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웨덴의 통합형 후기중등학교 개혁: 전개과정 및 쟁점

        이윤미 ( Yoon Mi Lee ),장신미 ( Shin Mee Chang ) 한국교육사학회 2011 한국교육사학 Vol.33 No.2

        이 논문은 유럽에서 시도된 가장 급진적 개혁의 하나로 평가되는 스웨덴의 통합형 후기중등학교 개혁의 전개과정과 쟁점을 1970년대와 1990년대 이후 개혁을 통하여 분석한다. 1970년대 개혁은 유럽의 전통적 복선제를 수정하는데 기여하였으며, 그 전통적 위상을 크게 변화시켰다. 이러한 개혁은 1990년대 이후 새로운 원리들에 의해 도전을 받게 되며 그 내용과 성격은 1970년대 이후 이루어진 개혁의 방향을 변화시키는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 복선적 체제인가 통합적 체제인가라는 문제는 매우 복잡한 논의를 수반해왔다. 엘리트주의적 중등교육의 역사가 길었던 유럽에서는 통합적 체제를 향한 개혁이 상대적으로 어렵게 수행되었다. 특히 기초보편교육단계인 초등교육과 고등학문교육단계인 대학교육을 잇는 시기인 중등교육의 성격 규정 문제는 역사·사회적 함의가 강하여 ``엘리트주의와 평등주의`` 사이에서 논란의 대상이 되어 왔다. 중등교육의 위상과 성격은 해당 사회의 교육시스템이 어떤 이념과 원리에 의해 형성되고 유지되는가에 따라 다르게 규정될 수 있을 것이다. 20세기 중반이후 매우 강력한 개혁정책을 추진해온 스웨덴의 사례는 후기중등교육의 성격문제와 관련하여 원리와 실제의 양 측면에서 풍부한 논의거리를 제공하며, 한국 후기중등교육 고등학교)의 역사적 성격분석 작업에도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form processes and the issues over the comprehensive upper-secondary school (or the gymnasium) in Sweden. The reform policies of the 1970s are compared with those since the 1990s, to elaborate how the definition of secondary education has shifted with regard to the changing needs and demands of the twentieth-century Swedish society. The comprehensive upper-secondary school reform in Sweden in the early 1970s has known to be the most radical reform attempted in Europe. The reform integrated the academic and vocational programs in upper secondary schools, which had long been divided along social class lines in most European countries for centuries. It attempted at an equalization between academic and technical-vocational studies by means of integration and the abolishing of the restrictions on qualifications for higher education. Since the 1970s, all the graduates from the comprehensive gymnasium get qualification for university education, regardless of the particular courses they take in upper-secondary schools. In the 1990s and onwards, however, deregulation and decentralization became important themes in education. The upper-secondary education has also been affected by the overall changes in the policy objectives. Most recently, a scheme to re-divide the upper-secondary education along academic and vocational lines and to restrict the qualification for university education is introduced, and is to be implemented by the Center-Right government. This paper compares the reform efforts in the 1970s and the 1990s onwards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upper-secondary education in Sweden. The reform processes are analyzed in light of several elements crucial to the definition of upper-secondary education, namely, the expansion of mass education, integration and differentiation between academic and vocational programs, early/selection, and the demands from the labor market. The study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the reform with regard to the extent to which the 1970s reform challenged and restructured the traditional dual system based on elitism, and whether the reforms after the 1990s have diverged from the earlier practices based on egalitaria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