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과밀 효과와 양안 경합의 이심률별 상관관계

        김상래(Sangrae Kim),정상철(Sang Chul Chong) 한국인지과학회 2010 인지과학 Vol.21 No.2

        과밀 효과란, 목표 자극의 주위에 다른 방해 자극들을 제시함으로써 목표 자극의 지각 경험을 방해하는 것이다. 양안 경합은 양 눈에 다른 형태의 자극을 제시했을 때, 겹쳐져서 보이거나 하지 않고, 의식 내에서 교대로 보이게 되는 현상이다. 이 두 현상의 상관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심률을 독립변수로 하여 이심률마다 여덟 개의 위치에서 두 가지의 효과를 측정하였고, 이심률 2˚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는 그간 소홀히 하였던 과밀 효과와 양안 경합의 관계에 대해 체계적으로 본격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며, 의식의 측정치로서의 과밀 효과와 양안 경합에 대해 규명할 수 있는 발판을 제공하였다. Crowding effect is the impairment of peripheral object identification due to nearby objects. Binocular rivalry is a phenomenon in which perception alternates between two different objects presented separately to each ey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two phenomena. We measured the magnitudes of visibility index of these two effects at 8 different locations of 3 different eccentricities (2, 5, and 10°).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measurements was found only near the fovea (2°). Our study is the demonstration to show relationship between crowding and binocular rivalry.

      • KCI등재후보

        선분 운동 착시를 통해 본 주의 효과의 공간적 패턴

        현주석(Joo-seok Hyun),정상철(Sang Chul Chong),정찬섭(Chan Sup Chung) 한국인지과학회 1998 인지과학 Vol.9 No.4

        주의 효과의 공간적 패턴이 점진적 감소 모형이 규정하는 것과 같은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주의 유도점과 선분간 거리의 함수로써 선분 운동 착시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조사하였다. 주의는 십자형 자극을 회전시킴으로써 유도되었다. 두 개의 선분이 주의 유도점으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에 동시에 제시되었을 때에는 주의 유도점과 가까운 선분의 운동 착시가 더 현저한 것으로 보고됨으로써 점진적 감소 모형이 지지되었다. 주의가 공간적으로 떨어진 두 점에 유도되었을 때는 이심률에 따라 두 점 사이에 제시된 선분의 운동 착시 방향이 달리 지각되었다. 두 점의 이심률이 4.5도 이내 일 때는 그 두 점 사이에 제시된 선분이 주의가 유도된 쪽으로 부터 반대편으로 운동하는 것으로 지각되었다. 반면에 4.5˚ 이상일 때는 주의가 유도된 쪽을 향해 선분이 운동하는 것으로 지각됨으로써 주의 효과의 공간적 패턴이 중심-흥분 주변부-억제적 구조일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In order to test whether the spatial profile of visual attention is consistent with the predictions of the gradient model. change in the magnitude of line-motion illusion was investigated as a function of the distance between a locus of attention and a taget line. Attention was induced by rotating a cross-shaped stimulus. When two lines located at different distances from the locus of attention were presented at the same time. the line-motion illusion of the nearer one was reported more vivid. which is an evidence supporting the gradient model. When attention was simultaneously induced to two spatially separated spots, the direction of line-motion illusion appeared to change depending on the eccentricity of the spots. While their eccentricity fell within 4.5˚ v.a., a line presented inbetween them was perceived as moving from the attention-induced side. However, it was perceived as moving towards the attention-induced side when the eccentricity fell beyond 4.5˚ , suggesting that the spatial profile of visual attention may have an excitatory-center and inhibitory-surround structure.

      • KCI등재

        다차원척도법으로 알아본 음료 TV광고 인식구조 : 주의 속성을 중심으로

        김은영(Eun Young Kim),이훈재(Hunjae Lee),정상철(Sang Chul Chong) 한국인지과학회 2014 인지과학 Vol.25 No.1

        본 연구는 한 제품 군(음료)의 다양한 TV 광고들을 대상으로 광고 수용자들이 어떤 속성을 중심으로 광고를 인식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차원척도법을 사용하여, 14개의 음료 광고들의 각 쌍에 대한 광고 수용자의 유사성 평정에 근거한 광고들의 포지셔닝 맵을 도출하였다. 광고 수용자의 인식 구조를 반영하는 포지셔닝맵의 차원을 알아보고자 각 광고에 대한 주의 요소, 태도, 구매의도에 대한 평정치와 포지셔닝 맵 상의 각 광고 위치 좌표 간의 상관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음료 광고인식 차원은 내용에 대한 주의, 색상, 움직임에 대한 주의 요소와 높은 상관을 보였다. 특히, 주의 요소들 중 내용에 대한 주의가 강조될수록 광고에 대한 감성적, 행동적 태도가 긍정적으로 형성되었으며, 구매 의도도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주의를 끄는 내용이 담긴 광고가 소비자의 긍정적인 태도와 관련이 높음을 시사한다. Advertisement for one type of product competes against another type using different advertising strategies. It is important to know which factors influence people"s perception of the message within the advertisement and their formation of attitudes towards the advertisement.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 this study investigated what main factors were important when people perceive beverage advertisements on TV. A positioning map was constructed based on similarity ratings of 14 drink advertisements. We examined the meaning of the three dimensions of the positioning map by asking a different group of participants to rate on components of attention, attitudes toward advertisements and products, and intention to purchase the product in each advertisement. It was found that three dimensions in the map was attention to content, color, and motion respectively. More importantly, the attentional component to content was related to the attitude of affection and action toward a beverage introduced in advertise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tent-based attention in advertisements induces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advertisements.

      • KCI등재

        맥락 정보가 심적 회전에 미치는 영향

        정일영(Ilyung Jung),이창현(Chang Hyun Lee),이미선(Mi Sun Lee),정상철(Sang Chul Chong) 한국인지과학회 2009 인지과학 Vol.20 No.4

        본 연구는 맥락 정보가 심적 회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심적 회전 시 주변 정보가 목표 자극을 회전하는데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목표 글자와 주변글자의 각도를 변화시키거나 좌우 글자의 위치를 바꾸어가며 목표 글자가 거울상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게 하였다. 목표 글자는 세 글자로 이루어진 단어에서 가운데 글자로 정의하였고, 나머지 글자를 주변 글자로 정의하였다. 실험 결과 주변 글자의 회전 각도가 증가할수록 반응 시간이 증가하였다. 또한 목표 글자와 주변 글자의 회전 각도가 비슷할 때 반응 속도가 더 빠르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효과는 비단어 조건인 경우보다 단어 조건일 때 더 크게 나타났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연습 난이도가 심적 회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회전 각도에 따라서 반응 시간이 증가하긴 했지만, 연습 시행 난이도는 심적 회전시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위와 같은 실험 결과는 심적 회전이 주변 맥락 정보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만 연습 난이도와 같은 사전 맥락 정보는 심적 회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contexts could influence the speed of mental rotation. Experiment 1 investigated whether the angle of neighboring letters influenced the recognition of the target letter. Reaction time of target recognition increased linearly, as angular differences between the angle of the target letter and that of neighboring letters increased. Moreover, this trend was more pronounced when the target and neighboring letters made a word as compared to when they did not. Experiment 2 examined the effects of practice difficulty on mental rotation. Reaction time again increased linearly with the degree of angular rotation.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asy and the difficult condi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textual information is important in mental rotation.

      • KCI등재
      • KCI등재

        차원 변환이 회전하는 목표 자극의 위치 탐색에 미치는 영향

        박운주(Woon Ju Park),정일영(Ilyung Jung),박정호(Jeongho Park),배상원(Sangwon Bae),정상철(Sang Chul Chong) 한국인지과학회 2011 인지과학 Vol.22 No.2

        본 연구는 초기 화면의 차원 정보와 초기-검사 화면의 차원 일치 여부가 목표 대상이 0°, 90°, 180°, 270°로 회전하는 상황에서 참가자들의 위치 탐색 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고자 했다. 실험 결과, 초기 화면이 2차원으로 제시되었을 때 참가자들의 수행 정확도가 높았고, 특히 3차원 초기 화면의 경우 검사 화면과 차원이 일치할 때 위치 정보의 심적 회전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위치 탐색에 어려움을 겪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운전 상황과 같이 보조 자료로부터 위치 정보를 얻는 것과 동시에 운전자의 위치와 방향이 변하는 경우, 실제와 시각적으로 유사하게 설계된 3차원 자료 보다는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2차원의 자료가 유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spatial dimension information and dimensional consistency between learning and testing phase would influence the target search performance. The participants learned spatial layouts of Lego blocks shown in either two- (2D) or three-dimension (3D) and were tested with the rotated stimuli (0°, 90°, 180°, or 270° from the initial view) in consistent or inconsistent dimension. Significantly better performance was observed when initial learning display appeared in 2D than in 3D. Particularly, the participants showed difficulties in flexible usage of spatial information presented in 3D especially if the dimensional information in the testing phase also was 3D and required mental rotation. The present study indicates that spatial map presented in 2D may be more useful than 3D in driving situations in which acquired spatial information from navigating device, such as GPS, and location of driver continuously chan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