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취업이 결혼희망연령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임훈민(Hoonmin Lim),김중백(Joongbaeck Kim) 한국인구학회 2013 한국인구학 Vol.36 No.3

        현재의 저출산 현상은 초혼연령의 증가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따라서 미혼남녀의 결혼희망연령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의 분석은 저출산 문제 해결에 함의를 줄 수 있다. 본 논문은 결혼에 필요한 사회·경제적 자원을 공급하는 취업이 미혼남녀의 결혼희망연령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결혼과정과 관련된 개인적 특성-교육수준, 연령, 부모와의 동거여부, 성별-이 취업과 결혼희망연령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moderating) 상호작용효과를 통해 살펴본다. 자료는 「2009 결혼 및 출산 동향 조사」를 사용하였고 만 20세에서 44세까지의 미혼남녀 가운데 결혼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을 분석 대상으로 한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개인의 배경 변수를 통제한 이후에도 취업 상태의 응답자는 비취업 상태의 응답자에 비해 낮은 결혼희망연령을 보인다. 이는 취업을 통해 결혼에 필요한 사회·경제적 자원을 얻게 된 효과로 해석할 수 있다. 한편 상호작용 회귀계수로 검증한 조절효과 결과에 따르면 취업자와 비취업자 간 결혼희망연령의 차이는 대학진학 이상 응답자에 비해 고졸 이하 응답자가 더 적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취업자와 비취업자 간 결혼희망연령의 차이는 줄어들며 29세 이후에는 비취업자가 오히려 낮은 결혼희망연령을 나타낸다. 또한 취업자와 비취업자 간 결혼희망연령의 차이는 부모와 동거하는 경우에 더욱 크다. 마지막으로 결혼희망연령의 취업자와 비취업자 간 차이는 남성에 비해 여성이 더 적으며 이는 향후 여성취업자가 증가할수록 초혼연령이 더욱 늦어질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본 논문의 결과는 미혼남녀가 결혼연령을 계획하는 과정이 매우 복합적임을 보여주고 있다. Current low fertility rate in Korea is strongly associated with the trend of late marriage. We need to understand age at marriage to resolve the issue of low fertility. This study investigates (1) whether employment status has an association with desired age at marriage adjusting for control variables, and (2) the extent to which individual attributes-age, gender, educational level, and cohabitation with parents-moderate the association between employment status and desired age at marriage. Employing data from 「2009 National Marriage and Fertility Study」, we select 2,342 unmarried adults who report marriage intention. Employment status is related to decreased desired age at marriage, implying that people who are employed intend to marry earlier than people who are not. For moderating effects, we found educational level, gender, age, and cohabitation with parents moderate the association. These findings show that the association between employment status and desired age at marriage varies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집합적 효능과 건강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임훈민 ( Lim Hoonmin ),김중백 ( Kim Joongbaeck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保健社會硏究 Vol.34 No.4

        건강분야의 많은 연구에서 개인의 건강을 설명하는 요인으로 제시한 사회경제적, 인구학적 특성과 생애경험 등은 개인이 속한 환경의 맥락적인 효과를 고려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사회 해체이론은 지역의 사회경제적, 구조적 특성들이 사회통합 요인에 영향을 미쳐 개인의 건강과 안녕(well-being)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생태학적 관점에 주목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회 해체이론의 관점을 바탕으로 지역사회의 공동 이익을 위하여 개입하려는 사람들의 의지와 상호 신뢰의 결합을 의미하는 집합적 효능 개념이 개인의 우울증상과 주관적 건강평가로 측정되는 건강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 살펴본다. 하지만 횡단면 자료만으로는 건강이 좋은 사람들이 집합적 효능이 높은 지역에 거주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에 집합적 효능과 건강간의 역인과관계를 동시에 분석한다. 2010년 한국일반사회조사(KGSS)를 이용하여 집합적 효능이 개인의 우울증상과 주관적 건강평가의 관계를 인과관계와 역인과관계를 고려하여 분석한 결과 집합적 효능이 개인의 건강에 기여하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의 인구사회적 특성과 건강과 관련된 변수를 통제한 상황에서도 집합적 효능은 개인의 우울증상을 낮추고 주관적 건강평가를 높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인과관계의 측면에서 우울증상이 낮으며 주관적 건강평가가 높을 수록 집합적 효능이 높은 지역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집합적 효능과 건강이 상호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밝히는 동시에 생활환경에 대한 개인들의 평가와 인지 정도로 측정된 집합적 효능 개념이 우리 사회의 건강 격차를 설명하는 요인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제시한다. Previous studies of health inequality has rarely paid attention to social contexts in relation to health distribution. Social disorganization theory focuses upon what neighborhood soci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are associated with collective social integration and health disparity as a result. This article examines whether collective efficacy is associated with health status using KGSS (Korea General Social Survey) data. We investigate not only causal relationship but also revers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ollective efficacy and health because we cannot exclude the selection mechanism that healthier people reside in neighborhoods with high collective efficacy while employing cross-sectional data. Our findings document both causal and reverse-causal relationships with adjustment for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background variables; (1) collective efficacy is associated with better health , and (2) people with better health status is more likely to report higher levels of collective efficac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collective efficacy should be considered a critical factor to account for health inequality in Korea case.

      • KCI등재

        사별노인의 경제적 수준별 독거여부 분석, 2004-2017: 소득 및 자산을 중심으로

        황선재(Hwang, Sun-Jae),임훈민(Lim, Hoonmin) 한국인구학회 2020 한국인구학 Vol.43 No.3

        오늘날 한국 사회는 전례 없는 속도의 인구고령화를 경험하면서, 이에 파생된 다양한 잠재적 사회문제와 갈등의 요소들을 안고 있다. 그중 본 연구는 최근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독거노인 문제에 집중하면서, 그간 선행연구에서 잘 다루어지지 않았던 ‘누가 독거노인이 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보다 직접적이고 실증적인 대답을 시도하였다. 자료는 2004년부터 2017년까지 수집된 노인실태조사 다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개념적 명료성과 분석적 정치함을 높이기 위해 전체 노인 중 사별노인만을 대상으로 독거와 자녀동거 여부에 대한 다차원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사별노인의 소득 및 자산과 같은 경제적 요인을 독거여부에 대한 주요 독립변수로 다루었는데, 분석결과에 따르면 한국 노인의 경우 서양과는 달리 경제적 수준별 독거 비율이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일관되게 역U자형을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과 자녀와의 동거패턴이 노인 당사자 및 자녀의 상호 필요에 따라 복합적으로 나타난다는 기존 연구의 연장선상에서 해석할 수 있으며, 경제적인 측면의 경우 저소득·저자산층 노인의 경우 본인의 필요에 의해, 그리고 고소득·고자산층 노인의 경우 자녀의 필요에 의해 동거 혹은 독거를 선택하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론은 향후 한국 사회의 인구고령화 및 사회변동과 관련하여 다층적 함의를 제시한다. As Korean society experiences the unprecedented level of population aging today, it faces various potential social problems and conflicts derived from the changing demographic phenomena. Among those, this study focuses on the issues of rising proportions of older adults living alone, aiming to directly and empirically answer to the question, ‘who lives alone among the elderly.’ Based on the Survey of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Korean Older Persons data between 2004 and 2017, we implemented multifaceted analysis on the widowed elderly only in order to improve conceptual clarity and analytic coherence. In particular, we focused on the impacts of economic factors such as income and assets on elderly widows living alone, and according to the results, unlike the cases of the Western societies in which the relationship is linearly increasing, it consistently shows the inverted U-shapes in Korean society. This finding is consistent with the existing literature that the living arrangement of the elderly with their children is affected by the joint needs of both parties, and we were able to infer that the low-income-low-asset elderly tend to co-reside with their children due to their own economic conditions whereas the high-income-high-asset elderly do so due to their children’s economic needs. This major finding has multiple implications for the ongoing population aging and social changes of Korea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