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보고식 간이인지기능척도 개발

        정숙회(Jeong, Sook-Hwae) 한국노년학회 2015 한국노년학 Vol.35 No.2

        본 연구는 노인들의 자기보고식 인지기능 척도를 개발하고 정상노인군과 치매노인군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서울과 경기도 소재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55세 이상 113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간이 인지기능 척도를 개발하여 타당화하였고 정상 노인군(38명), 치매노인군(36명)을 대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자기보고식 간이 인지기능 척도 요인분석 결과, 인지적 판단력(COG), 정서통제력(EMO), 기억력(MEM)의 3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척도의 Cronbach's-⍺ .922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3요인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RMSEA .074, TLI .803, CFI .818등으로 나타나 요인구조가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노인의 주관적 기억저하 호소에서 정상 노인군과 치매노인군 간의 자기보고식 간이 인지기능 척도의 하위 요인별 상관을 살펴보면, ‘인지적 판단력과 정서통제력‘ .407, ’인지적 판단력과 기억력‘ .653, ’정서통제력과 기억력‘이 .456으로 상관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별로 관련성의 정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임상 장면에서 사용하고 있는 검사가 이미 활용되고 있으나 의사소통이 적절치 않은 편마비 환자에게 검사실시가 가능한 간이 인지기능 검사를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compare the scale of Self-report Cognitive Function for normal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patient. Method is, First, the Self-report Cognitive Function scale was developed. Then, we analyzed the validity and factors in a group of 38 normal elderly people and a group of 36 with dementia patient. Factor analysis revealed three factors-Cognitive Jugement(COG), Emotional Control(EMO), Memory(MEM)-and suggested high validity(Crombahc's-⍺= .922). The goodness of fit index in three-factor model was appear that RMSEA .074, .TLI .803, CFI .818, and the data is suitable for factor structure. Although tests are already being utilized in the clinical scene, there is a need for hemiplegia patients. So the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is development of Self-report brief Cognitive Function scale.

      • KCI등재

        경직형과 이완형 마비말장애아동에서 조음속도와 말명료도 및 작업기억능력 간의 관계

        정필연(Jeong, Pil Yeon),심현섭(Sim, Hyun Sub),정숙회(Jeong, Sook Hwae),임동선(Yim, Dongsun) 한국음성학회 2016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among articulation rate, speech intelligibility and working memory in children with dysarthria. Two subject groups of 11 spastic and 11 flaccid dysarthria, respectively, aged between 8 and 17 years of ag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participants were administered the following tests: K-WISC III PIQ test, speech intelligibility, working memory and articulation rate. Group differences were compared by an independent t-test. Pearson correlation were computed between all measu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rticulation rate and intelligibility were significantly lower for the spastic dysarthria than for the flaccid dysarthria.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rticulation rate and intelligibility in children with flaccid dysarthria. Lastly,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rticulation rate and working memory in both groups. The results suggest that articulation rate is not necessarily accompanied by working memory capacity in children with dysarthria, and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articulation rate on intelligibility depending on the type of dysarthr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