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JFlex와 BYacc / J를 이용한 XML Pull Parser 설계

        장주현(Ju-Hyun Jang),노희영(Hi-Young Roh) 한국정보과학회 200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B

        XML을 파싱하는 기존의 파싱 Model인 Document Object Model은 메모리 내에 트리 구조와 같은 문서의 컨텐츠를 구성하기 때문에 메모리 사용이 많으며 Event 기반의 Push Model은 Consumer의 상태와 관계없이 파싱된 정보를 이벤트 처리 메소드를 이용함으로 처리의 지연, 처리의 지연을 위한 메모리 사용 등의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Pull 파싱 Model은 Client가 파싱의 요청을 하는 Model로써 Streaming Data를 파싱 할 시에 적은 지연시간, 메모리의 효율적인 사용, 파싱속도가 신속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XML 파서 설계에 있어서 Pull 파싱 모델에 파서 Generator tool인 JFlex와 BYacc/J를 사용하여 기존의 Xml Parser보다 파싱 속도를 향상시키는 Pull 파서의 설계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모바일 장치를 위한 XML 파서의 설계

        장주현(Ju-Hyun Jang),노희영(Hi-Young Roh) 한국정보과학회 200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A

        XML은 기존의 HTML과 SGML의 단점을 보안한 마크업 언어로써, 큰 대역폭, 많은 메모리 양, 높은 CPU속도를 가지는 유선 환경에서부터 저 대역폭, 적은 메모리 양, 낮은 CPU속도를 가지는 모바일 장치까지 사용이 확대되어 지고 있다. 현재 모바일에서 사용되는 XML 파서중에서는 PULL 모델 기반 Kxml파서[1]만이 모바일 장치를 고려한 파서이다. 모바일 장치에서 XML의 많은 사용을 위해서는 저메모리를 사용하며 빠른 파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piccolo파서에서 사용한 Parser generator tool 인 JFlex를 사용하고, 파싱 모델중 가장 빠르고 저 메모리를 사용하는 Pull 모델을 적용함으로써, 빠른 Token 추출과 이벤트 형 정의를 통해 좀더 빠른 XML파서를 제안하고자 한다.

      • JFlex와 BYacc/J를 이용한 JX-PullParser의 구현 및 성능 평가

        장주현(Ju-Hyun Jang),노희영(Hi-Young Roh) 한국정보과학회 200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B

        현재 XML은 HTML의 대체 마크업 언어로써 그 사용이 확대되어 지고, 또한 XML 데이터를 위한 파서 모델과 파서 구현방식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연구의 결과로 벤치마킹에서 PULL모델이 빠른 파싱 속도를 나타내었고, 파서의 구현 방식에 있어서는 PULL 모델 파서인 piccolo에서 사용한 parser generator tool인 JFlex와 BYacc/J를 사용하는 방법이 기존 파서 구현 방식에서 사용하던 Hand-write 방식보다 파싱이 빠른결과[1]를 내 놓았다. 또한 이 두 방법을 이용하여 기존의 파서 보다 파싱을 위한 시스템 설계를 제안하였다[2]. 본 논문에서는 JX-PullParser 시스템을 구현 하였고, xml 파서 속도 비교 도구인 saxbench 속도 비교 도구를 사용하여 기존 파서보다 빠른 파싱 속도를 보이는 것을 입증하였다.

      • 소프트웨어 복제 탐지를 위한 객체지향 관계 종속성 그래프

        장주현(Ju-Hyun Jang),노희영(Hi-Young Roh) 한국정보과학회 강원지부 2007 한국정보과학회 강원지부 학술대회 논문집 Vol.1 No.1

        프로그램 소스를 변경하고 이를 사용하는 것은 소프트웨어 지적 재산권을 침해하는 행위이며, 최근에 이를 막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 되어 지고 있다. 그 중 GPLAG에서는 기존의 소프트웨어 분석을 위해 사용된 PDG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 복제를 검출하고자 했다. 하지만 PDG는 객체지향적 요소를 고려하지 않은 절차지향적 인어에 사용되기 적합한 그래프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복제 탐지를 위해 객체지향 언의의 특성을 고려한 객체지향관계 종속성 그래프를 제안하고 이를 이용해 소프트웨어 복제를 검출하는 것을 제안한다.

      • 프로그램 흐름 그래프를 이용한 표절 유사도 측정에 관한 연구

        장주현(Ju-Hyun Jang),노희영(Hi-Young Roh) 한국정보과학회 강원지부 2008 한국정보과학회 강원지부 학술대회 논문집 Vol.2 No.1

        최근 사용자의 지적 소유권에 대한 보호 및 인증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소프트웨어의 표절 탐지 및 판단에 관련 본 논문에서는 구조적 제어흐름 그래프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의 표절 유사성을 측정하고 판단하는 연구를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원시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흐름 그래프로 변환하고 이로부터 구조적 제어구조를 단위노드로 치환하여 DAG를 구성한 후, 두 흐름 그래프의 구조적 유사도를 측정하고 예제 프로그램을 통하여 구조적 유사도를 비교였다.

      • XML Pull Parser를 위한 JFles 와 BYacc / J의 적용방안

        장주현(Ju-Hyun Jang),노희영(Hi-Young Roh) 한국정보과학회 200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Ⅰ

        Xml 파서들의 벤치 마킹 결과에서 기존 파서와는 달리 JFlex와 BYacc/J를 사용한 Piccolo는 다른 파서들에 비해 0.5 ~ 1.5배 향상된 빠른 속도의 파싱 속도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XML Pull 모델의 표준 Interface인 XPP(XML Pull Parser)가 제정되고 안정화 됨에 따라서 MXP(XPP Version 3.0)[1]는 기존 XML 파서들과 달리 Parser Generator tool을 사용하여 가장 빠른 파싱 속도를 보였던 Piccolo 파서[2] 보다도 빠른 파싱 속도를 나타내었고 이는 현 XML파서 중 가장 빠른 파싱 속도로 Pull 모델이 기존의 Object, Push 보다 빠른 모델이라는 점을 입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Pull Parser를 구현하는데 있어 Piccolo에서 사용한 JFlex와 BYacc/J를 사용함으로 Pull 파서의 속도를 한층 더 높여 Piccolo, MXP 보다 빠른 파싱 속도를 내는 파서를 구현 하기 위한 JFlex와 BYacc/J의 적용방안에 대해 연구 하였다.

      • SCOPUSKCI등재

        Infants' Acquisition of Korean Consonants : An Optimality-Theoretic Approach

        Kang, Sung-Ja,Jang, Ju-Hyun 경희대학교 언어연구소 2002 언어연구 Vol.19 No.-

        This paper aims to give a phonological account of liquids & fricatives and consonant harmony patterns shown in Korean infants. Phonological phenomena in this paper include substitution processes such as stopping of fricatives, nasalization of liquids, stopping of velars, and fronting of palatals and syllable structure processes such as deletion. The data in this study are taken from the spontaneous utterances of ten Korean infants from 26 to 45 months. Based on these data. We also examine the order of the consonantal acquisition of infants and illustrate the order of the substitution processes. The utterances of infants show various consonant harmony patterns such as labio-velar harmony, velar-labial harmony and labio-coronal harmony. For example, when the target is glottal which is triggered by labial, some infants do not show consonant harmony, but other infants do. In this paper, we show that these phenomena are well-captured within the framework of Optimality Theory. (Kyung Hee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