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청소년활동에 대한 청소년지도사의 경험 연구

        장여옥 ( Chang¸ Yo Ok )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1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7 No.2

        배경: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하여 비대면 청소년활동으로의 전환과 새로운 청소년활동에 대한 인식 변화가 요구되고 있는 시점에서 청소년시설에서 비대면 청소년활동을 경험해본 청소년지도사의 경험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청소년활동을 실시하는 청소년지도사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어떠한 경험을 하고 있는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특별시 청소년수련시설에서 근무하는 청소년지도사 9명을 선정하여 2021년 4월에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하여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주제분석법을 사용하여 질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결과는 5개의 대주제와 12개의 하위주제, 18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첫째, 코로나19로 인한 청소년시설의 변화는 진입장벽의 어려움과 소규모 청소년활동 및 민감해진 방역활동이었다. 둘째,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청소년활동은 초기 혼란스러웠던 비대면활동, 비대면 청소년활동의 어려움, 비대면 청소년활동 평가, 비대면 청소년활동에서 청소년의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노력이었다. 셋째, 코로나19 상황에서 청소년 지도사에게 필요한 역량은 프로그램 기획 및 디지털 기기 활용 능력이었다. 넷째, 코로나19 상황에서 청소년 지도사에게 필요한 교육은 관계형성 기술, 영상촬영 및 편집 교육, 온라인 학습 도구 활용 교육 등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청소년활동 방향은 혼합형 청소년활동의 활성화였다. 시사점: 본 연구는 비대면 청소년활동을 위한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 비대면활동에 필요한 청소년지도사 역량 강화, 청소년센터의 예산지원 및 평가방식에 대한 변화의 필요성을 시사점으로 제언하였다. Background: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youth workers who experienced non-face-to-face activities at youth facilities is needed at a time when the change of non-face-to-face youth activities and a change in perception of new youth activities are required due to the prolonged COVID-19.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youth workers who conduct youth activities in the situation of COVID-19. Methodology: Nine youth workers working at the Seoul youth training facility were selected and a focus group interview was held in April 2021.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and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method. Finding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5 major topics, 12 sub-themes, and 18 semantic units were derived. First, the changes in youth facilities due to COVID-19 were difficulties in entry barriers, small-scale youth activities, and sensitive quarantine activities. Second, youth activities in the COVID-19 were initially confusing non-face-to-face youth activities, difficulties in non-face-to-face youth activities, evaluation of non-face-to-face youth activities, and efforts to promote youth participation in non-face-to-face activities. Third, the competency needed for youth workers in the COVID-19 was the ability to plan programs and use digital devices. Fourth, the education required for youth workers in the COVID-19 was found to be relationship formation skills, image photographing and editing education, and education using online learning tools. Lastly, the direction of youth activities in the post-corona era was the activation of mixed youth activitie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to establish a systematic for non-face-to-face youth activities, to strengthen the competency of youth workers for non-face-to-face activities, and to change the budget support and evaluation methods of youth facilities.

      • KCI등재

        초등학생의 학교단체 수련활동 경험에 따른 학교생활적응과 학급응집력의 차이분석

        김희애 ( Kim Hee Ae ),장여옥 ( Chang Yo Ok )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0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학교단체 수련활동 경험에 따른 학교생활적응과 학급응집력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 소재의 학교단체 청소년수련활동을 실시한 4곳의 초등학생 5, 6학년 350명을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과 사후검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중 초등학교 6학년은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학교친구에 대한 적응과 학급응집력의 하위요인인 학급분위기, 상호신뢰, 일체감, 의사소통에서 5학년보다 높았다. 반면에 성별에 따른 학교생활적응과 학급응집력은 차이가 없었다. 둘째, 초등학생들은 청소년수련활동의 참여횟수, 참여정도, 참여만족도에 따라 학교생활적응인 담임교사에 대한 적응, 학교친구에 대한 적응, 학교공부에 대한 적응, 학교규칙에 대한 적응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초등학생들은 청소년수련활동의 참여횟수, 참여정도, 참여만족도에 따라 학급응집력인 학급분위기, 상호신뢰, 사기, 일체감, 의사소통에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학교단체 청소년수련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school life adaptation and class cohesion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school group training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study used 350 students in the 5<sup>th</sup> and 6<sup>th</sup> graders of 4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do,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post-test. First, 6th grade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adapt to schoolmates than the 5th grade, and the class atmosphere, mutual trust, unity, and communication were also higher.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in school life adaptation and class cohesion. Seco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ffered in their adaptation to the homeroom teacher, school friends, school study, and school rul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rticipatio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in youth training activities.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lass atmosphere, mutual trust, morale, unity, and communication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rticipation in youth training activities, degree of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of participation.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for the invigoration of youth training activities in school groups.

      • KCI등재

        보드게임을 활용한 독서토론이 교육복지대상 초등학생의 독서흥미 및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성미숙(Seong Mi Suk),장여옥(Chang Yo 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2

        목적 본 연구는 보드게임을 활용한 독서토론 프로그램이 교육복지대상 초등학생의 독서흥미와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2개교의 3, 4학년 40명으로 10차시로 구성된 보드게임을 활용한 독서토론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20명과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20명으로 이루어져 있다. 자료처리는 SPSS 26.0을 사용하였으며, 집단 간의 동질성을 파악하기 위해 T-검증과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보드게임을 활용한 독서토론 프로그램은 교육복지대상 초등학생의 독서흥미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독서흥미의 하위요인인 독서 흥미도와 독서 동기는 증가하였으며, 독서 방해요인은 감소하였다. 반면에 독서 필요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보드게임을 활용한 독서토론 프로그램은 교육복지대상 초등학생의 사회성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사회성의 하위요인인 협동성, 주장성, 공감과 자기조절이 모두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교육복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독서토론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교육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는 독서지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reading discussion program using board games on the reading interest and soci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education welfare.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40 students in the 3rd and 4th grades of 2 elementary schools, an experimental group of 20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reading discussion program using a board game composed of 10 sessions, and a control group of 20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SPSS 26.0 was used for data processing, and T-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homogeneity between groups, and analysis of covariance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first, the reading discussion program using board gam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ading interes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education welfare. Interest in reading and reading motivation, which are the sub-scales of reading interest, increased, while reading obstruction decreased.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eed for reading. Second, the reading discussion program using board gam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oci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education welfare. Cooperation, assertiveness, empathy, and self-regulation, which are sub-scales of sociality, all significantly increased.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reading instruction program that can resolve educational inequality by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reading discuss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education welf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