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산 대나무의 항돌연변이 효과 및 대나무 코팅쌀의 간 독성 억제효과

        이민자(Min-Ja Lee),김은영(Eun-Young Kim),정근옥(Keun-Ok Jeong),박건영(Kun-Young Park),문갑순(Gap-Soon Mo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3 No.8

        대나무 열수 추출물의 독성 및 항돌연변이 활성을 Ames test를 통해 평가하고 이 중 맹종죽 열수 추출물을 쌀에 코팅한 맹종죽 코팅쌀의 간 독성 억제효과를 고콜레스테롤을 섭취한 NZW계 토끼를 이용한 동물실험을 통해 시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왕대, 솜대, 맹종죽, 오죽 추출물의 독성 및 돌연변이 억제 효과를 관찰한 결과 대나무 추출물을 0.25~5.0 ㎎/plate 농도로 Salmonella typhimurium TA 100에 처리하였을 때 독성을 전혀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대나무 추출물은 S9 mix를 필요로 하거나 또는 필요로 하지 않는 돌연변이원에 대해 강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대나무 추출물이 MNNG 투여에 의한 돌연변이 생성율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결과 왕대, 솜대 및 맹종죽 추출물을 2.0 ㎎/plate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96%의 저해 효과를 나타내어 강한 항돌연변이 효과를 보였다. 한편, 맹종죽 코팅쌀을 고콜레스테롤 섭취 토끼에게 16주간 급식한 결과 맹종죽 코팅쌀은 토끼의 체중감소를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식이섭취량은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다소 증가하였고 식이효율은 HC군에 비해 HR+MR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토끼 조직의 무게에 있어서도 간 무게의 경우 HC군에 비해 HC+MR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심장, 신장, 비장 및 폐 조직의 무게에 있어서는 두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혈장에서의 GOT 및 GPT 농도를 관찰한 결과 맹종죽 코팅쌀이 두 효소의 활성을 현저히 억제하여 간 보호 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로써, 대나무 추출물은 독성이 없고 항돌연변이 활성을 나타내며 맹종죽 코팅쌀은 동물의 성장에 있어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 않아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To evaluate the antimutagenic effect and hepato protective of bamboo trees and bamboo byproduct, hot-water extracts from four kinds of bamboo [wang-dae (Phyllostachys bambusoides S. et Z.), som-dae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maengjong-juk (Phyllostachys pubescens) and o-juk (Phyllostachys nigra Munro)] and maengjong-juk extract coated rice were evaluated for antimutagenicity by Ames test using Salmonella typhimurium TA100. Bamboo extracts showed strong antimutagenic activity in the Ames test which MNNG was used as mutagen in the absence and presence of S9 mix. Maengjong-juk extract coated rice diet suppressed the loss of body weight significantly. Food intake was increased in maengjong-juk extract coated rice supplemented group bu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ntrol and maengjong-juk extract coated rice diet groups. Food efficiency of maengjong-juk extract coated rice supplemented group was signif- 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Liver weigh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maengjong-juk extract coated rice diet administration. Plasma GOT & GPT activities of rabbit were significantly suppressed in maengjong-juk extract coated rice supplemented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bamboo trees extracts and maengjong-juk extract coated rice are bioavailable resource on treat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such as atherosclerosis and hypercholesterolemia.

      • KCI등재

        저장온도와 포장방법에 따른 깍두기의 발효특성

        김영애(Young-Ae Kim),이숙희(Sook-Hee Rhee),정근옥(Keun-Ok Jeong),박건영(Kun-Young Park),문숙희(Suk-Hee Mo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1 No.6

        발효온도과 포장방법이 깍두기의 저장기간, 젖산균 수 및 깍두기 포장물의 부피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발효온도가 높을수록 pH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적숙기인 산도 0.6%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0℃에서 30일로 15℃에서의 6일에 비해 5배 정도 저장성이 높았다. 발효온도에 따른 Leuconostoc sp. 젖산균의 수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Lactobacillus sp. 젖산균의 수는 0℃에서 발효시킨 깍두기에서 가장 적었다. 또한 0℃에서 발효시킨 깍두기에서 알루미늄 파우치의 부피팽창이 가장 적었다. 플라스틱 병과 알루미늄포장지에서 발효한 깍두기는 pH와 산도에서 차이가 없었으며, 가스흡수제(Ca(OH)₂)를 넣은 알루미늄포장지에서 발효한 깍두기는 적색도가 낮고 황색도가 높아 깍두기의 색이 탈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배추김치에 비해 저장성이 낮은 깍두기의 경우 0℃에서 발효하는 것이 저장성을 높일 수 있으며 플라스틱 병에서 저장할 경우 포장물의 부피팽창과 깍두기의 탈색을 억제할 수 있어 깍두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and packing method on the changes in pH, acidity, the levels of lactic acid bacteria, volume expansion of packages and the colorness during the fermentation of kakdugi (diced radish kimchi) were investigated.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were greatly influenced by the temperature. The pH of kakdugi fermented at 15℃ was 4.10 at 3 days, while the pH of kakdugi fermented at 0℃ was 4.03 at 18 days. The acidity of kakdugi fermented at 0℃ very slowly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the kakdugi fermented at 15℃, 10℃ or 5℃. The required days to reach the acidity of 0.6% (optimally ripened state) were 6 days at 15℃, 7 days at 10℃, 18 days at 5℃ and 30 days at 0℃. Despite of different fermentation temperature, the numbers of Leuconostoc sp. in optimally ripened kakdugi were similar. However, Lactobacillus sp. in kakdugi fermented at 0℃ was the smallest in number. Also, the volume expansion of aluminum pack was the lowest in kakdugi fermented at 0℃. Both pH and acidity of the kakdugi fermented in different packing condition did not show any difference at 10℃ for 20 days, however, the color of the kakdugi was affected by a packing method. Aluminium laminate package in which Ca(OH)₂ pack stuck inside resulted in decolorization of kakdugi com- pared with aluminum package without Ca(OH)₂ pack or plastic jar. It showed the lowest redness and the highest lightness and yellownes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fermentation at 0℃ could increase storage period of kakdugi with minimum growth of Lactobacillus sp., and plastic jar might relieve the problem of volume expansion and decolorization of kakdug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