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삶의 지(智: aretē)

        장희숙(Chang hee sook) 국가생명윤리정책원 2018 생명, 윤리와 정책 Vol.2 No.1

        이 글은 『장자莊子』철학에서 인간 생명의 원초적인 순수한 역량은 자연과 더불어 병생 幷生하면서 ‘스스로 됨[자화自化]’이며, 그리고 이 원리가 생명의 온전한 삶을 전개할 수 있는 사회적 소통 역량으로서 윤리성의 근원적 기반으로서 생명윤리가 처한 난제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해 줄 수 있는 것임을 논한 글이다. 장자에서 우리의 마음은 중요한 의미와 지위를 갖는다. 이 세계는 우리의 마음과 연관 속에서 현현顯現하기 때문이다. 연속적인 세계의 한 고리로 우리가 존재하는 것처럼, 우리 마음 역시 세계와 연속되어 있으며, 이 연속성에 따라 세계가 우리 마음에 현현한다. 세계는 나와 함께 살아 있고 만물의 다양함도 나와 함께 하나가 된다. 세계라는 자발적인 상호작용의 장場에서 자아는 능동적으로 세상을 만들면서 동시에 수동적으로 세상에 의해 만들어진다. 이러한 마음은 언어를 통해 표현된다. 동일한 실재에 대해 서로 다르게 그 의미를 파악하는 문제는 옳고 그름의 문제가 아니라, 언어의 문제이며, 언어와 표리 관계에 있는 정情과 신信의 거처인 마음의 문제, ‘관觀⇄심心’의 차이로부터 비롯되는 문제이다. 장자는 인간이 본래 타고난 비어있는 심층마음의 고요함[평平]을 회복하라고 권유하고 있다. 심층마음의 상태는 각 개별자의 서로 다름을 대상화하지 않고 무지개같은 조화로운 다양성[천예天倪]으로 시비를 가리지 않으면서 시비를 인정[화和]하며,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운동[만연曼衍]과 자연의 균형[천균天鈞]에 따라 각 개별자의 자발성[자정自正]에 맡긴다. 장자에서 각 개별자의 다양한 차이는 구별하는 것이 무의미한 무지개처럼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시불시是不是와 연불연然不然은 사람에게 달린 것[재인자야在人者也]이다. 장자철학은 언어의 한계를 넘어서 개인마다 상황마다 다를 수 있는 단서로부터 필연적인 실천적 의미를 생성하는 자기조직화 차원을 드러내 주고 있다. 이 자화自化의 차원이 생명의 본성이며, 이 본성에 근거한 삶이 생명의 윤리가 찾아야 할 길인 것이다. 그리고 그 길을 찾아나가기 위해 우리가 길러야 할 것은 양생養生의 도道이며, 그것이 ‘삶의 지智(智: aretē)’이다. 이에 본바탕을 두어야 생명윤리가 관련된 다른 학문들의 다양한 논의를 하나로 묶을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과학과 기술의 결합으로부터 비롯되는 새로운 국면을 자연 · 생명의 근원적인 소통역량을 바탕으로 세상의 규범질서와 조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essay, Zhuang Tzú`s philosophy is based on the pure ability of human life as a natural self-organization with nature, and this principle is the fundamental basis of ethics as a social communication capacity to develop the whole life of life, and that it can provide a new perspective to the world. In the Zhuang Tzú, our minds have an important meaning and status. This world is manifested in our mind and connection. Just as we exist in a chain of successive worlds, our minds are also connected with the world, and the world manifests itself in this continuity. The world is alive with me, and the celestial sphere of all things is one with me. In the field of voluntary interaction of the world, the self is created by the world at the same time passively making the world actively. This mind is expressed through language. The problem of standing and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 same reality differently is not a problem of coming up, but a problem of language, a problem stemming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oblem of mind and the concern of mind, which is the place of feeling and trust in language. Zhuang Tzú invites the human being to recover the primordial pure of the empty mind. The state of the empty mind is not subject to the differences of each individual, but acknowledges the fertilization by the diversity like the rainbow. It is left to the spontaneity of each individual according to the equilibrium of movement and nature. It is not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various differences of each individual in the firstborn, as it is a meaningless rainbow to distinguish. Right and wrong, and so on and not so, depend on people. The philosophy of Zhuang Tzú reveals the level of self-organizing which generates the continuous practical meaning from the clue which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each situation beyond the limit of language. This dimension of organizing is the nature of life, and the life based on this nature is the way to find the ethics of life. And to find that path, what we must cultivate is the way of curing, and that is the wisdom of life. In this wa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basis for binding the various discussions of other studies related to bioethics, and furthermore, a new phase resulting from the combin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can be reconciled with the normative order of the world based on the fundamental communication capacities of nature and life, furthermore the new phase which arises from the combin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will be able to refer to the normative order of the world based on nature, the fundamental communication capacity of the strugg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