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불갑저수지 치수능력증대사업 3차원 수치해석 연구

        장은철 ( Euncheul Jang ),장정렬 ( Jeongryeol Jang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The Bulgap Reservoir is required to increase discharge capacity due to change the design standards discharge from 200years frequency flood(480㎥/s) to Probably Maximum Flood(1,836㎥/s) due to changes in weather conditions caused by global warming. Three-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facility planning that can prevent the inundation damages of houses and agricultural lands upstream and downstream of river when PMF occurred, and to ensure the stability of reservoirs. As a result of thorough examination of the discharge, flow velocity around structure, water level and flow pattern, the optimum plan which satisfied the design standard among several designs was selected.

      • 방류량 조절 사이펀의 수리모형실험 연구

        장은철 ( Euncheul Jang ),윤재선 ( Jae-seon Yoon ),장정렬 ( Jeongryeol Jang ),정재상 ( Jaesang Jung ) 한국농공학회 201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8 No.-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돌발홍수 및 집중호우 대비 댐 및 저수지의 보조 여수로로써 방류량 조절이 가능한 사이펀 여수로를 개발하고 기존 사이펀 여수로의 단점인 첨두홍수량 발생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고 유량이 방류되는 것을 보완하기 위해 air slot과 air vent를 이용하여 사이펀 내에 공기를 주입하여 방류량을 조절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도출하였다. 일반적인 사이펀은 물이 물넘이로 월류하면서 사이펀관이 급격히 만관이 되면서 방류량이 증가된다. 그 후 상류수위가 저하될수록 방류량은 매우 조금씩 줄어들고, 사이펀 입구부 이하로 상류수위가 하강하여야만 사이펀 가동이 멈추게 된다. 수리모형실험을 통하여 air slot과 air vent로 공기가 주입되면 사이펀의 관내 유수량을 줄여 사이펀 방류량 조절이 가능함을 물리적으로 입증하였으며 공기만 유입하는 경우 사이펀 가동에 비해 약 60% 이상의 방류량이 감소하였고, 더 나아가 공기와 물이 혼합하여 사이펀 내로 유입하는 경우 방류량이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연속성 있게 방류량 조절을 정밀히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공기 주입만으로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매우 정밀한 공기량 조절장치가 필요한 것으로 검토되었으며, 공기와 물을 동시에 유입되었을 때, air slot의 개방 정도에 따라 방류량 조절을 유연하게 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Fig. 2의 수위-유량곡선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Air slot의 개방면적을 조절하면 이전 연구(영국, 2002)에 비해 보다 다양하게 유량조절이 가능함을 확인하여 본 연구의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 계단식 어도 내 수리특성에 관한 수치해석연구

        신충훈 ( Choong Hun Shin ),장정렬 ( Jeongryeol Jang ),정재상 ( Jae-sang Jung ),장은철 ( Euncheul Jang ) 한국농공학회 201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8 No.-

        어류는 소상과 강하 시에 흐름에 대한 지향성을 가지므로 어도 설계를 위해 어도 내 수리학적 특성(흐름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수치해석 프로그램인 FLOW-3D를 이용해 계단식 어도의 수리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제 설치되어 운영 중인 계단식 어도를 대상으로 현장조사관측을 실시하였고 현장조사를 통해 획득한 유속 및 수심자료를 이용하여 3차원 수치모형의 매개변수를 검·보정하였다. 3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해 실제 설치 된 어도에 대한 수리인자별 변화가 어도 내 흐름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어도의 내의 잠공(orifice), 노치(notch)의 설치에 따른 수리특성을 분석하였다. 어도의 기울기가 증가함에 따라 어도 내 흐름특성은 표면류(Plunging flow)에서 잠입류(Streaming flow)로 변화되며 이는 레이놀즈수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월류부에 설치된 노치구간에서는 다소 유속이 크게 발생하나 격벽 전반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다. 잠공의 경우 유속이 1m/s 이상의 빠른 흐름이 형성되어 격벽 설치로 인한 퇴사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어도로 유입되는 유량이 작은 경우 어도 내의 잠공을 통해 물이 빠져나가 어도 내 적정수심을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어도설계 표준도 및 설계 지침서 작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