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코피트 배지에 착과기 급액량이 파프리카 생육과 착과에 미치는 영향

        안철근(Chul Geon An),황연현(Yeon Hyeon Hwang),손길만(Gil Man Shon),임채신(Chae Shin Lim),조정래(Jeoung Lai Cho),정병룡(Byoung Ryong Jeong) 한국원예학회 2009 원예과학기술지 Vol.27 No.2

        착색단고추 암면과 코코피트 배지의 착과기 급액량에 따른 생육과 착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본시험을 수행하였다. 암면은 Grodan dry master, 코코피트는 칩과 섬유가 50 : 50에 분말이 포함된 배지를 사용하였다. 착과기의 급액량은 150-75mL/plant/time로 조절하여 공급하였다. 근권 함수율은 급액량이 감소할수록 낮게 유지되었는데, 코코피트배지가 암면배지에 비해 다소 높게 유지되었고, 코코피트배지 112mL/plant/time 급액처리의 함수율은 65% 정도로 암면 150mL/plant/time 급액처리와 비슷하게 유지되었다. 암면배지의 근권 EC변화는 급액량 차이에 따라 3~8dS/m로 비교적 컸으나, 코코피트배지의 경우는 3~5dS/m로 변화가 심하지 않았다. 생육은 코코피트배지가 암면배지보다 좋았고, 급액량이 감소할수록 위축되는 경향이었다. 과실크기와 과육두께 및 평균과중은 급액량을 줄일수록 감소했고, 당도는 증가하였다. 배지종류별로는 코코피트배지가 암면배지에 비해 과실이 다소 크고 무거워지는 경향이었다. 착과수는 암면배지에서는 급액량이 감소할수록 적었으나, 코코피트배지에서는 급액량이 감소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량은 코코피트배지에서 75-112mL/plant/time 로 급액량을 줄일수록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파프리카 코코피트 재배시에 초기 착과기 급액량을 관행 암면재배의 50~75%로 줄이는 것이 생육과 착과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rrigation amount in rockwool (Dry master, Grodan Co.) and cocopeat (chip : dust = 50 : 50 included fiber) substrates on growth and fruiting of sweet pepper (Capsicum annuum L. ‘Cupra’) during fruiting period. The irrigation amount during fruiting period (4 weeks after rooting) was managed by 150-75 mL/plant/time in rockwool and cocopeat slabs. The lesser irrigation amount during fruiting period resulted in lower water content in both slabs. Water content in slab remained higher at cocopeat than at rockwool. Sixty five percent water content in the slab was maintained by 112 mL/plant/time irrigation in cocopeat and 150 mL/plant/time irrigation in rockwool. The lesser irrigation amount during fruiting period caused the higher EC in root zone. EC change in the slab was dependent on the amount of irrigation. The EC change in slabs was more stable at cocopeat with 3.0-5.0 ds/m than in rockwool with 3.0-8.0 ds/m. The growth and fruit size were better and bigger at cocopeat slab than at rockwool. Lower irrigation amount in both slabs during fruiting period reduced the plant growth, fruit size, pericarp thickness and fruit weight but increased the soluble solid contents of fruits. The less irrigation amount during fruiting period appeared to reduce fruit set at rockwool but to increase fruit set at cocopeat. The fruit productivity of cocopeat slab was higher at 75-112 mL/plant/time irrigation amount than at 150 mL/plant/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