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으로 인한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심리사회적 어려움과 서비스 욕구

        장이츠 ( Zhang Yichi ),김민아 ( Kim Min-ah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21 사회복지연구 Vol.52 No.2

        유학생들은 코로나19의 대유행과 이로 인해 급변한 교육 환경으로 인해 복합적인 심리사회적 어려움에 직면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재한 중국인 유학생이 겪는 심리사회적 어려움과 서비스 욕구를 파악하는 것이다.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20명의 중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였고, 주제 분석을 통해 4가지 대주제 및 11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중국인 유학생들은 ‘코로나19 방역정책으로 인한 심리적 스트레스’, ‘코로나19로 인한 타국에서의 생활 고충’,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유학 성과에 대한 고민’으로 심리사회적 어려움을 경험하였고, ‘코로나19 시기에 중국인 유학생 지원을 위한 서비스 욕구’를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인 유학생들을 코로나19 위험의 불안으로부터 보호할 뿐 아니라 이들이 일상생활 및 학업 과정에서 겪는 다양한 심리사회적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심리상담, 교내 멘토링, 자조모임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During the COVID-19 pandemic,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abroad faced complex psychosocial challenges due to the threat of COVID-19 and new educational environments resulting from the pandemic. This study explored psychosocial difficulties and service needs among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20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living in Korea and identified four subthemes and 11 subthemes using thematic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reported psychosocial difficulties in overarching themes related to “psychological stress resulting from preventive measures of COVID-19,” “struggles of daily life in a foreign country during COVID-19,” “concerns about study outcomes as the COVID-19 pandemic persisted,” and “service needs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is study highlighted the need for psychological counseling, mentoring, and self-help groups to alleviate Chinese students’ anxiety related to COVID-19 risk and address various psychosocial difficulties they face in their daily lives and academic trajectories.

      • KCI등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 이후 한국 거주 중국인 유학생의 사회적 낙인 경험

        장이츠 ( Zhang Yichi ),김민아 ( Kim Min Ah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保健社會硏究 Vol.41 No.1

        코로나19의 대유행 이후 감염 위험에 대한 공포가 높아지고 코로나19에 대한 무분별한 정보가 쏟아지면서 중국인에 대한 사회적 낙인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한 중국인 유학생의 사회적 낙인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한국에 거주하는 20명의 중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주제 분석을 수행한 결과 ‘중국과 중국인에 대한 무분별한 비난’, ‘지역사회에서 마주한 중국인에 대한 경계와 차별’,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낙인에 대한 대처 행동’과 관련한 12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온라인상 또는 지역사회에서 비난, 경계, 거부, 멀리함 등 다양한 형태의 낙인을 경험하였고, 낙인을 피하거나 변화시키기 위한 대처 전략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코로나19와 관련하여 중국인 유학생에 대한 균형적인 의견이 교환될 수 있도록 교육을 제공하고, 낙인을 경험한 중국인 유학생의 정서적 지지를 지원할 자원을 연결하며 심리상담 및 적응적인 대처 전략의 교육이 제공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Social stigma toward Chinese people has emerged as a serious social problem due to the increasing fear of infection and overwhelmingly biased informa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20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living in Korea to understand their social stigma experience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e result of thematic analysis yielded 12 subthemes on social stigma experiences within overarching themes related to “indiscriminate blaming of China and Chinese people”, “vigilan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Chinese people in the community,” and “coping with social stigma due to COVID-19.” Participants experienced various forms of social stigma both online and in the community, including blame, vigilance, rejection, and alienation and practiced coping behaviors to avoid or change social stigma.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to provide education targeted toward Korean students to ensure balanced opinions on Chinese students in connection with COVID-19 and reduce social stigma, enhance resources for emotional support, and provide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training in adaptive coping strategies for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who experience social stig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