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발작성 심방세동에서 TEI index의 변화

        박종필 ( Jong Pil Park ),정금모 ( Keum Mo Jung ),전성희 ( Sung Hee Jeon ),이윤정 ( Yun Jung Lee ),최현종 ( Hyung Jong Choi ),김남돈 ( Nam Don Kim ),김용진 ( Yong Jin Park ),김남호 ( Nam Ho Kim ),박우석 ( Woo Seok Pakr ),류제영 ( J 전북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03 全北醫大論文集 Vol.27 No.2

        연구배경: 심방세동은 심방의 확장과 심실 기능이 저하된 경우에 자주 동반되는 비교적 흔한 부정맥이다. 하지만 심방세동의 병인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본 연구는 발작성 심방세동을 갖는 환자에서 도 플러 심근능력 지표 (Tei index)을 이용하여 심실 기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발작성 심방세동을 갖는 환자 25명(남 14, 여 11, 61±3세)과 대조군 25명 (남 11, 여 14, 58±10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75세 이상의 고령 환자, 고혈압, 당뇨, 관상 동맥질환, 판막질환을 갖는 환자는 제외하였다. Tei index는 isovolumetric contraction time (ICT)과 isovolumetric relaxation time (IRT)를 ejection time (ET) 으로 나눈값으로 정의하였다. 결과: 양 군 간에 임상적인 양상은 큰 차이가 없었고. 심 초음파상 심실 중격 두께(8.9±1.8 vs 11.6±3.2 mm, p<0.05), 좌심실 질량지수 (85.6±45 vs 107±33 g/m2, p<0.05), 는 발작성 심방 세동군에서 의의 있게 높았다. 좌심실의 확장기말 길이 (49±4 vs 51±4 mm), 수축가말 길이 (29.7±3 vs 33.1±5 mm), 좌심실 구혈률(69±6 vs 65±8%)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좌심방의 전후 길이 (32.8±4.3 vs 39.5±8.2 mm, p<0.05),은 발작성 심방세동 군에서 의의 있게 높았으며 좌심방면적 분획변화율(fractional area change)은 (39.5±8.2 vs 32.8±4.3%, p<0.05),은 의의 있게 낮았다. 발작성 심방세동 군에서 IRT (59±23 vs 76.5±21 msec, p<0.05),는 길었으며, ET (332.9±23 vs 303±27 msec, p<0.05),는 짧았다. ICT (43±21 vs 53±17 msec)는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Tei index (0.33±0.01 vs 0.4±0.12, p<0.05)는 발작성 심방세동 군에서 의의 있게 높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발작성 심방세동의 병인에 있어서 좌심방의 기능 저하뿐만 아니라, 좌심실의 이완기 장애 도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and Objective : Atrial fibrillation is comparative common arrhythmia, when left atrium is enlarged and the ventricular function of the heart is fallen. However, cause of a Atrial fibrillation is not confirmed. This research wished to evaluate the function of the ventricle using Doppler myocardial performance index (Tei index) in patient who have paroxysmal atrial fibrillation. Subjective and Method : This study was done with 25 people (man 14, woman 11, age: 61 ±8 yr) who had paroxysmal atrial fibrillation and 25 people (man 11, woman 14, age: 58 ±10) who had no abnormality(control group). Among the researched patient, who have advanced age more than 75 years old, high blood pressure, diabetes, coronary arteries disease, valvular heart disease were excluded. Myocardial performance index(Tei index) defined by value that divide isovolumetric contraction time(ICT) and isovolumetric relaxation time(IRT) by ejection time (ET). Results : In aspect about clinical characteristics, the LV septal wall thickness(8.9 ±1.8vs 11.6 ±3.2 mm, p<0.05) and LV mass index (86±45 vs 107±33 g/m2, <0.05)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aroxysmal atrial fibrillation group than control group. The differences in LV end diastolic diameter (49±4 vs 51±4 mm), end-systolic diameter (29±7 vs 33±1 mm), left ventricle ejection (69±4 vs 65±5 %) between two group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In paroxysmal atrial fibrillation group, LAAP diameter (33.1±4 vs 39.6±8.2 mm, p<0.05) was significantly long, left atrial fractional shortening (41±6 vs 36±6 %, p<0.05) was significantly low. In paroxysmal atrial fibrillation group, the isovolumetric relaxation time(IRT) was significantly long (59±22 vs 76±21 msec, p<0.05) and ejection time(ET) was significantly short (333±23 vs 303±28 msec, p<0.05). Isovolumetric contraction time(ICT)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43±21 vs 53±17 msec). Doppler Myocardial performance index(Tei index) was significantly high in paroxysmal atrial fibrillation group(0.30±0.1 vs 0.42±0.12, p<0.05). Conclusion : As result of this research, we can know that there is diastolic dysfunction of left ventricle as well as depression of left atrial function at paroxysmal atrial fibrillation and diastolic dysfunction of left ventricle can be a cause of paroxysmal atrial fibril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