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운횟수와 파종기 이동이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육특성, 사료가치, 잡초발생 및 가축의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

        이상무(Sang Moo Lee),김병태(Byoung Tae Kim),황주환(Joo Hwan Hwang),전병태(Byoung Tae Jeon),문상호(Sang Ho Moon) 韓國草地學會 2007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27 No.3

        본 실험은 파종시기 및 경운횟수가 옥수수의 생육특성, 건물수량, 영양수량 및 사일리지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파종시기 및 경운횟수를 통한 5처리(C : 파종 5월 5일, 경운회수 1회, 인력제초 1회, T1 : 파종 5월 12일, 경운회수 2회, T2 : 파종 5월 19일, 경운회수 3회, T3 : 파종 5월 21일, 경운회수 4회, T4 : 파종 6월 2일 경운회수 5회) 3반복으로 2006년 5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상주대학교 부속 실습농장내 사료포장에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초장과 착수고는 C > T1 > T2 > T3 > T4구순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초장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착수고에서는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엽장은 T2가 96.0㎝로 가장 길게 나타났지만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엽폭은 C와 T3구가 (11.2㎝), 고사엽은 C 및 T1구가 각각 4.6엽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경의 굵기에 있어서는 T3구가 31㎜로 가장 높았던 반면 T2구가 25㎜로 가장 가늘게 나타났다(p<0.05). 암이삭 둘레는 C(17.1 ㎝) > T1(15.6 ㎝) > T4(15.4 ㎝) > T3 (15.3 ㎝) > T2(15.2 ㎝)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암이삭 충실도는 C구가 8.8로서 가장 높았던 반면 T4구가 6.0으로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P<0.05). 경의 경도와 알곡 경도는 파종시기가 빠른 순 인 C > T1 > T2 > T3 > T4순으로 나타났다(p<0.05). 그리고 경의 당도는 T1구가 6.1%로 가장 높고, T2구가 3.0%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p< 0.05). 잡초 발생량은 C구가 500 ㎏/㏊으로 가장 적게 T1구가 44,100 ㎏/㏊로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0.05), 잡초의 피복도는 T1 > T2 > T3 > T4 > C구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생초수량은 C구가 73,550 ㎏/㏊로서 가장 높았던 반면 T4구가 65,500 ㎏/㏊로서 가장 낮은 수확량을 보였다 (p<0.05). 건물수량에 있어서 는 C(26,978 ㎏/㏊) > T1(26,130 ㎏/㏊) > T2(20,255 ㎏/㏊) > T3(20,255 ㎏/㏊) >T4(17,508 ㎏/㏊)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조단백질 함량은 T1 > T4 > T2 > T3 > C구순으로 높았으며(p<0.05), 조지방은 C > T1 > T2 > T3 > T4구순으로 높았다. 상대기 호성은 Holstein, 염소 및 꽃사슴에서는 C구가 가장 높은 기호성을 보였으나 한우에서는 T1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 of plowing frequency and sowing dates on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feed value, weed yield and palatability of silage corn. Treatments were a basal treatment(C: May 5 seeding, plowing once, weeding control once), T1(May 12 seeding, plowing twice, weeding control 0 time), T2(May 19 seeding, plowing three times, weeding control 0 time, T3(May 26 seeding, plowing four times, weeding control 0 time) and T4(June 2 seeding, plowing five times, weeding control 0 time).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at the College of Life and Natural Sciences of Sangju University in Sangju in 2006. The plant height and ear height showed highly in order to C > T1 > T2 > T3 > T4 treatment, leaf length was the highest at T2 (96.0㎝). Leaf width and number of dead leaf were the highest at C and T3 (11.2㎝), C, C and T1 (4.6), respectively. Stem diameter was the highest at T3 as 31mm, while T2 was the lowest as 25mm (p<0.05). Ear circle showed highly in order of C > T1 > T4 > T3 > T4 (p<0.05), and tip filling degree was the highest at C treatment as 8.8, while T4 treatment was the lowest as 6.0 (p<0.05). The stem hardness and grain hardness were C < T1 < T2 < T3 < T4 (p<0.05). Stem saccharinity was T1(6.1%) was the highest, while T2(3.0%) was the lowest (P<0.05). Fresh yield of weed was the lowest at C treatment as 500 ㎏/㏊, but T1 treatment was the highest as 44,100 ㎏/㏊ (p<0.05). Weed coverage rate showed highly in order of T1 > T2 > T3 > T4 > C treatment (p<0.05). Fresh yield of corn was the highest at C treatment as 73,550 ㎏/㏊, but T4 treatment was the lowest as 65,500 ㎏/㏊ (p<0.05). Dry matter yield of corn showed highly in order of C(26,978 ㎏/㏊) > T1(26,130 ㎏/㏊) > T2(20,255 ㎏/㏊) >T3(20,255 ㎏/㏊) > T4(17,508 ㎏/㏊) treatment (p<0.05). Crude protein content was T1(7.69%) > T4(7.42%) > T2(6.34%) > T3(5.99%) > C(5.91%) treatment (p<0.05), and Crude fat content showed highly in order of C (2.13%) > T1(2.04%) > T2(1.96%) > T3(1.95%) > T4(1.84%) treatment. Relative palatability of Holstein, Korean native goat and spotted deer was the highest at C treatment, but Korean native cattle was the highest at T1 treatment.

      • KCI등재

        능동형 SAR 시스템의 송수신 모듈 출력 보정 방법 연구

        이동우(Dong-Woo Yi),이종환(Jong-Hwan Lee),김세영(Se-Young Kim),전병태(Byoung-Tae Jeon) 한국전자파학회 2010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21 No.9

        본 논문에서는 기 개발된 능동형 SAR(Synthetic Aperture Radar) 안테나의 송수신 모듈 출력에서 발생하는 이득과 위상 오차를 보정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먼저 오차에 대해 정의하고, 시범 측정을 통해 획득한 측정값을 바탕으로 오차의 특성을 분석한 뒤, 이를 보상하기 위한 송수신 모듈의 제어 방법을 제안하였다. 16조의 송수신 모듈로 구성된 안테나에서 보정 전 이득은 28.2~29.0 ㏈m, 위상은 101.7°~165.2°의 분포를 보였으나, 보정후 이득은 27.4~28.0 ㏈m, 위상은 116.1°~120.0°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송수신 모듈의 출력 분포를 바탕으로 배열 이론을 적용하여 안테나 빔 패턴을 생성하고 비교함으로써 제안한 보정 방법이 능동형 SAR 시스템의 성능 만족에 효과적임을 검증하였다. In this paper, a compensation method of the amplitude and phase errors from the T/R(Transmit/Receive) modules in an active SAR(Synthetic Aperture Radar) system is introduced. The errors are defined and classified, and characterized by analyzing the measurement data acquired from the pilot test. To compensate these errors, a control methodology of T/R modules output is proposed. Before the compensation is applied, 16 T/R modules integrated on the active SAR antenna show the amplitude in 28.2~29.0 ㏈m and the phase in 101.7°~165.2°. After the compensation, the amplitude and phase are distributed in 27.4~28.0 ㏈m and 116.1°~120.0° respectively. The antenna beam patterns generated by the array theory with the distributions are compared, and the proposed method is verified as good to apply for the active SAR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