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과 크리에이티비티에 관한 연구 : 시각디자인을 중심으로 with Emphasis on the Visual Design

        장범순 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시각디자인학회 1999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4 No.-

        21세기 디자인 시대, 경쟁력 확보와 우리문화 아이덴티티 정립을 위해서는 크리에이티비티의 방법론과 기반구축의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운동 및 현대미술과 디자인 흐름 속에서 크리에이티비티가 어떤 정신성에 의해 발현되고 새 시대를 맞는 새로운 디자인이 어떻게 제시 되었는가를 탐색했다. 작품분석을 통해 크리에이비티의 유형과 접근 방법을 고찰하고 21세기 우리 나라 디자인 크리에이티비티의 과제가 무엇인지를 찾아보았다. In the upcoming 21st century of the design age, the methodology of design creativity and the construction of design foundation are eagerly demand in order to improve the competitive power of design and establish our cultural identity.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process and thought of design creativity and raise a question in new design age through the stream of design movement and modern art. Accordingly Ⅰ examined the style and approach method of design creativity through the analysis of works of design and searched the ask of design creativity in 21st century, Korea.

      • KCI등재

        일러스트레이터의 사회적 역할과 비쥬얼 메시지 표현연구 : 져널리스틱 일러스트레이션을 중심으로

        장범순 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시각디자인학회 1999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3 No.-

        21세기로 이어지는 정보화시대에서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 비쥬얼 메시지를 전달하는 일러스트레이션은 사회성과 대중성을 바탕으로 넓은 전달범위와 빠른 속도로 수용되는 특성 때문에 개인과 사회와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며 시대정신을 선도하게 되었으며 져널의 사명과 맥을 같이 하면서 환경감시기능과 문화창출의 역할을 부여 받았다.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를 통해 전달되는 져널리스틱 일러스트레이션을 중심으로 비쥬얼 메시지의 특성과 사회적 기능을 고찰해보고 국내외의 우수산 져널일러스트레이터의 사회적 역할과 메시지 표현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In the 21C of information society, illustration is to be used as a method of communication to convey visual message. The sociality and popularity of illustration feature a wide scope of coverage and fast speed, thus making a tremendous impact on individuals and the society as a whole. As illustration is leading the spirit of contemporaries, it begins to cope with the task of journalism by taking up the roles of watching environment and creating a new culture. With the focus on journal illustrations that appear on media, this study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message and its social functions. It also analyze the outstanding works of Korea and other countries, and finally attempts to present the social role of journal illustrators and the method of message expressions.

      • KCI등재

        어린이그림책을 활용한 미술치료에 관한 연구

        장범순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5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6 No.45

        그림책은 미술과 독서, 두 가지 매체의 상호텍스트성이 있어서 방어기재 분출과 통찰 그리고 승화를 이끄는 기능과 인간의 성품 고양과 도덕적인 가치관 확립 등 자아 성장에 필수적인 기능이 같이 있다. 그림책 표현 장르인 일러스트레이션은 사조에 자유롭고 주제와 소재가 현대인의 일상생활과 밀접하다. 그리고 심오한 철학성이나 예술성을 고집하지 않으므로 심리 장애자들에게 접근하기 쉽고 대중성이 있어서 심리치료 매체로서는 이상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정신분석학, 개인심리학, 분석심리학 등 이론적 바탕이 되는 심층심리학을 고찰하였다. 치료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위한 계획과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그림책을 활용한 다양한 방법으로 내담자의 감정, 회의, 무력감등이 표출된 표현물과 함께 대화하며 상호 공감 형성과 격려를 통해서 고착된 심리장애가 치료 목표인 통찰과 승화에 이르게 된다는 사실을 임상 사례 분석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Picture books have a mutual text combined with 2 kinds of media, reading and painting. Besides there are essential abilities to lead eruption, discernment and sublimation of ego defense mechanism and to boost human being’s nature and to help establishing of moral values, as well. An illustration, one of picture book’s genres, is closed to daily life of modern people several topics and materials to represent in there and is free of the trend. It is easy to approach for the mentally challenged people because it does not persist in artistry and philosophy to others. Moreover, it is ideally considered one of psychotherapy medium owing to the popularity. Through this study, depth psychology is contemplated that based on psychoanalysis, individual and analytic psychology, etc. To carry out remedy properly, the psychology has provided plans and method. Furthermore, it is clearly revealed from analyzed clinic example that it can reach insight and sublimation aimed for remedy of the entrenched psychological disorder through consensus-making that communicated with clients how they are feeling such as feeling of doubt and helplessness so on and support by using picture books.

      • KCI등재

        지역 에코 축제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관리 전략에 대한 연구

        장범순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0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8 No.2

        지방 자치 단체들이 지역 축제를 지방 행정 거버넌스의 중요한 전략으로 주목하고 있다. 그 이유는 지역 주민들과의 양 방향 커뮤니케이션의 장이 형성된다는 인식 때문이다. 그러나 1000 여개나 되는 우리나라 지역 축제의 대부분은 참여 동기를 유발케하는 가치 제안의 부재와 지역 고유성을 살린 차별화에 실패함으로서 예산 낭비라는 비난과 함께 통 폐합이 불가피한 실정에 이르렀다. 이러한 상황에서 21 세기 최우선 과제인 환경 보호라는 인류 공동의 이슈가 테마인 지역 에코 축제만은 국, 내외의 호의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각종 언론과 관련 행정부서에서도 비교적 성공적인 축제로 평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에코 축제라는 무형 자산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이론 정립을 연구 방법으로 채택하였다.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핵심인 연상 요소가 에코 테마와 어떻게 연결되었는지 분석하였으며 아이덴티티 강화를 위한 확장 전략이 일관성과 균형 있게 고려되었는지를 고찰하였다. 아이덴티티의 견고한 구축을 위해 조직 내부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대한 확고한 인식이 중요하다는 점과 축제 참여자에 대한 배려로서 에코와 관련된 새로운 가치 창조가 필요하다는 점을 도출하였다. 브랜드 관리 전략 방안으로 축제의 특성을 중시한 관리 시스템 구축을 제시하여 브랜드 일관성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기획과 커뮤니케이션 파트로 체계화하여 기획 파트에서는 벤치마킹, 축제 연계 녹색 산업 연구를, 커뮤니케이션 파트에서는 축제 참여자 입장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통합커뮤니케이션 전략과 비 매스미디어 개념의 대안 미디어 활용을 제시하였다. Local governments are focusing on the local festival as an important strategy for administrative governance. It is because local festival is considered as a place where local people and government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However, a thousand of most local festivals lacked value proposition and failed to specialize their own characteristics, so they were criticized for inefficiency and it is inevitable to be rearranged. In this situation, local eco festival deals with the therme of environmental protection which is the main problem in 21C as well as the world common issue and it is attract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attention. Also, it is evaluated as the successful local festival by mass media and administrative agencies. This study chose the establishment of brand identity theory for intangible asset, eco festival, as the study method. It analysed how the associated factor of brand identity is connected with eco theme, and studied if the expansion strategy for identity strengthening considered the balance with consistency. Also, it drew conclusion that the firm recognition for brand identity is important for strong identity establishment and the creation of new value concerning eco is necessary as consideration for festival participants. I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brand consistency suggesting the establishment of management system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festival as a brand management strategy. It is systemized into planning and communication parts, and the planning part suggested benchmarking, green industry research, and communication strategy as integrated communication strategy which solve the problem from participants' position, and it also suggested the application of alternative media of non-mass media concept.

      • KCI등재

        어린이 그림책 시각 서사에 관한 연구 -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장범순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8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9 No.55

        Picture book is a medium that conveys author’s imagination while helping readers develop aesthetic sensitivity and visual thinking. Children’s picture book—a distinctive genre of books in which visual and verbal narratives a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to tell stories—improves children’s reading skills and abilities to understand pictures. In this study, we considered the visual thinking and intertextuality that enrich children’s visual meaning-making and help them appreciate the aesthetic and literary understanding of visuals. We explored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icture books and movies and studied the ability to communicate between writers and readers. By analyzing various children’s books of domestic and foreign authors based on visual rhetoric, which is useful for expression of visual narratives, and film-format—a structure that creates immersion and activeness from audiences—we were able to find various experimentality and dynamics of intertextuality. The consideration substituted into visual rhetoric and film-format based on visual narratives will contribute to reaching the core of visual narratives such as persuasion, immersion, and insight, that are essentials in recommending picture books to children. 그림책은 심미감과 함께 시각적 사고력을 키워주며 작가의 상상력이 전이되는 매개체로서 가치가 있다. 어린이 그림책은 어린이들의 읽기능력과 그림의 이해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글과 그림이 상호보완작용을 하면서 이야기를 전달하는 고유한 특성의 도서 장르이다. 이번 연구를 통해 어린이의 시각적 의미 구성을 풍부하게 해주며 그림에 대한 미적 감상과 문학적 이해에 도움을 주는 시각적 사고와 상호텍스트성을 고찰하였다. 영화와 그림책의 관계와 속성을 탐색하고 작가와 독자 사이의 의사소통 기능을 살펴보았다. 시각 서사 표현에 유용한 시각 수사법과 더불어 구조상 관객의 적극성과 몰입을 이끌어 주는 도구가 되는 영화형식을 분석 틀로 삼아 국내외 작가들의 어린이 그림책을 분석한 결과 상호텍스트성의 다양한 실험성과 역동성을 확인하게 되었다. 시각 서사를 중시하여 영화 형식과 비주얼수사학에 대입시킨 고찰은 추천하고 싶은 그림책의 요건이라고 할 수 있는 설득, 몰입, 통찰 등 시각 서사의 핵심에 도달하는데 이바지할 것이다.

      • KCI등재

        일러스트레이션의 ORIGINALITY(작가 고유의 표현)에 관한 연구

        장범순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09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0 No.21

        21세기 정보화시대 매스 미디어의 발달로 인해 현대인에게 다양한 정보가 넓은 전달 범위와 빠른 속도로 전달되고 있다. 특히 전달 효과 면에서 뛰어난 시각언어인 일러스트레이션은 사회성과 대중성이란 특성으로 인해 각종 매체에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지만 표현 제작과 전달에만 급급한 나머지 독창적인 표현기법과 스타일을 확보하는 방법론 연구에 대해서는 미진한 실태이다. 본 논문을 통하여 일러스트레이션의 특성과 Originality (작가고유의 표현)의 개념을 고찰하고 표현재료나 도구 그리고 스타일이 테마 또는 메시지와 어떻게 조화되어 독창적인 작품이 탄생되었으며 Originality를 확보하는데 미술사조의 영향을 어떻게 받았는지 살펴보았다. 시대의 흐름에 순행하는 일러스트레이션의 역할을 위해 일러스트레이션의 특성과 Originality의 관계를 규명하며, 일러스트레이션의 생명이라고 할 수 있는 개성과 독자성의 본질을 밝혀내고자 조형성과 전달성에 부합하는 차별화된 고유성을 기준으로 발상유형을 추출하였다. 미술사를 이끌어간 대가들의 작품과 거장 일러스트레이션의 작품들을 발상유형에 따라 분류하여 분석해보았으며 Originality 개발 방안으로 Personal Work 개념의 중요성을 제시함으로 학계와 교육, 그리고 실무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독창적이고 고유한 일러스트레이션 표현 방법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했다. In the 21st century, computerization age make the advancement of mass-media, therefore various informations are delivered to the moderns with broad delivery pace and high speed. Especially illustration part(visual language) which has tremendous communication effect in delivery is used in various mass-media actively because of the sociality and popularity. But the research of methodology which can establish the creative expression techniques and style is very poor, because we think only of making expression and delivery.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we examine the concept of characteristics of illustration and originality(illustrator's original presentation method). And we study when original work of art is born, how the expressive material, tool and style theme are harmonized with theme and message. And that point, we look into how the thought of art is influenced to the establishment of originality. Second, to find out the role of illustration which can going in order the time,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of illustration and originality. Third, to find out the nature of individuality and originality which can say the soul of illustration, we analyze the type of idea according to the differentiated originality which is coincided with plasticity and power of communication. In this process, we analyze the great master's (who lead the art history) and great illustrator's work concentrated on the type of expression method of originality. Finally, we presented the importance of the personal work concept for development plan of originality. Ultimately, we can make the base of creative and original illustration expression method which is needed in the academic, educational and practical illustration field.

      • KCI등재

        에코 테마 일러스트레이션의 의미작용에 관한 연구

        장범순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1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2 No.26

        에코 테마 일러스트레이션은 단순한 정보 전달보다는 설득과 행동 촉구를 위한 공유 개념의 커뮤니케이션 성격이 강하다. 기호의 속성이 이데올로기 구축에 있다면 연구 목적은 기호학으로 분석하여 ECO 비주얼 메시지의 이데올로기 허위성을 살펴보고 의미작용 체계와 방식을 규명하는 것이다. 국내 외 인쇄 매체와 인터넷 자료를 통한 ECO 테마 일러스트레이션을 대상으로 시각기호 분석에 유효한 바르트(Barthes)의 의미작용 방식 그리고 야콥슨(Jakobson)의 커뮤니케이션 기능 모델을 고찰해 분석틀에 적용해 보았다. 기호의 의미작용은 정신적 인식을 바탕으로 하는 은유와 상징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신화체계는 문화현상과 사회현상이 개입되어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지구환경 보존 전략의 두 가지 흐름인 생태중심주의와 인간중심주의 간의 이데올로기 대립이 담론의 여지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Eco-themed illustration has a strong nature of shared communication for persuading and urging action rather than a simple information transfer. If property of a sign is in ideology constr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lsity of the ideology of eco-themed visual messages by the analysis of semiotics and to identify the signification system and its approach. Significance of Barthes that is valid for an analysis of visual symbols and communication capability model of Jakobson was researched and applied in the analytical framework against the eco-themed illustration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print media and internet resources. The symbolic action of representamen is made by metaphors and symbols that are based on spiritual awareness, and it was identified that the cultural and social phenomenons are involved in symbol and mythical system. It was confirmed that the roles of semiotics can be expected in future environmental polity by ideological conflict of ecocentrism and anthropocentrism, the two flows of earth environment and conservation strategy, securing a lot of discourse.

      • KCI등재

        Devis Grebu의 작품세계에 대한 연구 : 비쥬얼 메시지를 중심으로

        장범순 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시각디자인학회 1998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2 No.-

        저널리스틱 일러스트레이터인 Devis Grebu가 1970년대 중반에서부터 1980년대에 걸쳐 유럽과 미국의 세계적인 신문과 잡지에서 대단히 주목을 받으며 왕성하게 활동할 수 있었던 것은 그의 시작 메시지가 국경을 초월하여 침투되고 해독(解讀)이 가능한 보편적인 인간애와 범세계적인 수신이 가능한 원소를 갖고있기 때문인데 유모어와 풍자를 기반으로 하여 산업사회에서 상실된 인간성 회복과, 지구환경 보존 운동이란 주제를 탁월한 비유와 상징으로 매우 설득력 있게 전달해주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Devis Grebu의 활동배경과 작품세계를 고찰함으로 져널리스틱 일러스트레이션의 특성과 메시지 표현방법을 살펴보고, 그의 철학과 감성, 표현 테크닉을 분석하여 비쥬얼 메시지 문법을 발견하고 정보화 사회의 비쥬얼 져널리즘의 의미를 찾아내는데 있다. The reason why Journalistic Illustrator Devis Grebu had vigorously worked in the mid 70's and 80's with great attention from the newspapers and magazines in Europe and the U.S is that he has visual message which has universal humanity and world-widely understandable element his visual message, thus, easily infiltrate into our concept and wake us understand his work without difficulty. his Illustration bossed humor and satire persuasively explains recovery of humanity and Movement of protection of earth environment, especially with metaphor and symbol, the Industrial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evis Grebu's characteristics of Journalistic Illustration and expression of visual message his philosophical sence, and expression techniques this examination of his works and performances will finally find out the grammar of visual message and the understand of visual Journalism.

      • KCI등재

        현대미술을 활용한 Art Therapy 작품사례

        장범순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7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8 No.51

        미술치료는 그림을 매개로 심상의 투사를 통한 비언어적 소통과 억압된 심리를 저항 없이 표출하는 효과가 있다. 미술 활동에서 드러나는 이미지를 통해 대상자와 치료자 사이에 친밀관계를 맺어 통찰과 승화로 자아성장을 이루는 것이 미술치료의 본질이다. 미술치료의 이론적 바탕을 마련하기 위해 정신분석학, 개인심리학, 분석심리학 등 이론적 바탕이 되는 심층심리학을 고찰하였다. 미술치료사는 치료과정에서 인간중심의 격려를 통해 심리적 갈등과 상처를 겪는 대상자에게 치료동맹 관계를 맺게 되고 이는 바로 미술치료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미술의 무의식적 표현 또는 과정과 행위의 유희성 그리고 오브제 활용과 수작업 등의 개념과 방식은 자발적 심상표현, 개성화와 자기표현, 유희성과 창조본능, 자존감 획득 등의 미술치료 특성과 부합되어 치료효과가 뛰어난 방법이다. 이 연구는 물질의 변화과정과 다양한 미술 재료의 이해와 함께 수작업의 기능 및 오감의 체험이 가미되고 H.T.P 진단에 이르기까지 통합적 미술치료활동 방안을 제시하였다. Art therapy is a method of expression used as a therapeutic technique which projects patients' imagery to the outside of human inner mind through visual exchanges of patients and therapist interaction. Psychoanalytic method, a personal psychotherapy and analytic psychology is examined in the theoretical levels for approaching to this art therapy. Art therapy in practice includes some tools of mind such as: unconsciousness expressions and their procedures, hedonism, objets practices, handplaying etc. bringing from a vast number of modern art. These lead patients to recover himself gradually such as; voluntary imagination, personalization, self expression, hedonist and creative recovery, self confidence etc. This introductive study provided some explication on evaluative and psychotherapy handplaying skills, materials and interventions appropriate to the clients' needs in the art, comprising the H.T.P. which could be used to assess brain damage and general mental functioning. By virtue of being a projective test, the results of the HTP are subjective and open to interpretation by the administrator of the exam. They would use the creative process to help clients increase insight, cope with stress, work through traumatic experiences, increase cognitive, memory and neurosensory abilities,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chieve greater self-fulfill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