자구 직경 변화율은 day 0 직경이 100%일 때, 자구 색상과 무관하계 무처리구는 88%이하로 감소하였으며, 소독한 두 처리구는 90%이상을 유지했다. 농가에서 현장 실증해본 결과, 소독 후 접목할 경우 관행방식인 토치소독은 약 24초로 짧아 시간적 효율은 높았지만, 유해가스 발생으로 인한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가있다. 반면, 열탕침지는 약 35초로 토치소독에 비해 길었지만, 인체에 무해하기 때문에 농가가 선호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종합했을 때, 접목선인장을 선박 경로 수출 시, 열탕침지 소독 방식이 균 발생이 적고, 부패율이 낮았으며, 생체중 및 직경의 감소율이 적어 품질 유지에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 구절초 추출물 및 분획물의 생리활성 연구

        소정(Jeong So),정연옥(Younok Jung),이성재(Sungjae Lee),임진희(Jinhee Lim) 한국원예학회 2021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Vol.2021 No.10

        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는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전국 각처의 산지와 고원지에서 자생하며, 민간에서는 예로부터 전초와 꽃을 폐렴, 기관지염, 방광질환, 부인병, 냉증 등에 사용하여 왔다. 구절초의 대표적인 유효성분으로는 linarin이 있으며, linarin은 항염증작용, 간보호작용, 해열작용, 항산화 및 탄수화물과 지방 흡수 지연 활성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구절초 꽃이 생산하는 대사물질로부터 항산화, 미백 효능을 가지는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써의 활용가치를 밝혀내기 위해 구절초 꽃 메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을 제조하고, 이들의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및 B16F10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함량을 측정하였다. 구절초 꽃은 ㈜함해국에서 구매하였으며, 메탄올에 침지하여 상온조건에서 72시간 추출하였다. 메탄올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 시킨 후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순으로 극성의 차이를 이용해 용매 분획을 실시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메탄올 추출물에서 75.18 mg GAE/g으로 나타났고,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aqueous 분획물은 각각 138.26, 49.28, 370.50, 73.53, 13.33 mg GAE/g의 함량을 나타내어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p < 0.05).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메탄올 추출물에서 283.84 mg QE/g으로 나타났으며,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aqueous 분획물은 각각 444.44, 185.86, 947.47, 239.39, 9.09, 158.59 mg QE/g의 함량을 나타내어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p < 0.05). 항산화활성을 알기 위해 DPPH radical 소거능 실험 결과, positive control인 ascorbic acid는 25, 50, 100 ug/ml일 때 DPPH radical 소거율이 각각 95.94 ± 0.14, 95.94 ± 0.23, 95.64 ± 0.12%로 나타났다. 구절초 메탄올 추출물은 동일 농도 조건일 때 30.98 ± 5.32, 47.90 ± 1.75, 80.97 ± 0.19%로 나타났으며 ethyl acetate 분획물은 동일 농도 조건일 때 92.47 ± 0.21, 94.38 ± 0.43, 95.02 ± 0.38%로 분획물 중 항산화 효과가 가장 우수했다. 미백효과를 알기 위해 메탄올추출물과 앞선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ethyl acetate 분획물을 선정하여 B16F10 세포를 이용한 MTS 세포독성 실험 및 멜라닌 함량을 측정하였다. MTS 세포독성 실험 결과, 추출물 및 분획물의 농도가 25, 50, 100 ug/ml 일 때 메탄올 추출물은 각각 98.72, 54.12, 26.22% 및 ethyl acetate 분획물은 86.19, 32.89, 32.26%의 B16F10세포가 생존하였으며, 25ug/ml에서 두 조건 모두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멜라닌 함량은 negative control이 100%, positive control이 71.71%로 나타났으며, 추출물 및 분획물의 농도가 25 ug/ml 일 때, 메탄올 추출물은 각각 98.76% 및 ethyl acetate 분획물은 62.88%의 멜라닌 함량이 나타났다.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은 25ug/ml 농도 조건에서는 ethyl acetate 분획물이 positive control보다 멜라닌 함량이 낮아 미백효과가 우수하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본 결과, 구절초 꽃은 항산화 및 미백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효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