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10대 여성의 임신과 유산에 관한 의학적 고찰

        이명근(MK Lee),장명익(MI Chang),김성자(SJ Kim),윤석한(SH Yoon),박인서(IS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197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9 No.2

        1. The majority of the gravidas belonged to the old teen-age group and no sigh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prevalence of teen-age pregnancy and the different year. 2. The highest incidence of age at menarche fell on 14 years old and average age at menarche was 14.4 years old. 3. Mean age at marriage showed a mild but regular rise to 1940 and then the sharper incline in the survey. From 1925 through 1968, the marriage age rose form 20.2 to 26.8 for men and from 16.7 to 23.0 for women, arise of about six and half years in each case 4. The majority of teen-age groups neither had abortion nor used contraception. 5. Abortion rate had risen considoderably at all ages since 1964 study but proportionately most at the youngest age. 6. According to the occupation of teen-age gravidas, legally approved housewife occupied 29.0%. 7. Forty five percent of all materials lived with thier parents and the rest of them lived in broken family or alone. 8. Illiterate group comprised 2.9% of all materials. No college girls were involved because they were usually beyond this teen-age group. 9. Out of 29 cases of interruption of pregnancy 10 cases were interrupted in the first trimester, 17 cases in the second trimester and 2 cases in the third trimester. respectively 10. Pregnancies were interrupted by means of dilatation and evacuation in 15 cases. pitocin incution with bougie in 9 cases and intraamniotic hypertonic saline instillation in 2 cases respectively.

      • KCI등재

        조기파막에 대한 임상적 고찰

        주영철(YC Joo),주창남(CN Joo),장명익(MI Chang),김경태(KT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7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0 No.6

        본원 산부인과에서 1969년 1월부터 1974년 12월까지 만 5년간 조기파수로 입원하였던 임산부 229예에 대하여 임상적 관찰을 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① 조기파수의 빈도는 총 8,219 분만예 중 229예 이었다. ② 조기 분만에 654예 중 41예에서 조기파수가 발생하여 6.5%에 해당하였다. ③ 조기파수229예 중 사산을 한 경우가 7예, 신생아 사망이 2예 이었다. ④ 모체의 감염군에서 잠재기간이 18시간 이내인 경우는 사산이 없었으며 4예의 사산은 잠재기간이 전부 24시간 이상의 예이었다. ⑤ 주산기사망 9예 중 6예가 체중이 2500gm 이하이었다. ⑥ 모체의 이병율은 45예로 29.0% 이었다. ⑦ 합병증으로 빈혈이 35예(15.2%), 임신중독증 21예(9.1%), 이상태위가 13예(5.6%) 의 순이었다. ⑧ 조산아와 성숙아에서 모체의 감염 분포를 보면 조산아 분만예에서 16예(42.2%), 성숙아 분만에 38예(31.9%)였다. ⑨ 제왕절개술은 12예로 아두골반 불균형이 5예, 이상태위가 5예, 전치태반과 제대탈출이 각각 1예 이었다. ⑩ 잠재기간이 24시간 이내인 경우는 신생아 체중이 2500gm이상인 예에서 78예로서 65.5%이었다. The spontaneous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has presented unsolved problems and controversy in treatment in three major aspects such as an increase in prematurity, an increase in infection of the mother and an increase infection of infant. We have clinical analysis of 229 cases of spontaneous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National Medical Center in Korea and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1) The incidence of S.P.R.M. is 2.8% (229 cases out of 8,219 deliveries) 2) The incidence of S.P.R.M. of premature deliveries is 6.5% (41 cases out of 554 premature deliveries) 3) Perinatal death cases are 9 cases ( F.D.I.U. 7 cases and 2 cases of neonatal death) 4) There is no fetal death case in the group of within 18 hours of latent period. 5) The main cause of perinatal death is prematurity. 6) The incidence of maternal morbidity is 29.0% (45 cases out of 229 cases) 7) The most common complications during pregnancy in S.P.R.M are anemia, toxemia and abnormal presentations. 8) the incidence of C-section is 15.3% and the most common indications of C-section are C.P.D. (5cases), fetal distress (5 cases) and abnormal presentations (5 cases). 9) The latent period is within 24 hours in most cases of over 2500 gm of fetal weight.

      • KCI등재

        한국여성의 융모종양의 임상적 고찰

        박성구(SK Park),김현찬(HC Kim),주영철(YC Joo),장명익(MI Chang),김태홍(TH Kim),박인서(IS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197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0 No.7

        1. 빈도 : 분만수에 대한 융모종의 발생빈도는 1:71분만(1.41%), 융모암은 1:279분만(0.36%)이었다. 2. 새로운 분류방법에 의한 융모종양의 분포는 양성융모종양 39예(52.7%), 악성융모종양 47.3%의 분포이었고 비전이성 32.4%, 전이성 12.9%이었다. 3. 연령 : 융모종의 연령분포는 생식능력이 강한 20∼34세가 대부분이라 추정된다. 4. 병리조직학적 분류는 융모종 67예중 포상기태 38예(56.7%), 융모암 12예(17.9%), 파괴성기태 2예(3.0%), 조직불분명 15예(22.4%)이었다. 5. 양성융모종양의 임상적 증상의 기간은 2개월내가 71.8%로 대부분이었고, 증상별로 는 부정성기출혈이 35.4%, 태아심음청취불능은 11.8%, 태동을 느끼지 못하는 예 9.5% 의 순위이었다. 6. 포상기태 환자들 중 예방적 화학요법을 실시한 예는 완전소퇴율이 88.9%, 실시하지 않은 예가 66.7%로 예방적 화학요법을 실시하지 않은 예에서 악성 융모종양으로 되는 율이 많 았다. 7. 악성 융모종양환자의 임상증상중 비전이성 악성융모종환자는 출혈 19예, 자궁팽대 4예인 반면 전이성 악성융모종환자는 출혈 16예, 출혈 6예, 무월경 6예의 순위이었다. 8. 악성융모종양의 화학요법에 의한 총괄적 치료효과는 비전이성 악성융모종양은 81.8%의 소퇴율을 보이고 전이성 악성융모종양은 54.1%를 나타내어 비전이성 융모종양의 완전소퇴율이 높았다. 9. 악성융모종양의 병리조직학적 검사소견과 화학요법의 치료효과는 파괴성기태 (100.0%), 융모암(83.3%), 포상기태(66.6%)의 순위이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10. 전이성융모종의 화학요법에서 관찰한 증상은 소퇴 13예의 환자들중 소퇴기간은 1~2년 사이가 6예로 제일 많았으며 이들은 적어도 5년이상의 추적을 요한다. 11. 전이성 융모종양의 완전 소퇴를 위하여 소요된 투약횟수는 3회기가 5예, 2회기가 3 예의 순위이었으며 5회기도 2예나 되었다. 12. 악성융모종양의 화학요법에 있어서 발병과 투약 개시사이의 기간이 치료성적에 미 치는 영향은 4개월이내에 치료를 개시한 환자가 79.2%의 소퇴율, 4개월이상이 27.3%로 소퇴율의 큰 차이를 보였다. 13. 전이성 융모종양의 전이부위와 화학요법과의 관계는 골반내, 폐, 질의 순서이었으며 두개골 전이는 예후가 불량하였다. 14. 화학요법의 중독증상은 구강염 46예, 소화기 장애 41예, 골수기능저하 및 고열 22예의 순위이었다. 15. 화학요법 중독증상으로부터 회복되는데 소요되는 필요한 월수는 각 회기를 통하여 대부분이 3주이내에 회복되었다. 16. 비전이성 융모종양환자 및 전이성 융모종양환자들 중 화학요법 및 수술요법을 병행한 환자의 소퇴율은 단일요법보다는 좋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17. Goldstein의 분류법에 의한 소퇴율은 class 3(100%), class 2(75%), class 4(63.2%), class 5(20%)로 class가 올라갈수록 소퇴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This article is the report of trophoblastic tumor treated in the gynecological ward of the National Medical Center from January 1, 1972 to December 31, 1975. Trophoblastic tumors occured once in about 71 deliveries (1.4%) and choriocarcinoma once in about 279 deliveries (0.36%). A total of 67 cases was seen with the following distributions; hydatidiform mole 39, chorioadenoma destruens 2, choriocarcinoma 17, and unknown 9. The distributions of histological classification of total 67 cases were as followings; hydatidiform mole 38 (56.7%), chorioadenoma destruens 2 (3.0%), choriocarcinoma 12 (17.9%) and unknown 15 (22.4%). The distribution of new classification of total 67 cases were as followings; benign trophoblastic tumors 39 cases (52.7%), malignant trophoblastic tumors 38 cases (47.3%) (non-metastatic T.D. 32.4% and metastatic T.D. 12.9%). The distributions of Goldstein classification of total 67 cases were as followings; class 1.39 cases, class 2, 8, class 3, 3, class 4, 19, class 5, 5 cases. Complete remission rate tends to be poor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Goldstein classification number. Patient could be seen most frequently in 20-34 age group. In 35 cases with malignant trophoblastic tumors 9 cases in 11 (81.8%), metastatic malignant trophoblastic tumors 13 cases in 24 (54.1%). Analysis of 17 metastatic trophoblastic cases treated with chemotherapy, according to histopathological findings showed that 100% of 2 invasive mole, 83.3% of 13 choriocarcinoma and 66.6% of 3 hydatidiform mole cases obtained complete remission. The number of courses of chemotherapy required to induce complete remissin indicated from 1 to 5 courses, with a high frequency of complete remission being induced by 2 to 3 courses. Perhaps the most critical factor in the response to chemotherpy appeared to be the duration of the disease process prior to the onest of treatment and this study showed that patient treated within 4 months of the onset of the disease revealed markedly favorable prognosis (complete remission 79.2%) and in patient treated over 4 months revealed poor outcome (complete remission 27.3%) The effect of metastatic site on response to the chemotherapy showed that the patients with pelvic metastases fared most favorable, pulmonary metastases were most poor. Manifestations of toxicity with chemotherapy showed that the patients with stomatitis (46 cases), gastrointestinal trouble (41 cases) and bone marrow depression (22 cases) in the order. The time interval required for recovery from toxicity of chemotherapy after each course showed no big difference and the great majority of patients recovered from toxicity within 3 wee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