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의 산업기술인력 공급구조 분석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전현중(Jun Hyunjoong),김종한(Kim Jonghan),박성익(Park Sungik),류장수(Ryu Jangsoo) 한국지역사회학회 2009 지역사회연구 Vol.17 No.1

        This paper discusses and develops policy implications by analyzing Busan's current industrial technology labor supply capacity for it's manufacturing sector. Major findings of the paper include the following: First, The supply of industrial technology labor in Busan is continuing to decrease due to fall off the student’s enrollment in these respective field. It is forecasted that the university student labor supply will decrease to about 73,000 students in 2020 and less then 5,000 in 2006. The number of students graduating in industrial technology fields is also rapidly decreasing. University graduate students are instead selecting majors in computer and information fields while majors in the mechanical and metal engineering fields continue to decline. Second, Public vocational training organizations are playing a less important role in supplying industrial technology labor. Instead, firms are playing a more important role in supplying industrial technology labor to Busan in areas of machinery, automobile and ship-building. Most recently, the inter-firms consortium is supplying industrial technology labor more abundantly to Busan. Third, three different types of vocational training for firms will be discussed: assembly firm oriented, consortium and internal training market. In conclusion, this paper will provide an overview on the current status of Busan's industrial technology labor supply and present strategies and suggestions regarding policy implications. Intra-firm and inter-firm vocational training, developing links between universities and public training organizations is also recommended and encouraged to ensure adequate supply of industrial technology labor to Busan.

      • KCI등재

        프랑스 청년실업의 성격과 경제성장 효과

        전현중(Hyunjoong Jun) 한국유럽학회 2018 유럽연구 Vol.36 No.4

        이 논문은 1980년 이후 프랑스의 청년실업 현황과 특성을 살펴보고, 청년실업의 경제성장 효과를 분석하는데 중점을 둔다. 실증분석은 오쿤의 법칙을 적용하여, 프랑스 청년실업과 경제성장 간의 관계를 추정하였다. 프랑스 청년실업률은 현재 20%가 넘는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청년고용의 취약성은 낮은 고용률, 높은 비경제활동인구 비율, 많은 실업후광 인구, 높은 임시직 비율에서 찾을 수 있다. 프랑스 청년니트(NEET) 인구의 비중도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독일과의 격차도 확대되고 있다. 실증분석 결과는 GDP 성장과 청년실업률은 부(-)의 관계를 보이며 오쿤의 법칙이 유효함을 보여주고 있다. 15-24세 청년실업률은 다른 연령층에 비해 실질 GDP 변화량에 더욱 커다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랑스의 청년실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업중심 경기활성화, 노동시장 유연성 확대, 노동조합 개혁, 청년 직업훈련체제 개혁과 투자 확대, 노동수요와 공급 간의 직업역량 미스매치를 해소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alities and characteristics of youth unemployment in France since 1980 and focuses on analyzing the economic growth effects of youth unemployment. The empirical analysis applied the Okun’s law to measure the relationship between French youth unemployment and economic growth. The youth unemployment rate in France is currently at a high level of over 20%. Vulnerabilities in youth employment can be found in low employment rates, high inactive population ratios, high unemployment halo population, and high temporary employee rates. The proportion of the French youth NEET population is also high, and the gap with Germany is widening. Empirical results show that GDP growth and youth unemployment rate are negative and that the law of Okun is valid. The unemployment rate for young people aged 15-24 is more influenced by the change in real GDP than other age groups. In order to solve the youth unemployment problem in France, it can be said to revitalize the economy through enterprises, increase labor market flexibility, reform labor unions and youth vocational training system, enpand investment in vocational training and eliminate mismatch of job competence between labor demand side and supply side.

      • KCI등재

        잡매칭을 위한 취약계층 주민 실태조사

        박성익(Sungik Park),전현중(Hyunjoong Jun),조장식(Jangik Cho),곽소희(Sohui Kwak),김종한(Jonghan Kim)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0 産業關係硏究 Vol.20 No.3

        본 논문은 노동시장 문제에 대한 지역단위 접근의 필요성이 중요하다는 인식하에, 부산의 고용촉진지구 취약계층 주민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결과는, 첫째 응답자의 취업ㆍ창업의지나 구직 여부는 계층 및 여러 특성별로 다양한 편차가 존재한다. 둘째, 수혜 기간이 길어질수록 기초생활수급자의 취업ㆍ창업의지는 약해지고 구직 활동도 안하는 응답자의 비중이 커진다. 셋째, 고용촉진지구 주민을 지역 중소기업에 취업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할 때 중요한 정책적 시사점은 첫째, 계층별 및 특성별로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기초생활수급자의 경우는 고용과 복지를 병행 할 필요가 존재한다. 둘째는 취약계층의 의사와 능력을 반영하는 잡매칭 함수를 고안함으로써, 잡매칭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regional approach is essential to resolve regional labor problem, this paper carried out a survey on job related issues and analysed the result, focusing on the case of Busan Employment Zone. Major results were the following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existed wide variety of discrepancies in terms of willingness to work and job search efforts across various classes and characteristics. Second, it was shown that the longer persons in disadvantaged class got government benefit, the weaker the willingness to work became. Third, it was noticed that there was possibility that residents in Busan Employment Zone got the job in regional SMEs. Implications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various approaches are needed to target various classes and characteristics. For example, employment and welfare must be simultaneously considered for the poorest people with government subsidy.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job matching which reflect the wishes and capabilities of the people in disadvantaged class.

      • KCI등재

        구인·구직조건의 유연성을 고려한 잡매칭함수의 개발

        박성익(Sungik Park),조장식(Jangsik Cho),전현중(Hyunjoong Jun),김종한(Jonghan Kim),류장수(Jangsoo Ryu) 한국노동연구원 2012 노동정책연구 Vol.12 No.3

        현재 워크넷의 소프트매칭(soft matching)은 희망 근로조건 입력 후 검색되어 나타난 직업의 구직자 적합도를 계산하는 데 필요한 연관성 값을 자의적으로 설정하고 있다. 본 논문은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연관성 값을 계산하기 위해서, 워크넷(구직표, 구인표)과 고용보험 DB를 연계하여 주민 특성과 업체 특성 간의 일치도 확률분포를 파악함으로써 잡매칭함수를 개발하였다. 잡매칭함수는 1단계에서 구직자에게 적합한 중분류 직종을 선정하고, 2단계에서 적합한 기업을 선정하는 단계별 접근방법을 취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단계 직종선정을 위한 직종별 로지스틱 분석결과의 설명력이 양호하여, 구직자별로 적절한 직종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둘째, 2단계 세분류 직종 및 기업 선정 연구결과에 의하면, 특성차이별로 도출된 확률분포가 일반적인 예상과 부합될 뿐만 아니라 산출된 잡매칭함수의 현실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Currently worknet set up correlation values for soft matching arbitrarily. In order to compute rational correlation values, this study develops job matching function by combining worknet and employment insurance DB and deriving probability function of consistence between characteristics of job seekers and potential employers. In the first stage of job matching function development, medium?level job category is selected for job seekers, and in the second stage firm is selected. Major results are the followings : First, it is reliable to select job category for job seekers since logistic analysis offers credible results. Second, it is found that probability functions by characteristics are consistent with expectations and computed job matching function is appraised to have good fit of job matching process.

      • KCI등재

        부산지역 제조업 산업기술인력 현황분석 및 노동수요 전망

        박성익(Sungik Park),류장수(Jangsoo Ryu),전현중(Hyunjoong Jun),김종한(Jonghan Kim)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08 産業關係硏究 Vol.18 No.1

        인적자본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21세기 신경제 시대에서 과학 및 산업기술 분야에서 역량을 갖춘 산업기술인력이 기술혁신의 주체자로서 국가 및 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핵심 성공요소라는 인식 하에, 본 논문에서는 부산의 제조업에서 산업기술인력의 실태를 파악한 후, 부산의 산업구조 변화에 부응하는 산업기술인력의 수요를 추정함으로써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업자원부의 『산업기술인력 수급동향 실태보고서』에 의하면, 부산은 우리나라의 주력 기간산업 중에서 기계, 자동차, 조선산업(기계부품소재산업)에는 비교적 강점이 있으나,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IT산업에는 취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부산지역 산업기술인력 수요전망을 시나리오별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시나리오에 따라 상이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부산 제조업이 향후에 부산의 성장률을 지속할 경우에는 2020년의 산업기술인력 수요가 현재의 산업기술인력 수보다 클 것으로 전망되었지만, 그 밖의 경우에는 오히려 소폭이나마 작을 것으로 전망되었다. 그러나 부산의 전략산업이 포함되어 있는 주요 제조업에서 산업기술인력의 수요는 모든 시나리오에서 현재의 산업기술인력 종사자 수보다 클 것으로 전망되었다. 특히, 산업기술인력 종사자 중에서도 과학공학 전문가와 과학공학 종사자의 수요는 높은 비율로 늘어나는 반면에, 기능원의 수요는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따라서 산업기술인력 내에서 산업별 구조조정과 고부가가치화가 시급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가 있다. It is widely acknowledged that industrial technology labor competitive in the field of science and industrial engineering plays a key role in enhancing national and firm competitiveness. This paper develops policy implication by analysing current status and forecasting the labor demand on the industrial technology labor in the Busan manufacturing sector. Major findings of the paper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port on the demand and supply of the industrial technology labor', Busan is comparatively well endowed with industrial technology labor within the machinery, automobile and ship-building industries. In contrast, Busan's industrial technology labor is poorly endowed in the IT industry. Second, the demand forecast on industrial technology labor by several scenarios reveal that the results are sensitive to the scenarios adopted. For example, the demand for industrial technology labor in year 2020 is forecast to be bigger than the current number of the industrial technology labor if Busan manufacturing industries continue to grow at the current growth rate. However, in other scenarios it is found that the demand for the industrial technology labor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current number of the industrial technology labor. Nevertheless, in all scenarios, in Busan's major manufacturing industries including Busan's strategic industries, the demand for the industrial technology labor is forecast to be bigger than the current number of the industrial technology labor.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hat the demands for the experts and the employee in science and engineering areas increase at the higher rates, while the demand for mechanics shrink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industrial restructuring of industrial technology labor and transforming of simple labor to the human capital who can create high value-added is desirable.

      • La Diversite' des Processus d'Acquisition des Qualifications Individuelles

        JUN, Hyunjoong 동서대학교부설연구소 1997 연구소 논문집 Vol.2 No.-

        개별근로자의 직업능력 형성에 관한 이론적 접근은 사회학적 접근, 개인주의적 접근 및 구조주의적 접근이 존재한다. 한국 대기업에서는 경력, 임금, 직종 등이 다른 요소에 비해 개인의 경력경로 및 직업능력 형성과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비공식관계 및 중간노동시장(marche mediateur)도 직업능력 형성에 상당히 기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