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조형적 오브제를 활용한 패션 스토어 스페이스 브랜딩에 관한 연구 ╶ Acne Studios의 전세계 주요 패션 스토어를 중심으로╶

        조광현(Kwang Hyun Jough),장광집(Kwang Chib Chang)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2019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22 No.1

        요즘의 패션 스토어는 소비자와 브랜드가 감성적으로 소통하는 공간이다. 이는 물질적인, 혹은 비물질적인 포괄적 오브제를 활용한 공간의 연출을 통해서 브랜드의 컨셉을 보다 직관적으로 보여주고 있다는 의미이다. ‘Acne Studios'는 조형적 오브제와 공간, 브랜드 제품간의 연출을 전위적으로 구성한 것으로 유명하다. 사례 분석에 앞서 조형적 오브제의 개념 및 특징, 연출 기법을 파악한후, 오브제의 활용도가 높은 ‘Acne Studios’의 전세계 주요 매장 10곳을 오브제의 연출 기법을 기준으로 비교 및분석한다. 공통적인 데페이즈망 기법과 어셈블리지 기법의 활용을 통한 일상 생활과 초현실의 간극을 연출해 공간을 구성한 분석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 외에도 ‘Acne Studios'의 스페이스 브랜딩을 이루는 다양한 오브제의연출 기법과 그 특징에 대해서 탐구하고, 도출된 스페이스 브랜딩에 대해서 정의한다. Today's fashion store is a place where consumers and brands communicate emotionally. This means that the concept of a brand is more intuitively presented through space creation using material or non-material comprehensive objects. 'Acne Studios' is famous for its potential construction of structured objects, space and production between brands. Prior to case analysis, 10 major global stores of 'Acne Studios', which are highly utilized, are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object presentation techniques after identifying the concept, characteristics, and presentation techniques of the structured objec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space composition were derived by directing the gap between daily life and the super-real world through the use of common dépaysement network technique and assembly techniques. This defines the identity derived and explored for the production techniques of objects forming the space branding of 'Acne Studios' and their feature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스포츠 브랜드 프로모션에 따른 소비 타겟층의 구매 의향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주요 거점 상권을 중심으로╶

        유재찬(Jae Chan Yoo),장광집(Kwang Chib Chang)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2019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스포츠 브랜드가 브랜딩과 프로모션을 가지고 소비자들에게 접근할 때 어떤 방식이 효율적인 접근인가에 대한 연구로 시작된다. 설문조사를 통한 선호도가 가장 높은 스포츠 브랜드를 선정한 후에 각 브랜드마다 어떤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본다. 이를바탕으로 유동인구 수와 매출액을 조사를 통해 가장 높은 서울특별시내 주요 거점 상권이란 지리적 요인을 선정을 하였고, 그 결과 크게 강남역 일대와 홍대입구역일대가 가장 뚜렷한 곳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프로모션을온라인, 오프라인 프로모션으로 두 가지의 방법으로 나누었다. 스포츠 브랜드와 타겟층간의 다양한 프로모션을 통한 관계 형성과 그 결과로 나타나는 잠재적 소비 파급효과를 확인해보고자 연구를 진행했다. 각 스포츠 브랜드들은 단순히 매장에서 물건을 파는 것이 아닌 프로모션을접한 타겟층이 스포츠 브랜드를 선택을 시작으로 소비와그 다음 소비까지 이어지는 과정까지 주목해야 한다고결론을 맺었다. This study begins with a study of how the sports brand is approaching consumers with branding and promotion. After surveying the sports brands with the highest preference, find out what brand identity each brand has. Based on this, the geographical factor of the main business district in Seoul, which was the highest, was selected through the survey on the number of floating population and sales. The brand promotion is divided into two ways, online and offline. The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orts brand and the target audience through various promotions and the potential consumption ripple effect. Each sports brand concluded that instead of simply selling things in stores, the target audience who had access to promotions had to pay attention to the process from choosing a sports brand to consumption and then consumption.

      • KCI등재후보

        휠체어 장애인의 공중 화장실 이용에 대한 고찰-1호선 지하철역을 중심으로-

        박주현(Joo Hyun Park),장광집(Kwang Chib Chang)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2016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19 No.2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에따라 사회적 약자가 이용하는 공공시설물인 지하철역에여러 시설물이 설치되었다. 그 중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생리현상을 해결하는 공간인 화장실이 법률에 따라 존재는 하지만 실제로는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인식을 시작으로 공공화장실에서 장애인화장실을중심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배리어프리, 유니버설디자인의 의미를 알아보고 지하철화장실에 적용, 조사하였다. 장애인 편의 증진보장에 관한 법률에서 명시되어 있는 기준을 가지고 실제 지하철역의 장애인화장실에 방문하였다. 최근에 지어진 인하대역을 기준으로 각 역을 비교 조사해 보았다. 장애인과비장애인의 행동 패턴을 통해 화장실 사용에 요구를 알아내고 화장실 이용만족도를 높이도록 한다. 인천역, 주안역, 부평역, 신도림역, 영등포역, 용산역, 서울역, 인하대역을 정하여 조사를 하였다. 조사된 8개 역11개 화장실에서 5개의 장애인 화장실만 휠체어를 타고이용이 가능했다. In accordance with the Law for Promotion ensures convenience of the disabled, the elderly, pregnant women have been a number of facilities installed in public facilities of underground stations for socially disadvantaged to use. Among them, there is a space to solve the most basic human physiology, The toilet in accordance with the law, but there are cases that do not actually use. Starting with these issues, and recognizing the survey that was conducted around a disabled toilet in a public restroom. To find out the meaning of a barrier-free, universal design applied to the underground toilets were investigated. With the criteria set forth in the law on guarantees The Disabled can visit a disabled toilet in real subway station. I investigated each station based on a comparison to the Inha Univ station was built on. Through the behavioral pattern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people to find out the needs to use the bathroom and toilet to improve the user experience. The Incheon Station, Juan Station, Bupyeong station, Sindorim Station, Yeongdeungpo Station, Yongsan Station, Seoul Station, cuts the band was appointed to investigate. Only five disabled toilets in a survey of eight stations, were 11 baths in a wheelchair available.

      • KCI등재후보

        국내 가구 대표기업의 업사이클링 적용 현황에 관한 연구

        이준영(Jun Young Lee),장광집(Kwang Chib Chang)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2016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19 No.2

        환경오염에 대한 심각성으로 자원순환을 목적으로 하는업사이클링 개념이 하나의 친환경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 본 연구에서는 가장 활성화 된 분야인 업사이클링 가구에 대해 조사하였다. 국내는 관련 산업이 아직 초기단계로 정부의 여러 지원 정책이 시행되고 있지만 관련 기업들은 대체로 영세하다. 그래도 그 중 잠재가능성이 큰 업사이클링 가구 기업 조사 결과 지속가능한 경영 철학을 바탕으로 폐가구들을수거, 해체, 가공하여 제품을 만들고 있었다. 이 조사를 기준으로 현재 가구 시장을 선도하는 대표기업들의 친환경 정책들과 그 중 대표기업의 제품에 업사이클링 개념을 적용하는지 분석해보았는데 새집증후군이 이슈화 된이후로 친환경 자재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그나마 리바트는 업사이클 개념을 적용하여 제품으로 만들었고 에이스는 해외 유명 업사이클링 가구를 유통하고있지만 미약하다. 정부의 지원과 소비자들의 인식의 변화가 업사이클링 가구산업의 환경을 만들고 대표기업들이 필요성을 인식해야한다. Upcycling is a relatively new concept of eco-friendly design. This study aims to research upcycling furniture industry as it is one of the most robust fields. The domestic upcycling industry is on the baby step. so The government enforce the supporting upcycling policy for the industry. Although related companies are almost small, there are some companies have potential possibility. They create the furnitures based on the sustainable management philosophy. Based on this standards, I researched the application upcycling state of the representative furniture firm. But they focus on the eco-friendly material after sick house syndrome. At least Livart applies the upcycling concept and make the related products. ACE distributes the famous upcycling furniture from foreign brands. But these facts can't meet the upcycling market. it is important for upcycling market that the supporting policy for upcycling and changes of consumer awareness. As a result, this environment can make representative furniture firms focus on the upcycling market.

      • KCI등재후보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스포츠웨어 브랜드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데상트’와 ‘나이키’의 소비자 인식을 중심으로-

        박은하(Eun ha Park),장광집(Kwang chib Chang)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2016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스포츠 레저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스포츠관련제품에 대한 관심도 또한 높아졌는데, 이것이 라이프스타일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또한 그 라이프스타일이 특정 브랜드의 소비자인식과 이어질 수 있는지에 대한 궁금증에서 출발하였다. 본 연구는 학생들의 라이프스타일이 세계적으로 유명한 스포츠브랜드 ‘나이키’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프리미엄 스포츠브랜드 ‘데상트’에 대한 소비자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여 그 관련성을 파악하며 브랜드에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학생들을 대상으로 2016 년 5월 한달 간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경희대학교 학생들은 각자 다른 라이프스타일을 갖고 있다. 특히 전공특성이 각각 뚜렷한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학생들은 라이프스타일 또한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먼저 예술디자인대학 학생들은 라이프스타일 유형중 유행추구형에 가까웠다. 그리고 체육대학 학생들은 단과대학 특성에 맞게 단체여가지향형, 운동선호형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갖고 있었다. 공과대학 학생들은 건강추구형, 유행추구형, 운동선호형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가까운 라이프스타일을 가지고있었다. 세 개의 단과대학마다 다른 라이프스타일과 브랜드에 관한 인식에 차이를 보였다. 공통적인 인식으로 데상트는홍보 및 마케팅, 나이키는 합리성이 있는 가격설정으로개선점을 제시했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브랜드인지도와 그에 대한 구매여부, 사용 후 인식 변화 또한 관련성이 있는 것을 알수 있었다. 그리고 브랜드 제품 사용 후 개선 방향 또한 제시할 수 있었다. 학생들이 제품을 구입하는데 있어서 라이프스타일과 스포츠 제품의 관심도가 구매와 이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poses questions on the lifestyle can lead to the recognition of the consumer of a particular brand and as the sports leisure industry develop, it became higher interest in sports-related products, this is where there is some relevance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the lifestyle of students to determine its impact on the recognition of the consumer for the 'Descent' and the recognition of the consumer for the 'Nike' to understand the relevance, trying to present the improvements. We conducted an internet questionnaire survey for students of Kyunghee University international campus in May 2016. First, students of the University of Art&Design were close to the lifestyle trend pursuit type. Second, student of physical education university had the type of life style of group leisure preference. Last, Student of Institute of Technology, have a lifestyle close to the type of pursued a health type, trend pursuit type, a exercise preferred type. Three colleges were presented improvements in common to 'Descent’ is 'marketing ',' Nike' is ' pricing in the rationality’. Through this study, brand awareness and whether or not to purchase the product and changes in the recognition of after use, are also seen to be associated.

      • KCI등재후보

        한옥 마을 브랜드 현황에 관한 연구

        이요한(Yo Han Lee),장광집(Kwang Chib Chang)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2016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한옥마을의 현황과 브랜드화에 대한 현황 조사에 대한 연구이다. 한옥마을이 많지만 한옥마을을 소개하는데 필요한 브랜딩 작업이 많이 되어있지에 대한의문에서 출발한 연구이다. 한옥마을, 한옥 고택, 한옥스테이는 한옥으로 이루어져있는 것이지만 자세히 분석을하다보면 완전히 다른 개념의 구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알 수 있다. 하지만 한옥의 시작은 같은 것으로 시작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간의 사용 방법과 구성이 다르다고아예 다른 것이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한옥의 구성과 한옥 브랜드화에 대한 조사를 하게 된다면 이 현황을 통해서 증가하고 있는 한옥에 대한관심을 더욱 확대하여서 한옥마을의 브랜드화에 더욱 관심을 가질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한옥마을 현황과 브랜드화에 대한 현황의 조사를 통해 한옥마을의 지역별 분포와 종류별 현황과 시대별 구성 또는 만들어진 것을 알 수 있으며 한옥 브랜드화에 대한 현황을 함께 비교함으로써 한옥마을 브랜드화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다 것을 알 수 있는 연구이다. This study is a survey of research on the status and branding of Hanok Village . There are many Hanok Village . But a study from questions about the need to introduce Hanok Village is not a lot of branding work. Hanok Village, Hanok gotaek , hanok stay is made up of houses. However, if the detailed analysis it can be seen that has a completely different concept . Since the beginning of Hanok has been started , such as can not be used and how it differs altogether different configurations with each other. Interest in hanok , which increases if the investigation of the structure and branding of these hanok Hanok will be further expanded.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would have more interest in the brand 's Hanok Village . This study is much research on the Hanok Village branded by comparison with the current situation on the regional distribution and type status and age -specific configurations or can know , and hanok brand made of Hanok Village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status of the Hanok village Situation and branding the study shows that it is called.

      • KCI등재후보

        중학교 자유학기제 미술교육에 관한 연구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의 학교연계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정회숙(Hoisook Jeong),장광집(Kwang Chib Chang)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2016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19 No.2

        2009년 개정 7차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진로탐색 교육을중요시하는 분위기가 점차 형성되고 있다. 자유학기제는청소년들의 꿈과 끼를 찾아주는 학생 참여 유형의 교육과정으로, 진로탐색 활동을 포함한 다양한 체험활동을운영하는 제도이다. 미술관은 그 개념 자체에 ‘교육적’ 성격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교육과 동일한 맥락을 가지고 있는데, 최근에는 미술관 그 자체로서 교육기관의 역할을 수행하기때문에 미술관의 교육적 역할과 성격이 확장되고 다변화되어 공공교육 및 평생학습의 장으로 점차 진화하고 있다. 따라서 미술관과 같은 전문적인 기관을 탐구 및 분석한 데이터를 현재 학교 미술교육 현장에 적용시켜 초중고 전반에 걸친 진로탐색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본 연구는 중학교 한 학급의 인원을 대상으로 실제적인학교연계 프로그램을 보유한 미술관 중 국립현대미술관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중등 미술 진로교육과의 연관된 맥락을 파악하고, 자유학기제 취지에 맞는 국립현대미술관의 교수-학습 및 계획 수립 방법을 분석하여 미술기관과 교육 현장의 연계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In the 7th art curriculum that was revised in 2009, atmosphere that education and career exploration are important gradually formed. Free semester system is a type of student participation training course. This particular system helps find the dreams and talents of teenaged students. Also, it operates a variety of experiential activities, including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Museum and public education has the same context that implies 'educational' of the concept itself. In recent years, in order to perform the role of an educational institution, the educational role and the diversifying personality of the museum has been extended, the museum itself is gradually evolving as an educational venue where public education and lifelong learning takes place. therefore, the data analyzed and studied by the specialized agencies, such as the art museum, should be applied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This data will help the overall school career exploration. In this study, I analyzed a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s junior high school Free Semester System. By understanding the relevant context of the secondary art career education, for purpose of Free semester system, I want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junior high school education program cooperating with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s Junior high school education by analyzing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rt's planning and learning method.

      • KCI등재후보

        서울특별시 북촌 한옥 카페의 현황 분석- 북촌로와 삼청로를 중심으로 -

        김호경(Ho Kyeong Kim),장광집(Kwang Chib Chang)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2016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19 No.2

        전통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한국 전통 건축물에 대한 관심 또한 같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로 인해 전통과 현대의 융합에 대한 연구는 계속이루어지고 있고 다양한 해결책은 나오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옥의 공간구성에 대해 알아보고 한옥카페의 개념과 북촌의 현황에 대해 문헌을 통해 조사하였다. 문헌 조사를 통하여 북촌과 한옥카페에 대해 알아본 뒤 북촌로와 삼청로에 위치한 한옥카페를 방문조사로 공간에 대한 근원적인 연구 및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를 통하여 한옥카페 공간 마케팅의 활용될 수 있도록기초자료 및 한옥카페의 공간 디자인 방향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As traditional culture in Korea interests rise, concerns about Korean traditional building, Hanok, has also increased. Therefore, studies on fusion of traditional and modern are working progressively and animatedly. However a perfect solution has not came out yet. In this present paper, one would study the work on space configuration of Hanok, and concept of Hanok cafe and Buckon’s current situation by using literature researches. After this research, by visiting door to door on Hanok cafe at Bukchon-ro and Samcheong-ro, one would analysis the basic factors of space design itself. This information about Hankok Cafe will take advantage of space marketing on Hanok Cafe and will help on those who wants to know about Hankok Cafe.

      • KCI등재후보

        가상현실을 활용한 전시공간 현황에 관한 연구

        정현규(Hyun Gyu Jeoung),장광집(Kwang Chib Chang)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2018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21 No.2

        오늘날의 전시는 텍스트와 디스플레이가 주가 되는 전시형태에서 점점 관람객의 참여를 통한 전시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기존 미디어에서 더 발전된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해 가상현실에서의 상호 작용 기법의 적용은 현실의 이야기가 되었다. 특히 전시 연출매체 중 가상현실 기술은 가상공간에서 일어나는 실제적인 경험을 관람객이 직접 체험함으로써 전시에 대한 몰입도및 만족도의 증대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가상현실을 활용한 대표적 전시공간의 실태조사와관람자 설문조사 분석 등을 통해 가상현실을 적용한체험 전시관에서 신체를 활용한 몰입형 가상현실 시스템 형태가 가장 큰 점수를 얻었음을 확인하고 향후 가상현실을 기반한 체험형 전시공간을 기획할 때 보다효과적인 전시 방법을 위한 연구에 참고 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Unlike the past, today's exhibition is changing from traditional display of text and display to display of participation through increasing participation of visitors. Due to the development of advanced digital technology in existing media, the application of interactive techniques in virtual reality has become a reality story, not a future story. In particular, virtual reality technology among the exhibition directing media is expected to affect the immersion and satisfaction of exhibition by experiencing the actual experience that takes place in the virtual space. Therefore, the immersive virtual reality system using the body in the exhibition hall that applied virtual reality through the surveys survey of the museum, which is a representative exhibition space utilizing virtual reality. Virtual reality technology will become an indispensable technology, not a display assistant technology as an incidental ele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develop research contents such as exhibition contents development and idea presentation that can bring out the best suitable combination between the main features of virtual reality technology and exhibition theme. I would like to be a reference material for research to improve exhibition methods more effectively when planning an experiential exhibition space based on virtual reality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