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온에서 콘크리트의 골재 형태별 계면에 따른 초음파 속도 및 압축강도의 역학적 특성

        김원창(Won Chang Kim),윤용균(Young Kyun Yoon),정기신(Kee Sin Jung),이태규(Tae Gyu Lee)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춘계

        기존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의 강도, 혼화재 및 골재의 대체율에 따른 고온에서의 초음파 속도 및 압축강도의 거동에 대한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초음파 속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굵은 골재의 형태별 모르타르와의 계면상태가 영향이 크지만, 고온에서의 압축 강도 및 초음파 속도의 경향에 관련된 연구는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굵은 골재로 쇄석을 혼합한 콘크리트(CSC, Crushed Stone Concrete) 및 강자갈을 혼합한 콘크리트(RGC, River Gravel Concrete)의 고온 압축강도 및 초음파 속도의 경향을 분석하였고, CEB Code, CEN (Siliceous) 및 CEN (Calcareous) Code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목표 온도는 23, 100, 200, 300, 400, 500, 600 ℃로 설정하였으며, 분석 항목으로 압축 강도, 초음파 속도, 잔존 압축강도 비율(Fcratio) 및 잔존 초음파 속도 비율(UPVratio)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고온에서의 압축강도 및 초음파 속도의 분석결과, CSC 및 RGC는 공통적으로 100 ℃에서 강도저하가 나타나며, 300 ℃에서는 강도가 상승하였다. 그러나 300 ℃ 이후의 온도에서는 지속적인 강도저하가 나타났다. 온도 변화에 따른 Fcratio와 UPVratio의 분석 결과, RGC는 300 ℃ 이전 범위에서는 Fcratio가 UPVratio를 상회하고, 이후 온도 범위에서는 UPVratio가 상회하였다. Fcratio와 CEB Code는 모든 범위에서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며, UPVratio는 약 350 ℃ 이후 범위에서 CEB Code를 상회하였다. CEN Code는 300 ℃ 이후 모든 범위에서 상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CSC는 모든 온도에서 Fcratio가 UPVratio를 상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CEB Code 대비 Fcratio 및 UPVratio는 300 ℃ 이전 온도에서는 하회하지만, 이후 온도에서는 상회하였다. CEN Code는 모든 범위에서 Fcratio 및 UPVratio 대비 상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골재의 형태에 따른 고온 압축강도 및 초음파 속도 분석결과, 400 ℃ 이전 온도에서는 CSC 대비 RGC의 Fcratio가 상회하지만, 400 ℃ 이후 온도에서는 CSC의 Fcratio가 상회하였다. 그러나 UPVratio는 모든 온도에서 RGC가 상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 콘크리트의 굵은 골재 종류에 따른 고온에서의 초음파 속도 및 압축강도의 역학적 특성

        이건희(Geon Hee Lee),김원창(Won Chang Kim),정기신(Kee Sin Jung),이태규(Tae Gyu Lee)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춘계

        고온에서 콘크리트의 잔존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초음파 속도에 대한 연구가 수행 되었으나 고온에서 굵은 골재의 종류에 따른 압축강도 및 초음파 속도의 비교⋅분석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굵은 골재인 석회암과 화강암을 혼합한 석회암 골재 콘크리트(LSC, Limestone Concrete) 및 화강암 골재 콘크리트(GNC, Granite Concrete)의 고온 압축강도 및 초음파 속도의 경향을 분석하였고, CEB Code, CEN(Siliceous) 및 CEN(Calcareous) Code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항목으로 초음파 속도, 압축강도, 잔존 초음파 속도 비 및 잔존 압축강도 비로 설정하였으며, 목표온도는 23, 100, 200, 300, 400, 500, 600 ℃로 설정하였다. 고온에서의 압축강도 및 초음파 속도 분석결과, LSC 및 GNC는 공통적으로 100 ℃에서 강도 저하가 나타나며, 300 ℃ 이하까지 강도가 상승하였다. 300 ℃를 초과하는 경우 다시 강도가 저하하며, 400 ℃ 이후로는 지속적인 강도 저하가 나타났다. 100 ℃에서의 초음파 속도와 상온에서의 초음파 속도는 유사하며, 100 ℃ 이후의 온도에서는 초음파 속도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LSC는 400 ℃ 이하의 온도에서는 압축강도가 초음파 속도보다 상회하였으며, 400 ℃ 이후의 온도에서는 반대로 초음파 속도가 상회하였다. CEN code 대비 모든 온도 구간에서 잔존 압축강도 비와 잔존 초음파 속도 비가 하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GNC는 200 ℃ 까지 잔존 압축강도 비와 잔존 초음파 속도 비는 유사하며, 온도가 상승할수록 잔존 초음파 속도비가 잔존 압축강도 비를 상회하였다. 잔존 압축강도 비와 CEB code는 모든 온도에서 유사하며, 잔존 초음파 속도 비는 상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잔존 초음파 속도 비는 CEN (C) code를 상회하며, 잔존 압축강도비는 하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CEN (S) code는 모든 범위에서 하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골재 종류에 따른 고온 압축강도 및 초음파 속도의 분석 결과, 화강암 골재는 모든 온도 범위에서 석회암 골재 대비 잔존 압축강도 비 및 잔존 초음파 속도 비가 높은 경향이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