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직무만족이 이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승철(Sungcheol Jung),박지훈(Chihun Park) 성신여자대학교 경영연구소 2015 경영관리연구 Vol.8 No.1

        본 논문에서는 26,544명을 대상으로 하는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직무만족도 문항의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을 하였고, 직무만족이 이직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직무만족도 문항의 경우 단일차원 가정, 다차원 가정, 각 문항의 독립성 가정 등 세 가지 가정 모두에서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전반적인 직무만족도는 이직을 부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요인분석에 따라 두 요인으로 구분한 결과, 업무자체나 인간관계에 대해서 만족하는 경우는 이직을 부적으로 설명을 하고, 보상에 대해서 만족하는 경우는 이직을 정적으로 설명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d the fidelity and the validity (both structural and predictive validity) of the items on job satisfaction and the influence of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on turnover on the base of the data of an panel survey GOMS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with 26,544 subjects. As for items on job satisfaction, we adopted three different analysis methods (uni-dimension hypothesis, multi-dimension hypothesis, and item independence hypothesis) and all of theses showed good fidelities and validities. The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showed that global job satisfaction predicts turnover. More detailed analysis showed that the factor named as ‘job-itself factor’ predicted negatively turnover on one hand and that the factor named as ‘compensation factor’ predicted positively turnover on the other hand.

      • KCI등재

        직무열의와 번영의 관계에 대한 직무성과의 매개효과와 일의 의미의 조절된 매개효과 연구

        정승철(SungCheol Jung) 한국자료분석학회 202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2 No.4

        본 연구는 최근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는 직무열의와 일의 의미가 어떻게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며 궁극적으로 직장인들의 번영감에 어떤 효과를 보이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여러 형태의 기업에 재직 중인 다양한 직급과 연령의 직장인 2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 SPSS 통계프로그램과 SPSS PROCESS Macro (v.3.3)를 활용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열의와 번영감 간의 관계에서 직무성과가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직무성과에 대해서 직무열의와 일의 의미가 상호작용을 통해서 영향을 미치는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직무열의에서 직무성과를 거쳐 번영감에 이르는 매개관계를 일의 의미가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기존 연구들이 직무성과 변인을 종속변인으로 주로 사용한 것에 반해서, 본 연구에서는 직무열의와 번영을 연결하는 중간 과정 변인으로서의 직무성과의 역할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절변인으로서 일의 의미의 역할은 직무충실화와 같은 조직개발적인 개입을 통하여 종업원의 성과 향상과 행복감을 향상 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은 결론에서 다루었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how work engagement and work meaningfulness, in which many researchers recently are interested, influence successively on job performance and flourishing. We gathered data surveying 276 office workers of various job positions in different types of company and conducted data analysis using SPSS statistical software and SPSS Process Macro(v. 3.3).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ediating role of job performance between work engagement and flourishing is verified. Second, we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work meaningful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engagement and job performance.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mediating relationship among work engagement, job performance, and flourishing is verified. While previous studies mostly adopted job performance variable as a dependant variable, this study demonstrated its transitional role between work engagement and flourishing, and thus the successive influence of work engagement on job performance and on flourishing. The moderating role of work meaningfulness could expand the result of this study toward an organizational intervention enhancing job performance and well-being of employees. Problems and th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적 스트레스와 직무열의의 이중매개효과

        최보윤,정승철,Choi, Boyun,Jung, Sungcheol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2 디지털융복합연구 Vol.20 No.4

        본 논문은 조직에서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 경로에서 정서적 스트레스와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직장인 31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Macro 및 Bootstrapping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비인격적 감독, 정서적 스트레스, 직무열의, 이직의도 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중매개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정서적 스트레스, 직무열의, 이직의도에 대한 경로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제공한다. 향후 종단적 연구 및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심층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supervisor's abusive supervision on turnover intention and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al stress and work engagement in the process.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317 employees and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SPSS Macro and bootstrapp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correlation between abusive supervision, emotional stress, work engagement and turnover intention was confirm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dual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stress and work engage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showed meaningful results on the path of the abusive supervision and turnover intention. Further studies with longitudinal method and in-depth studies on factors influencing pathways will be needed to verify substantially the dual mediating effect.

      • KCI등재

        경력몰입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경력성장기회와 코칭리더십의 조절효과

        송미희(MiHee Song),정승철(SungCheol Jung) 한국자료분석학회 202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기업 근로자의 경력몰입, 정서적 조직몰입, 경력성장기회 및 코칭리더십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경력몰입이 정서적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경력몰입이 정서적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경력성장기회의 조절효과와 코칭리더십의 조절된 조절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60대 대기업 집단(민단집단기준)에 재직하고 있는 다양한 직급과 연령의 근로자 33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몰입이 정서적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경력몰입과 정서적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경력성장기회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셋째, 경력몰입과 정서적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경력성장기회의 조절효과에 대한 코칭리더십의 조절된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신뢰구간을 90%로 설정했을 때 경력몰입, 경력성장기회 및 코칭리더십의 삼원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는 유의성 영역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경력몰입이 정서적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을 규명하였으며, 조절변인으로서 경력성장기회가 근로자의 정서적 조직몰입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은 결론에서 다루었다. The study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career growth opportunities and the moderated moderating effect of coaching leadership in the impact of career commitment on affective commitment. We gathered data surveying 334 office workers of various job positions in different type of large compan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verified that career commit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career growth opportunities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commitment and affective commitment. Third, the moderated moderating effect of coaching leadership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a significance area was found in which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 of career commitment, career growth opportunities, and coaching leadership appeared at 90% confidence interval. In this study, it was verified that career commit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for workers of large domestic companies. It also showed the possibility that career growth opportunities as a moderating variable can improve affective commitment.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in the conclu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