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항공기 진동 데이터 수집 및 주성분 분석을 통한 결함 진단 가능성 연구

        정상규(Sang-gyu Jeong),서영진(Young-jin Seo),김영목(Young-mok Kim),전병규(Byung-kyu Jun) 한국항공우주학회 2018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46 No.9

        최신 항공기에는 항공기의 건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진동데이터 수집 장비가 장착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장비를 통해 수집되는 진동 데이터의 분석은 항공기 설계에 정통한 전문가에 의존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설계 분석을 통해 일반 사용자를 위한 대표적이고 객관적인 결함식별 기준을 제시하는 것은 쉽지 않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기존의 항공기 설계분석 방법이 아닌, 운용 중 수집되는 방대한 양의 진동 데이터에 주성분 분석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기동 및 결함유형 식별이 가능한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육군에서 실운용중인 항공기의 진동 데이터를 실측하여 기동 및 결함 유형별로 분류하였고, 분류된 데이터에 주성분 분석 기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설계 분석을 하지 않고도 운용 데이터 분석만을 통하여 일반 사용자들을 위한 기동/결함유형 식별 도구의 개발이 가능함이 확인되었다. In many cases, modern aircraft are equipped with data acquisition system which checks the structural integrity of the aircraft. The analysis of the vibration data collected with the system is generally performed in dependence on a skilled expert who is familiar with aircraft design.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provide a representative and objective defect identification standard for general users. In this paper, we shows that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type of maneuvers and faults by using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method in the vast vibration data collected during aircraft operation without using the existing aircraft design analysis. We classified the ROK Army aircraft vibration data for maneuvers and faults types, and applied the PCA to the classified data. Our result shows that it is possible to develop an objective maneuver/fault identification method without design analysis for general users.

      • KCI등재

        멀티 레벨 셀 플래시 메모리 신뢰성 분석을 통한 항공 전자장비용 내결함성 메모리 설계 연구

        정상규 ( Sang-gyu Jeong ),전병규 ( Byung-kyu Jun ),김영목 ( Young-mok Kim ),장인기 ( In-ki Chang ) 한국항행학회 2016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20 No.4

        일반적으로 MLC NAND 플래시 저장장치는 SLC NAND 플래시 기반의 장치에 비해 정보 신뢰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MLC 플래시는 SLC 플래시 보다 약 1000배 이상의 RBER (raw bit error rate)을 갖는다고 평가되나 최근 Google 데이터 센터에서 수집된 결과로부터 수행된 연구를 통해 실제 RBER은 이보다 훨씬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는 MLC 플래시의 여유 저장 공간과 SSD 내부에 존재하는 Firmware 층을 활용하여 하드웨어적 구조 복잡성의 증가 없이 정보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인 IDDD (in drive data duplication) 방식을 고안하였고 실 측정결과와 계산을 통해 MLC 플래시의 정보 신뢰성이 SLC 플래시 대비 상당히 높아질 수 있음을 보였다. 우리가 연구한 총 48개 상황 중 44개의 상황에서 SLC 플래시의 RBER이 MLC 플래시보다 낮았음에도 불구하고 IDDD방식을 적용함으로써 48개의 모든 상황에서 MLC 플래시의 RBER이 SLC 플래시보다 낮으며, 43개의 상황에서 UBER (uncorrectable bit error rate) 또한 SLC 플래시 대비 낮음을 보였다. Typical MLC NAND flash devices are considered less reliable than SLC NAND flash devices. Although raw bit error rate (RBER) of MLC flash had been considered approximately 1000times or more higher than that of SLC flash, recent research conducted on Google’s data center shows that it is much lower than such expectation. Based on the research, we devised In Drive Data Duplication (IDDD) scheme that efficiently exploit MLC flash’s sufficient capacity to improve its data reliability without structural complexity increment using SSD intrinsic firmware layer, and showed the data reliability expectation of MLC flash could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LC flash from measured and calculated error rates. Even though RBER of SLC flash was lower than that of MLC flash in 44 out of 48 cases we studied, applying IDDD scheme, RBER of MLC flash was became lower than that of SLC in all 48 cases and uncorrectable bit error rate (UBER) of MLC flash was became lower than that of SLC flash in 45 out of 48 cases.

      • KCI등재

        요구사항 기반 소프트웨어 신뢰성 인증의 국내 군용 항공기 적용방안 연구

        정상규 ( Sang-gyu Jeong ),서영진 ( Young-jin Seo ),장민욱 ( Min-uk Jang ),이윤우 ( Yoon-woo Lee ) 한국항행학회 2018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22 No.4

        최근에 미국 또는 유럽 등에서 개발되거나 해당 국가의 영공에 취항하기 위한 민간 항공기에는 RTCA (radio technical commission for aeronautics)에서 발표하고 미연방항공국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에서 인정한 DO-178에 따른 탑재소프트웨어 신뢰성 검증이 요구된다. 이는 각 분야에서 소프트웨어에 대한 의존이 날로 심화되는 가운데 사고 발생시 경제적, 사회적으로 치명적인 영향이 발생하는 민간 항공 분야에서 먼저 소프트웨어 신뢰도 향상을 위한 노력이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신뢰도 향상을 위해 DO-178에서 요구하고 있는 요구사항 기반의 신뢰성 검증을 위해 선결되어야 할 요건들을 파악하고, 현재 방위사업청의 무기체계 획득 절차에 기반 하여 각 획득 단계에 맞는 점검 요소들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해외에서 축적된 정보를 바탕으로 식별된 주요 점검요소를 국내 항공기 개발 사업에 적용하고 적용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현재의 무기체계 획득 절차에 개발 단계별 소프트웨어 점검 요소를 추가하고 객관적 점검 기준을 제시하는 것으로 DO-178에 따른 요구사항 기반 소프트웨어 신뢰성 점검에 대한 개발관리가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In recent years, It is required to verify software reliability according to DO-178, which announced by radio technical commission for aeronautics (RTCA) and recognized by the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FAA), for civil aircraft developed or intended to fly in the United States or Europe. This is because the reliance on software in each field is deepening, and the efforts for improvement of software reliability have been made first in civil aviation field where economic and social impacts are catastrophic in the event of an accident. In this paper, we have identified some issues to be considered for requirements-based reliability verification required by DO-178 to improve software reliability and present the major elements of the present weapon system acquisition procedure of DAPA for each stage. In addition, we analyzed the results of applying the identified main check factors to a domestic aircraft development project based on the information accumulated in overseas aircraft development projects. As a result, we have shown that it is possible to verify requirements-based software reliability according to DO-178 by adding key checkpoints to the current weapon system acquisition procedure and providing objective inspection criteria.

      • KCI등재

        써클프로그램의 회복적 심리치료 효과성 연구 : 부산교도소 수용자를 중심으로

        정상규(Jeong Sang-gyu) 한국교정복지학회 2021 교정복지연구 Vol.- No.75

        범죄자의 회복과 재사회화를 도모하던 근대의 형사정책이 현대 사회에 들어서 회복적 사법과 치료적 사법을 추구하고 있다. 이에 교정교화프로그램은 정체되어 있어 수용자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부산교도소에서 조사 징벌 중인 수용자, 입실거부 수용자 등 문제수용자 대상으로 진행한 써클프로그램이 수용자들의 심신을 안정화시키고 자기반성과 동료수용자를 이해하면서 교도소의 수용생활을 영위함에 관규를 준수하고 적응하도록 하는지 즉 회복적 심리치료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 것으로 연구 결과, 써클프로그램은 회복적 심리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odern criminal policies, which sought to restore and socialize criminals, have entered the modern society and are pursuing resilient judicial and therapeutic practices. It is therapeutic justice to aim for the treatment of criminals and crime victims beyond the resilient judicial system that seeks the recovery of damage and the recovery of crime victims and perpetrators, and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apply this concept of therapeutic death to criminals with problems related to addiction. The mitigation of human rights and the use of protective equipment are breaking down various correctional orders, such as refusal of inmates to enter the prison and undermining the lack of correctional order of punitive effects, and making it difficult for prison guards to carry out the law properly, while inmates are also ahead of the times, but the correctional reform program is stagnant, which requires a new paradigm for inmates. This study is an important purpose of this program in order to stabilize the mind and body of the inmates through the inmates circle program, to psychologically stabilize the inmates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the circle program instructor, and to comply with and adapt to the rules of the prison camp. This is meaningful in that the circle program is implemented to the inmates who refuse to enter the room using the resilient method to improve the negative emotions and satisfaction of the inmates who refuse to enter the room repeatedly, and to effectively manage information and stress on the acceptance life to observe the asp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s and to improve their ability to cope with the problem.

      • KCI등재

        항공 우주 해상 : 수리온 데이터획득/처리장치 동작회로 및 소프트웨어 개선을 통한 비행안전성 향상

        전병규 ( Byung Kyu Jun ),정상규 ( Sang Gyu Jeong ),김영목 ( Young Mok Kim ),장인기 ( In Ki Chang ) 한국항행학회 2015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19 No.5

        데이터획득/처리장치는 수리온의 2차양산 항공기에 최초 적용하기 위해 개발한 항공기 구성품으로서 엔진, 동력전달, 유압 등 항공기의 주요 계통의 정보를 처리, 타 계통 및 조종사에게 제공한다. 그러나 항공기 생산시험비행 중 해당 구성품과 관련된 여러 결함이 발생하였으며, 장비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긴급하고 확실한 개선이 요구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항공기에서 발생한 결함을 유형별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동작회로와 소프트웨어 전반에 걸쳐 원인분석 및 개선형상을 검증한 결과를 기술하였다. 특히 결함주입기법 기반의 항공기 연동시험을 통해 구성품 장비단위 뿐 아니라 체계단위에서 효과적으로 개선형상을 검증하였으며 이를 통해 수리온 비행안전성 및 품질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었다. The data acquisition unit, signal acquiring and processing equipment, processes and provides major data of an aircraft such as engine system, power train system, hydraulic system, etc. However, it had lots of failure related to the system during production test flight, and it is necessary to fix them perfectly as soon as possible because of the significance of the equipment. In this paper, it contains failure classification and analysis for each defect element to improve whole software as well as electrical circuit. Particularly, utilizing Fault Injection Method based interworking test, more efficient improvement activity was performed for not only equipment level but also aircraft level, and as a result, it is achieved that considerable betterment of Surion quality and flight safety.

      • KCI등재

        회전익항공기 상태감시시스템 임계값 최적화를 통한 비행안전성 확보기술

        전병규 ( Byung-kyu Jun ),정상규 ( Sang-gyu Jeong ),김영목 ( Young-mok Kim ),장인기 ( In-ki Chang ) 한국항행학회 2016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20 No.5

        항공기는 비행이라는 특수성에 의해 안전성이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며, 생산단계 뿐 아니라 운용·유지단계에서도 적절한 검사와 정비를 통해 비행안전성을 유지해야 한다. 최근에는 구성품의 건전성 확인과 정비 필요성 판단을 인적요소에 의존하지 않고 공학적 접근법에 의한 최신 기술이 사용되고 있으며, 국내에서 생산하는 회전익기에도 주요 구성품의 진동측정/감시 시스템인 health & usage monitoring system이 적용되어 운용 중에 있다. 그러나 진동 임계값이 부적절하여 생산 및 운용 간 지속적인 임계값 초과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이는 실제 정비가 필요한 경우가 아닌 오경보로 판명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HUMS의 운용개념을 기술하고, 특히 제한된 여건에서 효율적으로 정비 필요성을 판단하기 위한 HUMS 임계값 최적화와 재설정된 임계값의 초과현상 발생시 조치해야하는 검사 및 정비행위를 정립하여 운용유지의 효율성과 궁극적으로 항공기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The aircraft has to be considered for safety very importantly because of peculiarity of flight in the air, so it should be retained through proper inspection and maintenance not only in production phase but also in operating phase. Recently, it is using the latest technology as engineering approach not depending on human factor to determine on maintenance needs, and domestic production rotary aircraft also has the health & usage monitoring system to measure and to monitor major components. However, continued vibration exceedance phenomenon occurred in production and operation phase because of inappropriate thresholds, and it confirmed as false alarm which is not necessary to repair. In this paper, it is described that operational concept of HUMS, and especially it contains a study result for efficiency of aircraft operation and ultimately the improvement of flight safety by optimizing HUMS thresholds to determine efficiently necessity of maintenance under limited conditions and by establishing inspection/maintenance procedures when the re-designated thresholds exceedance occurred.

      • KCI등재

        회전익 항공기 다기능시현기의 이상시현을 방지하기 위한 DVI 케이블 개선

        김영목(Young Mok Kim),정상규(Sang-Gyu Jeong),조재포(Jae Po Cho),최두현(Doo-Hyun Choi) 한국항공우주학회 2018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46 No.9

        한국형 기동헬기(KUH)의 다기능시현기(MFD)는 항공기 운용 중 임무컴퓨터(MC)로부터 영상정보(항법, 비행, 생존, 지형 및 정비 관련 정보)를 입력받아 시현한다. 체계개발 단계에서 식별된 MFD 이상시현(화면 깜박임 현상 등)은 항공기 초도양산 과정에서 DVI 케이블 차폐 성능 개선과 DVI 케이블 장착 경로 변경을 통하여 해소하였다. 항공기 납품 후 1~2년 정도 경과하였을 때 MFD 이상시현이 다시 발생하였고, 파생형헬기 시험평가 과정에서도 식별되었다. 이러한 MFD 이상시현의 해결을 위하여 항공기 체계 단위의 종합 검토를 수행하였고, DVI 케이블의 개선을 통한 설계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MFD 이상시현의 발생원인을 분석하였고, 설계 개선방안 검토과정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설계 개선사항에 대한 타당성을 DVI 케이블 조립체 비교시험, SIL/지상/비행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입증하였다. Multi-Function Display (MFD) of Korean Utility Helicopter (KUH) displays image information(navigation, flight, topographical and maintenance information) delivered from Mission Computer (MC) during flight operation. The abnormal display of MFD such as flickering phenomenon was identified in the system development. It was solved by improving the shielding performance of the DVI cable and changing the DVI cable installation path at the first mass production. However, it was occurred again when the aircraft was operated for one or two years after delivery. It was also identified in the evaluation process of the derivative helicopters. Therefore,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aircraft system level has been performed to solve the problem of MFD malfunction at first and then a design improvement plan was derived by improving the DVI cable. In this paper, the causes of MFD anomalies are analyzed and also the process of design improvement are summarized. The validity of the improvement has been verified through the DVI cable assembly comparison test, SIL/ground/flight test.

      • 학술 7 특별구두세션 : PC. 포스터세션3 ; 수리온 전원분배제어장치의 품질 신뢰성 향상에 관한 연구

        김영목 ( Young Mok Kim ),정상규 ( Sang Gyu Jeong ),김창영 ( Chang Young Kim ),이주형 ( Joo Hyung Lee ) 한국품질경영학회 2014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1. 목적 · 수리온 항공기 초도양산 중 발생한 전원분배제어장치의 결함 현상에 대하여 분석하고, 결함 해소를 위한 설계 개선방안 제시 2. 연구설계/ 방법론/ 접근방법 · 수리온 전원분배제어장치의 결함현상에 대하여 항공기 체계/구성품/부품 레벨의 고장탐구를 통한 결함원인 분석 · 수리온 전원분배제어장치의 결함원인 분석 결과를 토대로 설계 개선방안 도출 및 적용 · 개선방안 적용 전 영향성 검토, 적용 후 결함해소 확인 및 영향성 검토내용 검증을 통한 체계 건전성 확보 3. 연구결과 · 수리온 전원분배제어장치의 발생 결함 분석을 통하여 결함해소 방안 제시 · 수리온 전원분배제어장치의 설계 개선을 통한 결함현상 해소 및 제품의 품질 신뢰성 향상 · 수리온 항공기의 비행 안전성 향상 및 조종사의 임무수행능력 향상 4. 실무적 시사점 · 수리온 전원분배제어장치의 설계 개선방안 도출 과정에서 적용한 고장탐구 기법 획득 · 수리온 전원분배제어장치의 설계 개선방안 적용 결과에 대한 결함현상 해소 입증 · 기 개발완료 품목에 대한 양산/운용 중 설계 취약점 검출절차 강화 및 이를 위한 관련 데이터 축적/관리 기법 개발 필요성 시사 5. 독창성/ 가치 · 단계별(항공기 체계/구성품/부품 레벨) 고장탐구 기법을 타 장비의 유사 결함현상 고장탐구에 적용 가능 · 수리온 전원분배제어장치의 고장탐구 사례를 통하여 타 항공사업(파생형 헬기, 소형무장헬기)의 유사 결함 현상에 적용 가능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