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메타분석을 활용한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이전 성과 증진방안에 대한 연구

        정부일(Buil Chung) 한국기술혁신학회 2019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9 No.11

        본 연구에서는 기술제공자로서의 출연(연)과 대학의 기술이전의 성과를 기술이전 건수와 기술료 수입으로 구분하여 이들 두 가지 성과유형과 12개 영향요인 간의 상관관계 효과크기를 메타분석의 방법으로 종합하고 분석함으로서 기술이전을 촉진하고 기술이전 성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시되었다. 분석 자료로는 기술이전 관련 74건의 실증연구로부터 추출한 322건의 상관계수를 메타분석의 효과크기 데이터로 사용하였으며, 분석에 포함된 연구문헌들의 발표 시기는 2005-2019년에 걸쳐있다. 분석결과로서 기술이전 건수의 증가가 목표인 경우 연구자수를 늘려서 보다 많은 수의 기술을 개발·보유하는 것이 중요하고, 기술료 수입이 목표인 경우 우수한 특성의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보다 중요한 포인트로 파악되었다. 보상제도와 지원체제는 대학보다는 출연(연)에서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정부지원은 출연(연)보다는 대학에서 높은 중요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메타분석의 결과는 출연(연)과 대학을 비롯한 여러 이해관계자들에게 기술이전을 촉진하고 기술이전 성과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 시사점들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ways to promote technology transfer and improve technology transfer performance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and Universities by synthesizing and analyzing the correlation effect size extracted from the previous researches. As analysis data, 322 correlation coefficients extracted from 74 empirical studies related to technology transfer were used as the effect size data of meta-analysis, and the period of publication of the research literature included in the analysis spans 2005-2019. The result of the analysis implies that when the number of technology transfers is the goal it is important to develop and retain more technologies by increasing the number of researchers while when the royalty income of the technology is the goal it is important to develop technologies with superior characteristics. The compensation system and internal support system are acting as a major factor in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rather than Universities, and government support is shown to be of higher importance in Universities than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meaningful in that they suggest implications that can contribute to facilitating technology transfer and improving technology transfer performance to various stake-holders including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and Universities.

      • KCI등재

        기술이전성과의 영향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정부일(Buil Chung),현병환(Byeong-Hwan Hyun)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기술혁신학회지 Vol.21 No.2

        본 연구에서는 기술이전성과의 영향요인에 관하여 선행연구들(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 52편)의 내용을 검토 · 분석하고 다양한 영향요인들을 이론적 배경을 기반으로 6개 상위요인과 13개 하위요인으로 정리하였다. 선행연구결과들을 메타분석으로 종합하여 기술이전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전체평균 효과크기를 산출해 내었고, 하위영향요인별 효과크기를 비교 검토하여 핵심영향요인을 식별해 내었다. 메타분석의 랜덤효과모형을 적용하여 산출한 평균효과크기(ESr)는 .269로서 중간효과크기에 해당하며, 하위요인분석을 통해 연구자 수, 전담조직, 보유기술, 그리고 외부협력이 핵심영향요인으로 도출되었다. 기술이전성과는 기술이전 건 수, 기술이전 수입금액, 기타 기술이전성과의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하위범주 수준에서의 메타분석을 통하여 각 유형별로 주요 영향요인들을 도출하였다. 논문유형과 자료유형에 대한 조절효과 여부를 분석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기술이전 · 사업화 프로세스 중 기술이전과정에 제한된 연구이므로 후속연구에서 기술사업화 영향요인 관련 연구의 추진이 필요하다. In this study, we reviewed and analyzed the influencing factors of technology transfer performance in the previous studies (52 domestic journals and theses) and classified the various influencing factors into 6 top factors and 13 sub-factor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study results of previous articles were analyzed by meta-analysis method so as to calculate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of influencing factors of technology transfer performance. As the result, the overall effect size (ESr) calculated through meta-analysis applying random effect model is .269, which corresponds to the medium effect size. By comparing effect sizes of influencing factors, the four(4) key influencing factors were also identified, which are ‘number of researchers’, ‘dedicated organization’, ‘possess technology’, and ‘external cooperation’. The technology transfer performance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the number of technology transfers, technology transfer income, and other technology transfer performances. The major influencing factors of each type are derived through meta-analysis at the sub-category level. As moderator variables, the paper type and the data type were analyzed but no significant results were obtained. Since this research is limited to the technology transfer,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the study related to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s following study.

      • 메타분석을 활용한 기술사업화 촉진요인 고찰

        정부일(Buil Chung) 한국기술혁신학회 2019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9 No.11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기술사업화의 진행과정과 현재의 기술사업화 수준을 파악하고, 기술사업화의 성과를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로 구분하여 이들 두 가지 성과유형과 16개 영향요인 간의 상관관계 효과크기를 메타분석의 방법으로 종합하고 분석함으로서 기술사업화를 촉진하고 성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시되었다. 분석 자료로는 기술사업화 관련 116건의 실증연구로부터 추출한 769건의 상관계수를 메타분석의 효과크기 데이터로 사용하였으며, 1995-2018년에 걸쳐 있는 연구대상기간을 세 구간(1995-2010, 2011-2014, 2015-2018)으로 구분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로서 우리나라의 기술사업화 진행단계는 초기단계와 성장단계를 거쳐 2015-2018년 기간에는 성숙기 초반에 접어든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현 단계에서 기술사업화 촉진과 성과증진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한두 개의 영향요인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기술사업화의 전 과정에 걸쳐 각 단계별로 중요한 영향요인들이 제각기 충분한 효과를 발휘하여야만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또한 우리나라 기술사업화의 현 단계에서는 효과적인 정부의 지원정책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므로 향후 기술사업화 생태계의 선 순환적 체제구축 프로젝트와 병행하여 상대적으로 취약한 부문을 강화하는 방향에 초점을 맞춘 정부의 정책적 지원 강화가 요구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urrent level & the progres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n Korea and to find ways to promot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improve its financial & non-financial performance by synthesizing and analyzing the correlations effect sizes between these two performance types and sixteen influence factors by meta-analysis. As analysis data, 769 correlation coefficients extracted from 116 empirical studies related to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were used as the effect size data of meta-analysis, and meta-analysis was carried out over the three periods(1995-2010, 2011-2014, 2015-2018) divided by the entire study period from 1995-2018.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of Korea is estimated to enter the early stage of maturity in the period 2015-2018 after the process of initial stage and growth stage.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n order to promot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its performance improvement at this maturity stage, one or two impact factors do not play a decisive role, but important effects factors in each stage of the entire proces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must be sufficiently effective to achieve the desired purpose. In addition, as the effective government support policy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current stage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n Korea, it is required to strengthen the government"s supporting policy focusing on reinforcing relatively vulnerable sector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n parallel with the project to establish a virtuous circle of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eco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