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셜 미디어의 공공적 활용을 위한 콘텐츠 디자인 방향에 관한 연구

        정애리(주저자) ( Ae Ri Ju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5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1 No.-

        오늘날 소셜 미디어를 통해 양산되는 수많은 콘텐츠는 정치.경제.사회.문화.예술 등을 아우르며 우리의일상생활과 학문, 비즈니스 영역에 걸쳐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를 더 이상 사적 미디어로 바라보지 않고 소셜 미디어가 표방하는 개방.공유.참여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공적 미디어로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소셜 미디어 등장 이후 공공성 담론의 현주소를 짚어보고 소셜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공공성 구현을 위한조건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소셜 미디어의 공적 활용을 위해 공공 콘텐츠의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 연구(literature review)방법을 사용하여 소셜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공공성개념이 어떻게 진화해 왔는지 살펴보고 소셜 미디어의공적 가치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소셜 미디어의 공공성 구현을 위해서는 첫째, 이용주체와 정보의 신뢰성, 둘째, 정보의 정확성, 셋째, 내용의 공정성, 넷째, 디지털 시민성 등의 조건이 전제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소셜 미디어의 공공성 실현을 위해해결되어야 할 문제들도 발견되었다. 공적 미디어라함은 소외계층을 최소화하고 다수의 사회구성을 포용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소셜 미디어 이용을 가로막는 장벽요인으로 피로감, 사회적 부담감, 프라이버시 침해, 사이버 폭력과 사이버 불링 등이 해결되어야 할문제로 대두되었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소셜 미디어의 공적 활용을 위해 공공 콘텐츠의 디자인 방향으로 보편성, 독립성,우수성, 다양성, 책임성, 혁신성 등의 조건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소셜 미디어 관련 연구가 사적영역의 이용 패턴 및 효과 연구에 치중하여 왔음을 직시하고 소셜 미디어의 공적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이론적 프레임을 제시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를 둔다. Today, lots of contents produced by social media make a huge effect on our daily life and academic and business field all over the politics;economics; society;culture;art, etc. This research intended to consider social media as a public media which can realize values of openness, sharing and participation, which are imitated by social media, not a private media. To achieve it, it examined current position of publicness discourse after the appearance of social media and suggested conditions for embodiment of publicness from an angle of social communication. Furthermore, it suggested design direction of public contents for public application of social media. Therefore, this research examined how the concept of publicness has been evolved in the environment of social communication by literature review and confirmed public values of social media. And then, it suggested that first, confidence of using subject and information, second, accuracy of information, third, fairness of contents, fourth, digital citizenship, etc. should be necessary to realize publicness of social media.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problems which should be solved to realize publicness of social media during the process. Public media should minimize negligent classes and embrace lots of social organizations, but there were fatigue, social burdensome, privacy violation, cyber violence, cyber bulling as the obstacles for using social media. Based on the discussion, it suggested conditions of universality, independence, excellence, variety, responsibility, innovation, etc. as the design direction of public contents for public application of social media.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to suggest theoretical frame exploring possibilities of public application while considering that studies on social media have been biased on using pattern and effects of private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