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국 노동계층의 차문화 연구

        전정애(Jung-Ae Jun) 한국차학회 2013 한국차학회지 Vol.19 No.3

        The tea culture of the working class in the Victorian Age resulted from the combination of charity works of evangelical Christians, the spirit of philanthropy, and teetotalism based on prevailing self-help movements. Churches and charities heartily embraced poor laborers who led a miserable lives and made them taste of a caring and humane society. These workers were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richer and more powerful Britain and “tea” appeased their anxiety and hunger. The Victorian tea culture, being ushered out by the temperance movement that urged Britons to abstain from alcoholic drinks and to chose tea instea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conciling people from all walks of life and leading to an increased tea consumption as well. Thus, tea would be said to be a spiritual drink of Britons and that reflected the universal tea culture with the spirit of the Victorian times. As seen from the example of the British tea culture, a mere tea drinking practice could not be set as a culture until people of all ranks and classes adopted as a popular culture. The working class had five meals a day: breakfast, lunch or luncheon, dinner (midday meal), tea, supper, among which lunch and tea was refreshment between main meals. Judging from tea typically being served at all meal, it is now safe to conclude that tea was indispensable to the British isles.

      • KCI등재

        한국인의 음다법(飮茶法) 개선 연구

        전정애(Jung-Ae Jun) 국제차문화학회 2018 차문화ㆍ산업학 Vol.42 No.-

        현대인의 음식 트렌드에 따른 새로운 음다법으로 ‘식간음료’ 개념을 제안하였다. 외국의 ‘식간음료’ 현황을 통해 차문화 발전과정을 고찰한 결과 음식과 차를 함께 상용하는 국가는 후식으로 차를 마시는 국가보다 차문화가 다양하게 발달되어 있었다. 영국은 지역적 특성에 맞게 차와 티푸드의 조화를 고려하여 티타임을 발전시켜왔다. 영국식 아침식사를 잉글리시 브렉퍼스트, 스카티시 브렉퍼스트, 아이리시 브렉퍼스트 등으로 세분화하여 살펴보니 대륙의 아침식사보다 풍성하고 반드시 차를 곁들여 마시는 특성을 보였다. 중국음식은 일반적으로 기름을 많이 사용하므로 음식이 기름지다. 이때 우롱차나 보이차와 함께 마시면서 요리를 먹게 되면 입안의 느끼함도 없애주고 기름기도 제거시켜주므로 보다 맛있게 중국요리를 즐길 수 있다. 일본에서는 어떤 음식과도 차를 함께 마시도록 준비되어 있다. 한국차문화의 발전을 위한 방안으로, 차를 음식의 개념으로 이해하는 차와 음식의 마리아주를 제안하고, 식사를 하며 차를 마시도록 제안하였다. 한국 음식과 차의 조합이 한국의 새로운 차문화 콘텐츠가 되도록 해야 한다. I proposed the concept of sikgan beverage as a new tea drinking method according to the trend of modern foo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tea cultures through the current status of drinking beverages in foreign countries, it has been found that the tea consumption of countries using food and tea is more developed than tea drinking countries. The United Kingdom has developed teatimes in consideration of tea and teafood blends to suit local characteristics. The English breakfast is divided into English Breakfast, Scottish Breakfast, and Irish Breakfast. It was richer than the continental breakfast, and it had the characteristic of drinking with tea. Chinese food usually uses a lot of oil, so the food is greasy. At this time, if you eat with oolong tea or puer tea, you will get rid of the feeling of mouth and remove grease, so you can enjoy Chinese food more delicious. In Japan, any food is prepared to drink tea. Therefore, in the foreign case, it is suggested to drink tea and tea as a means for the dissemination of Korean tea by suggesting tea and food of understanding tea as the concept of food. The combination of food and tea should be the new tea culture content of Korean tea.

      • KCI등재
      • KCI등재
      • 19세기 영국의 금주운동과 차문화 확산 연구

        전정애 ( Jun Jung-ae ) 원광대학교 한국예다학연구소 2017 한국예다학 Vol.4 No.-

        오랜 시간 영국의 음료는 알코올이었다. 19세기에 대중적으로 차문화가 확산되는 데에는 영국 노동계급의 금주운동이 큰 역할을 하였다. 영국 차문화의 확산에는 기독교의 복음주의라는 사상적 배경이 있었으며 교회를 중심으로 실천되었다. 자선단체나 교회는 알코올 대신 차를 마시도록 선도하여 노동자의 가정이나 작업장에 비해 파격적이고 인격적인 찻자리를 마련하여 노동계급과 유소년의 정신적 위안을 주었다. 박애정신의 일환으로 노동자에게 차를 대접한 일은 당시 사회 전반에 확산된 금주운동과 더불어 영국의 차문화 확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이다. 한편 노동계급의 차문화는 노동자의 자조 정신 함양과 함께 금주운동을 실천하는 노동자들의 자발적 참여로 실현되었다. 자조정신과 금주운동과 같은 건전한 생활 습관을 계몽하는 데에 차는 훌륭한 `절제 음료`가 되었다. 이로써 `술을 마시지 않기`로 번역됨직한 `Teetotal`이라는 용어가 `절대금주`라는 의미로 출현하게 된 것이다. 금주운동의 결과는 자연스럽게 술 소비의 감소와 차 소비의 증가로 이어졌으며, 장기적으로 전 계층이 차를 마시는 습관을 형성하게 된 것이다. 차는 기독교의 덕목을 실천하여 계급 간의 화합에 사용되는 매개체였고 노동자에게는 심신을 안정되게 하는 위로의 음료였다. 이처럼 차는 단순히 소비재로서 뿐만 아니라 계층 상호 간의 화합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세기 영국의 금주운동은 영국 차문화의 확산에 크게 기여하였다. For the past few centuries, alcoholic drinks have been an important beverage in Britain. Tea became the 19th century Britain`s most favorite beverage after beating out alcoholic beverage. The development of this popular culture was credited to the British working classes` temperance movements. Christians` evangelicalism played a spiritual role in spreading tea drinking culture among British workers. Churches and charities provided a cordial reception and tea ceremony to workers and boys, unaccustomed to humble tea drinking at their home and work. Along with the widespread temperance movement, this philanthropy of providing tea played a decisive part in establishing the popular culture of tea-drinking. Workers took part in temperance and teetotal movements, and prevailing self-help campaigns to keep human dignity. Tea served as a perfect “temperance beverage” which fostered a healthy lifestyle. The term “teetotal” which refers to “abstaining from alcohol” was first coined under this highly elated social atmosphere. As a result of temperance movements, the consumption of tea tended to increase while that of alcoholic drinks gradually declined. In the long run, people of all levels of society made the sound habit of drinking tea. Tea culture was founded on the spirit of the time and the community. In conclusion, tea culture can be said to be a popular culture reflecting the spirit of the 19th Century Britain. The temperance movements in the 19th Century Britain became a source of the Diffusion of Tea Culture.

      • KCI등재

        SNS에 표현된 티 스토리 테이블 연구

        전정애(Jun,Jung-ae) 국제차문화학회 2020 차문화ㆍ산업학 Vol.50 No.-

        This paper analyzed various tea story tables that the researcher expressed on Instagram. By analyzing the details of the tea culture implemented through the tea story table by item, we tried to prove the legitimacy of the tea story table and establish it as a new tea culture content. The components of the tea story table were divided into tea, story, and table coordination. Tea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tea table. Among the various types of tea related to the story, the tea suitable for the story was selected and expressed. The story contains various emotions and customs, rites of passage, life-circle, joy, sadness, love, and sorrow in everyday life. The unfolding of the story resonates with the emotional stability that can be obtained by drinking tea. Next, to express on the table, teaware was selected based on the theory of table coordination, and tea food and tea were used. The contents announced through Instagram are intended to urge the interest of younger students and the general public, to spread tea culture, and to contribute to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tea culture. 본고는 연구자가 인스타그램(Instagram)에 발표하였던 다양한 티 스토리 테이블을 분석한 논문이다. 티 스토리테이블을 통해 구현된 차문화의 세부 내용을 항목별로 분석하여 티 스토리테이블의 당위성을 증명하고 새로운 차문화 콘텐츠로서 정립하고자 하였다. 티 스토리 테이블의 구성 요소를 차, 스토리, 테이블 코디네이션으로 나누었다. 차는 티테이블의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스토리에 관련된 다양한 종류의 차 중에서 이야기에 어울리는 차를 선택하여 표현하였다. 스토리는 살아가면서 느끼는 다양한 감정이나 세시풍속, 통과의례, 생노병사와 희노애락애오욕 등이 내재된 일상다반사의 일들이 소재가 된다. 스토리의 전개는 차를 마셔서 얻을 수 있는 정서적 안정과 더불어 많은 울림을 준다. 다음으로 테이블에 표현하기 위해 테이블 코디네이션의 이론에 근거하여 차도구를 정하고 티푸드, 다화 등으로 연출하였다. 인스타그램을 통해 발표한 콘텐츠가 후학들과 일반인들의 관심을 촉구하는 것과 차문화의 보급을 위하고 나아가 한국 차문화의 계승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