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 신생아 뇌들보의 성별에 따른 형태차이

        지은경(Eun-Kyung Ji),유임주(Im Joo Rhyu),전용혁(Young Hyuck Cheon),이은경(Eun-kyung Lee),김용민(Yong Min Kim),신다영(Da Young Shin),황승준(Seung Jun Hwang) 대한체질인류학회 2001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14 No.4

        뇌들보는 뇌의 좌우를 연결하는 신경성유호 성별에 따라 형태학적 특정이 다르게 나타난다고 한다.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 뇌들보 팽대 (Splenium) 의 생김새가 여성의 경우 남성에 비해 더 불촉한 형태를 띠 고, 뇌들보의 뒤 115 의 연적도 여성에서 큰 경향을 보여 생별에 따라 특성 있게 나타나는 두뇌활동과 관련지어 설명하려는 경향이 있다. 발생 과정중 성에 따른 뇌들보의 두 형태에 관한 연구 또한 그리 많지 않고, 논란의 여자가 있어 한국인 신생아를 대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임신 38-42 주로 정상분만 된 신생아의 뇌들보 정중시상 초음파 영상을 앞숫구멍을 창으로 하여 얻었으며, 남아 100 명, 여아 100 명의 뇌들보 전체면적 및 5 등분한 각 부분의 연적 그리고 뇌들보의 너비 및 높이의 길이를 NIB imagε풀그림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전체 뇌들보의 평균연적은 남아 97.61±21.05mm²( 평균土표준현차 ), 여야 99.54±20 .82 mm² 로 남녀간의 차이 를 보아지 않았고 ,5 등분한 각 부위의 연석 차도 관찰되지 않았다. 뇌들보 너비는 남아 45.06±4.51 mm, 여아는 44.46±3.72 mm 였고, 높이는 남아에서는 14.06±l.86mm², 여아 13.4±1.75 mm²로, 남아의 뇌들보 높아가 여아에 비하여 통계적 3 로 높게 나타났다. 본연구 결과 성별에 따른 뇌들보의 연석의 차이를 관찰 할 수 없었지만, 뇌들보의 높아가 성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남아와 여아의 뇌들보의 공간 분포가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