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성송학동(固城松鶴洞) 고분군(古墳群) 출토(出土) 갑주(甲胄) 소고(小考) -1A-1호 단벽출토 갑주 및 부속갑 편을 중심으로-

        장경숙 ( Kyoung Sook Jang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05 石堂論叢 Vol.35 No.-

        고성 송학동 1A-1호 유구의 단벽부에서 출토된 철제와 金銅으로 장식된 소찰과 철편을 대상으로 소찰의 분류와 제작에 사용된 기법을 검토하였다. 소찰과 철편은 각각 凸자형 철편을 포함하여 上圓下方形소찰, 方形소찰, 圭形長札 등으로 분류되었으며, 소찰주와 찰갑 그리고 부속갑을 구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소찰주는 상연을 둥글게 마무리한 방형소찰로 주체부를 구성하고 상단에 凸자형 철기가 부착되는 형식으로 합천지역에서 출토된 소찰주와 유사하다. 찰갑을 구성하는 소찰은 모두 7종류로 분류되었고, 이 중 Ω형 곡률을 가진 2유형의 소찰은 腰札과 草摺据札로 확인되었다. 이외 소찰 및 철편에 대한 분류를 통해 방형 또는 장방형 소찰로 제작된 頸甲편과 규형 장찰로 제작된 비갑과 경갑 편이 확인되었다. 소찰의 연결은 주로 가죽 소재(혁뉴, 혁포)를 사용하였으며, 소찰의 종횡 연결과 마무리에 사용된 기법들은 수착된 혁뉴의 흔적을 통해 일부 추정할 수 있었다. 고성송학동의 갑주는 상단부와 볼가리개를 금동으로 장식한 소찰주와 Ω자형 요찰을 중심으로 상하가 일렬로 연결되는 胴丸形의 찰갑 그리고 부속갑을 完備한 札甲 一式이다. 또한 Ω자형 요찰과 동일 형태의 상갑최하단찰의 조합과 `山`자형 비갑 편 그리고 금동장 소찰주 등 현재까지 출토된 동일 유형의 찰갑 중 가장 발전된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점이 특징적이다. Sochal ornamented with iron and gilt bronze and the iron pieces from the wall of the tomb of Gosesong Songhak-dong 1A-1, Sochal were classified and the manufacturing technique was investigated. The Sochal and iron pieces include 凸 type parts and they are classified as `upper round and square bottom` type Sochal, square type Sochal and Gyhyung Jangchal(圭形長札). It was confirmed that they would make Sochal-ju, Chalgap and attached the armor. The Sochal-ju is a square and the Sochal has a round Sangyeon and makes a war helmet and the 凸 type iron piece is attached to the upper part. It is similar to the Sochal-ju from Hapcheon. 7 types of Sochal, which consist of a suit of armor were excavated and type 2 scales which is Ω type is known to have been a part of the waist guard and the scales ornamenting the bottom of the upper armor.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the Sochal and iron pieces, we could identified the arm guard made of Gyhyung Jangchal and the neck guard made of square or rectangular scales. The scales were connected using leather and the techniques used for horizontal and vertical connection of the scales and the finishing of the armor can be identified from the trace of Hyuknyu which is rusted and compressed. The armor and helmet of the Songhak-dong of Goseong is a full set of armor and helmet which has Sochal-ju with ornamented upper part and a guilt bronzed check guard, Donghwanhyung Chalgap(胴丸式札甲) whose upper part and lower part is connected linearly placing Ω type waist guard in the middle. Additionally, it has the most developed elements among the same type armors that have been excavated up to now with Ω type waist guard, the combination of the same type upper armor and the bottom scales, `山` type arm guard and guilt bronzed Sochal-j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