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콩 작물의 비료시비에 따른 생육 진단 모델 개발을 위한 최적파장 선정

        정환조 ( Hwanjo Jeong ),박범진 ( Beomjin Park ),김주승 ( Juseung Kim ),곽동휘 ( Donghwi Kwak ),정동섭 ( Dongsub Jeong ),이훈수 ( Hoonsoo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3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농업 분야에서 콩은 중요한 작물 중 하나로, 식량과 가축 사료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식물 단백질의 주요 공급원으로 인정받고 있다. 콩 작물의 수확량을 극대화하면서 동시에 비료 사용을 최적화하는 것은 농업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과제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초분광 영상을 이용하여 비료 시비에 따른 콩 작물의 생육 진단 모델 개발 및 최적 파장을 선정하고자 한다. 콩의 노지를 3구역으로 나누어 각각 무처리, 표준시비, 2배시비로 처리하였다. 초분광 데이터 획득을 위해 400~1000nm의 파장데이터를 획득 할 수 있는 초분광 카메라를 선정하여 968*2400*608사이즈의 초분광 큐브를 제작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PLS(Partial Least Square) 및SVM(Support Vector Machine) 기법을 사용하여 최적 모델 개발을 진행하였다. 최적 파장 선정을 위해 iPLS(Interval Partial Least Squares) SFS(Sequential Feature Selection), SPA(Successive projections algorithm), iPLS(interval partial least-squares)의 방법을 채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 방법으로 12개의 최적 파장을 선정 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9개의 최적파장을 종합하여 선정 하였다. 무처리와 표준시비간의 차이는 65% 무처리와 2배시비간의 차이는 83%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초분광 영상을 이용하여 콩 작물의 적절한 비료 투입 및 관리를 위한 잠재적 도구임을 시사하며, 이는 작물 수확량과 품질 관리의 용이함과 환경 데이터 획득의 기반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열화상 카메라를 사용한 감자 가뭄 스트레스 평가

        박범진 ( Beomjin Park ),곽동휘,송광근 ( Kwangkeun Song ),고성은 ( Seongeun Koh ),유채령 ( Chaerhyoung Yoo ),김주승 ( Juseung Kim ),정동섭 ( Dongsub Jeong ),이훈수 ( Hoonsoo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3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농업에 사용되는 물의 최적화는 관개 효율을 높이기 위한 핵심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제한된 관개지역과 기후 변화로 인한 가뭄, 지속 가능한 환경과 결합해 농작물의 수확량을 극대화하면서 관개용수의 최적화를 달성할 필요가 있다. 관개용수와 작물의 생장 사이의 균형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작물의 수분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작물의 수분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토양 기반 평가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식물에 간접적인 연관성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를 대체할 방법으로 표면 에너지 균형에서 파생된 캐노피 온도 접근 방식에 있다. 이 방법은 농작물 표면 온도를 열 적외선 데이터를 통해 구현하며 잎 수준에서 토양의 수분 함량에 따른 기공 개폐와 폐쇠로 인한 온도 변화를 감지한다. 본 연구에서는 용수관개 조건에 따른 적외선 열 영상 데이터 분석을 통해 작물의 수분 스트레스 추정과 관련하여 감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했다. 감자는 온실에서 재배되었으며 5주간 다섯 개의 관개 조건을 하달 하였다. 적외선 데이터로부터 작물의 기공 전도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지표인 작물 수분 스트레스 지수(CWSI : Crop Water Stress Index)를 도입하여 추정하였다. 수분 관개 조건에 대하여 5주 이후 각 구역에 대하여 일원 분산 분석을 실시한 결과 매우 유의미한 차이(p < 0.0001)를 보였으며, 열 영상을 통한 CWSI 작성 및 평가가 감자의 수분 스트레스를 평가하는데 유용한 결과를 보였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