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유튜브 어린이 콘텐츠 현황 분석 및 적절성 평가

        양유진(Yang, Yujin),전희경(Chun, Heekyu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1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국내에서 인기 있는 유튜브 어린이 콘텐츠를 분석하고 그 적절성을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독자 수 상위 100위 안에 드는 국내 어린이 콘텐츠 채널 6개를 선정하고, 조회 수를 기준으로 채널별 상위 10개의 콘텐츠를 선정하여 총 60개의 어린이 콘텐츠에 대해 적절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에 선정된 유튜브 어린이 채널의 일반적 현황과 전체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각 채널은 많은 수의 콘텐츠들이 업로드되어 다양성을 확보하고 있었으며, 각각이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유튜브 어린이 채널은 개인뿐만 아니라 기업에서 더 많이 참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특히 기업이 운영하는 채널은 공익성 또는 상업적 성격을 함께 띠는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분석대상으로 선정된 6개 채널의 60편의 영상을 발달 적합성, 콘텐츠 질, 디자인 특성, 내용 영역 네 가지 하위범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영유아에게 추천할 만한 콘텐츠는 총 40편이며, 비추천 콘텐츠는 총 20편으로 영유아에게 추천할 만한 콘텐츠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유튜브 어린이 콘텐츠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evaluate YouTube content popular with young children in South Korea. For this purpose, six domestic channels providing for children among the Top 100 subscribed YouTube Channels were selected, and the top 10 videos for each channel based on the number of view were chosen for further analysis(sixty videos in total). Analysis of the general status and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YouTube channels selected for the study showed that each channel featured a diverse range of videos, show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re were more companies than individuals providing YouTube content for children, and the channels operated by companies featured both social education and commercial elements simultaneously. Second, the sixty videos chosen for further analysis from the six channels were divided into four sub-categories; age suitability, contents quality, design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objective. The subsequent analysis revealed that forty videos were appropriate for infants and children, while twenty were not. Thus, there were more contents that could be recommended for infants and childre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the production and development of YouTube cont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